83. 모바일 디자인(Mobile Design)
1) 모바일 디자인 표준화면 정의
전자정부 모바일 표준프레임워크는 기본원칙, 사용자 및 환경정의, 페이지 레이아웃 정
의에 대한 디자인 가이드를 제공한다.
기본 원칙
① 사용자 경험에 초점을 맞춘다.
② 소수의 핵심 기능에 집중한다.
③ 디바이스 호환성, 확장성을 고려한다.
④ 정보 소외계층의 접근성을 고려한다.
⑤ 웹 표준을 준수하여 개발한다.
⑥ 일관성을 유지한다.
⑦ 이미지를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⑧ 모바일 환경의 유해 요소를 제거한다
⑨ 웹 내비게이션을 최적화한다.
모바일 환경설계
① 모바일 서비스는 사용자의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에서 호환 가능해야 한다.
② 모바일 웹은 HTML, CSS, Javascript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③ 디바이스는 풀터치로 사용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를 대상으로 하며, 피처 폰은
고려하지 않는다. 디바이스는 최신 버전뿐만 아니라 하위 버전의 기기도 고려한다.
④ 모바일 디바이스 브라우저의 기본 해상도는 320×480px이며, 고해상도 스마트폰
의 지속적인 출시에 따라 확장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스마트폰의 PPI(Pixel Per
Inch)는 LCD모니터의 PPI(72ppi)보다 높기 때문에 디자인 작업 시 PC환경보다 실
제 적용대상 디바이스에서 확인해야 한다.
⑤ 모바일 환경은 탭(tap) 이벤트를 통해 동작하기 때문에 PC 웹과의 차이점에 대한 충
분한 이해를 기반으로 설계해야 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화면에서는 페이지 내에서
의 스크롤 바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웹에서 사용하는 프레임 형식을 사용할 수
없다. 또한 터치스크린 기반의 디바이스는 마우스 롤오버(mouse rollover) 같은 이
벤트를 사용할 수 없다.
⑥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UI의 기본원칙은 동일하나 화면의 해상도 및 레이아웃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현재 태블릿 PC의 기준 해상도는 600×1024px, 768×1024px이다.
⑦ 태블릿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웹이 아닌 일반 웹사이트를 접속하여 브라우징 하는 경
우가 대부분이나, 웹사이트에서 많이 사용되는 플래시, GIF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
의 몇몇 기술은 특정 태블릿에서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바일 웹 뿐만 아니라
태블릿 환경을 고려하여 개발한다.
페이지 레이아웃(Lay-out) 정의
① 구성요소
일반적으로 화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으며, 이러한 요소들을 조합하여 다
양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Indicator 영역 : 각종 서비스의 알림 및 수신, 네트워크, 배터리 상태 등을 아이콘화하여 표 시한다. •Header 영역 : 기관의 로고 또는 사이트 명을 표시하여 사이트의 아이덴티티를 전달한다. •Navigation 영역 : 주로 홈이나 이전 페이지 또는 최상위 메뉴와 같은 주요 링크만 제공하며 모바일 웹의 경우 브라우저 내비게이션 버튼을 활용하므로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Content 영역 :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주요 정보를 담는다. •Button 영역 :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며, 버튼은 해당 콘텐츠 아래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 이나 상단에 위치시키는 경우도 있다. •Footer 영역 : 저작권, 연락처, PC 웹사이트로의 링크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
② 기본 원칙
Header 영역에는 아이덴티티(Identity)를 드러낼 수 있는 사이트명, 로고, 혹은 소
속 기관명이 노출되어야 한다. Footer 영역에는 PC 버전의 웹 사이트가 있는 서비
스의 경우 PC 버전으로의 링크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모바일 서비스가 제공되는 웹사이트의 경우에는 하단에 모바일 버전으로의 링크가 제공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
이 좋다. Footer 영역은 좁은 공간을 고려하여 PC 버전의 웹사이트 보다는 간략화
된 내용을 담도록 한다.
