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자인개론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30. 착시(Optical Illusion)의 원리

반응형

30. 착시(Optical Illusion)의 원리

 

가. 착시
주변의 다른 정보의 영향으로 시각 자극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원래의 사물에 대한 시각
적인 착각을 일으키는 것이 착시이다. 주요한 착시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첫 번째
는 사물의 이미지를 받아들이면서 착각을 일으키는 글자 그대로의 착시 현상이다. 두 번째는 명암, 기울기, 색상, 움직임 등의 특정한 자극의 과도한 수용으로 인해 일어나
는 생리적 착시이다. 세 번째는 뇌가 눈에서 받아들인 자극을 무의식적으로 추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지적인 착시이다. 착시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느끼는
시지각 현상이지만 평소에는 그 차이를 심각히 느끼지 못하고 있다. 착시는 시신경을
자극하여 시각적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시각전달을 강조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특히 시각디자인에 있어서 착시와 관련된 요소를 충분히 고려해야만 올바른 디자인이
완성된다. 예를 들어 지면에 그려진 2개의 동일한 형태도 경계선에서 더 떨어진 형태가
더 작게 보이는데 이는 투시도적인 요소가 많기 때문이다. 착시는 형태와 크기, 방향,
색에서 일어날 수 있는 시각적인 착오(錯誤)이며, 물리적인 측정과 일치하지 않고 객관
적인 성질과 다르게 보이는 시지각을 말한다. 따라서 착시는 정상적인 사람, 정상적인
상태(환경)에서는 필연으로 나타난다. 착시는 물리적인 착시와 생리적인 착시가 있다.
빛의 굴절에 의해 물속의 막대기가 휘어 보이는 경우, 프리즘, 사막의 신기루, 렌즈 거
울의 왜곡된 형상 등은 물리적인 착시이며 감각기관에서 생기는 과정의 결과로 발생되
는 착시에는 잔상(Afterimage), 대비, 운동의 착시, 공간의 착시, 기하학적인 착시 등 이 있다.

게슈탈트 심리학은 인간