유형에 따라 레이아웃을 일관되게 적용하여 시각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이 좋으며,
콘텐츠의 정렬이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그리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모바
일 서비스에서 적합한 레이아웃은 콘텐츠를 읽기 쉽고 보기 좋게 효율적으로 배치하
는 것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사용 환경과 방문 목적을
충분히 고려하여 정보를 배치해야 한다. 콘텐츠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사용자가
반드시 읽어야 하는 주요 콘텐츠는 주목도가 높은 곳에 우선 배치하고 관심을 끌 수
있는 스타일을 적용한다. 또한 여백을 적절히 사용하여 시선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이 좋다.
모바일 레이아웃
① 작은 스크린에 적합한 콘텐츠
동일한 콘텐츠를 PC 화면과 모바일 화면에 담았을 때, 모바일의 경우에는 PC에 비
해 사용자의 이해도가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큰 글씨와 간
결한 내용을 담도록 한다. 작은 화면에 너무 많은 콘텐츠를 배치하면 사용자가 원하
는 콘텐츠에 빠르게 접근하기 어렵다. 긴 내용은 여러 페이지로 적절하게 나누어 배
치하는 것이 좋다.
② 세로형 배치
모바일 화면은 가로 스크롤보다는 세로 스크롤이 편리하게 사용되므로 공공서비스
의 콘텐츠 레이아웃은 단일 칼럼의 세로 레이아웃을 기본형으로 적용한다. 그러나
서비스의 성격에 따라 가로 레이아웃을 기본형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③ 리스트(Lists)
▶ 기본형태
리스트형 레이아웃은 정보성 데이터가 많은 대국민/행정 서비스에서 적합한 레이아
웃이다. 썸네일 뷰보다는 긴 텍스트 타이틀을 보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비교적
얕은 계층구조의 표현이 가능하다.
동일 레벨의 내용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한다.
•한 화면에 목록을 다 보여줄 수 없는 경우, 하단에 마지막 목록의 일부분만 나타
내어 목록이 계속 있다는 시각적인 단서를 제공한다.
•목록의 상하 구조를 표현하는 경우 시각적인 구분을 위하여 아이콘이나 블릿을 사
용하기도 한다.
•모든 목록을 한꺼번에 가져오기 어려운 경우, 우선 일부 목록만 제공하고 사용자
가 필요한 경우 추가 목록을 불러올 수 있도록 한다.
•편집모드에서는 목록 앞에 체크 박스를 두거나 목록 뒤에 삭제 버튼 등을 두어 기
본 목록 화면과는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한다.
▶ Indexed List
리스트 형태의 레이아웃에 인덱스(Index)가 제공되는 형태이다. 주소록처럼 한 화
면에 제공되는 목록이 많아서 시각적으로 그룹핑이 필요할 경우 사용되며, 일반 리
스트 형태에 비해 시각적으로 원하는 정보의 검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 Tabbed List
탭 버튼 아래 목록이 같이 제공되는 화면으로 하나의 화면에서 여러 개의 목록을 한
번에 보여줄 수 있다. 세부 카테고리가 나뉘어있는 목록 콘텐츠에 적합하며, 탭 명
은 목록에 대한 타이틀 역할을 한다. 비교적 많은 양의 정보를 한 화면에서 내비게
이션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전달성 서비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유형이다.
④ 서치(Search)
▶ 기본 원칙
검색은 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빠르게 원하는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 제공하는 기능이다.
검색에 대한 결과 건수가 1건일 경우 해당 결과에 대한 상세 화면이 제공되고, 검색
에 대한 결과 건수가 2건 이상일 경우 목록화면 그리고 상세화면의 순으로 제공된
다. 포탈 성격의 경우 상단에 검색기능을 제공해 주는 것이 권장된다.
▶ 검색 제공 방식
•검색 활용 빈도가 높은 경우 주요 화면 내에 검색창을 제공한다.
•검색 옵션이 다양하여 사용자 설정이 많은 경우 검색 화면을 별도로 제공한다.
•다른 콘텐츠의 공간 확보를 위하여, 검색이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자가 별도로 검
색창을 꺼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텍스트 검색
검색어를 텍스트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필드와 검색버튼이 제공된다. 검색창은 주
로 상단에 제공되거나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가 생성되면 자동적으로 상단
으로 올라간다.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초성검색이나 자동완성기능과 같은 검색
어를 제안하는 방식이 적용되기도 한다.
2) 모바일 디자인의 원칙
이미지는 로딩(Loading)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제작해야 한다.
시스템의 심미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이미지와 그래픽 블릿(Bullet), 아이콘 등의 시
각적 요소들은 페이지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사용을 최소화해야 한다. 페이지의 로딩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이미지의 사이즈를 작게 설
정하고 컬러의 수를 줄여서 사용해야 한다.
이미지의 표현방식은 일관되게 제시해야 한다.
시스템 전반에 걸쳐서 사용자에게 통일된 이미지의 콘셉트를 보여주고, 시스템에 대한
일관된 이미지를 전달 할 수 있어야 한다.
시스템이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폰트 타입을 사용해야 한다.
폰트의 스타일은 가능하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기본 폰트 스타일을 사용하여 특정 폰
트 지원여부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폰트의 사용은 가독성(Readability)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시각적으로 명확하지 않은 폰트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읽을
때 불편함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폰트는 정보의 분류 체계, 중요도, 목적에 따라 차별되게 적용되어야 한다.
Bold체와 Italic체는 중요도가 높거나 구분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사용해야 하며, 지
나치게 자주 사용하면 정보의 가독성을 저해할 수 있다.
폰트 하단의 밑줄은 링크와 혼동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사용을 자제한다.
동일한 페이지에서 폰트 스타일과 크기는 3종류 이내로 제한하여 사용한다.
한 페이지 안에 3종류 이상의 폰트 스타일을 사용하면 일관성이 저해되어 가독성이 떨
어진다. 따라서 시각적 통일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사용해야 한다.
한 페이지 내에 표현할 수 있는 최대 컬러 군은 5가지 이다.
5가지가 넘는 컬러 군을 사용할 경우 페이지 구성을 혼란하게 하여 수행 능력을 저해할
수 있다.
컬러는 시스템의 고유 아이덴티티(Identity)가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들에게 대상 시스템이나 제품에 대한 공통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심어 줄 수 있도
록 시스템의 특성이 반영된 컬러(CI)를 적극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아이콘은 텍스트와 결합하여 제시해야 한다.
아이콘은 시각적 효과가 높지만 정확한 메타포(metaphor)를 표현하기가 어려우므로
텍스트와 결합하여 정확도를 높여야 한다.
동일한 모양의 아이콘에 중복된 기능을 부여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기능을 동일한 모양의 아이콘에 부여하지 말아야 한다.
아이콘은 일정한 위치에 배치해야 한다.
아이콘을 페이지 별로 상이한 곳에 배치하면 사용자가 아이콘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되어 아이콘 이용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3) Mobile UX Design
한 사람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은 그 사람의 성향을 상징한다. 우리는 트렌드 분석을
통해 모바일 디자인이 어떻게 발전하는지 알 수 있으며, 최신 트렌드를 습득하는 것은
모바일 UX 디자이너가 갖춰야 할 기본적인 행동양식이다.
플랫 디자인(Flat Design)
Flat의 사전적 의미는 ‘평평한’, ‘고른’, ‘납작한’ 등이다. 즉, 추가적 효과(Drop
Shadows, Bevels, Embossing, Gradients 등) 없이 평면적인 스타일을 적용한 디
자인을 뜻한다. 이에 앞서 스마트폰 출시 이후 모바일 UI 스타일은 애플의 ‘스큐어
모피즘(Skeuormorphism)’이다. 스큐어모피즘은 실제 존재하는 메타포(Real-Life
Metaphor)로부터 형태를 따와서 디자인하는 것을 말하며, 스마트폰 출시 초기 터치스
크린 기반 UI에 익숙지 않은 사용자에게 유용하다. 오프라인 제품 사용법 그대로를 터
치스크린에서도 가능하게 해 처음 사용하는 누구라도 쉽게 사용법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면, iOS에서 제공하는 아이북(iBooks)은 실제 책의 형태를 UI에 도입해 스마트
폰에 친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어떤 방식으로 사용해야 하는지 직감으로 알 수 있게 했
다. 그러나 스마트폰 출시 후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기반 디지털 기기에 익숙해졌고 스
큐어모피즘의 필요성 또한 약해지기 시작했다.
① 플랫 디자인의 장점
▶ 확장성
플랫 디자인의 장점은 바로 반응형 디자인에 최적화돼 있다. 다양한 디바이스 및 해
상도에 따라 변화하는 반응형(Responsive) 디자인을 적용할 때 탁월한 확장성을 보
여준다. 이미지 버튼 대신 컬러 링크를, 패턴화 배경 대신 단순한 배경처리로 다양
한 디바이스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보통 하나의 이미지를 다양한 해상도에 맞게 변화시키려면 각 상황에 맞는 이미지를
전부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단순한 플랫 디자인 형태로 제작하면 이미지를 쓰지 않
고 CSS만으로도 디자인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든 이미지를 만들 필
요가 없고, 용량 역시 최소화할 수 있다. 모든 해상도에 대응 가능해 아무리 큰 해상
도라고 해도 이미지가 흐려지는 현상이 없다.
▶ 콘텐츠 집중성
플랫 디자인에는 시각적 부담이 없기 때문에 콘텐츠 집중력을 향상시킨다. 현실의
메타포를 그대로 구현하기 위해 사실주의적 디자인에 집착하면 간단하게 사용해야
할 앱이 무겁고 부담스러우며 결국 콘텐츠에 집중할 수 없다.
▶ 사용성
플랫 디자인은 목적 지향적 디자인으로 기능과 콘텐츠, 사용자 최종 행동에 포커스
가 맞춰 있다. 모든 산만한 디자인 요소를 제거하고 꼭 필요한 내용과 사용자 목표
에 집중하도록 설계한다.
▶ 모던함
플랫 디자인은 장식적 요소가 없고 간결한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깔끔하
며, 타이포그래피와 여백, 컬러를 더욱 강조한다.
② 플랫 디자인의 기법
▶ 장식적 요소를 배제한다.
장식으로 사용하는 현실의 메타포 요소를 배제하고 본연의 기능에 충실한 디자인이
되도록 한다.
▶ 효과를 최소화한다.
플랫 디자인은 다른 추가 효과(Drop Shadows, Bevels, Embossing, Gradients
등) 없이 평면적인 스타일을 지향하므로 최대한 효과를 걷어내는 방식으로 작업한
다.
▶ 컬러에 집중한다.
플랫 디자인은 색상과 명도 차이로 디자인한다.
▶ 타이포그래피에 집중한다.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사용자 행동을 유도하는 힌트도 타이포그래피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어떠한 글꼴을 사용하는지, 어떤 메시지를 표현하는
지가 상당히 중요해졌다. 이것은 사용자가 느끼는 서비스에 대한 인상에 큰 영향을
끼친다.
'디자인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85. 애니메이션 2 (0) | 2023.04.29 |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84. 애니메이션 1 (0) | 2023.04.28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82. 웹디자인 (1) | 2023.04.27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81. 컴퓨터와 소프트웨어 (1) | 2023.04.27 |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80. 디지털 카메라 (0) | 202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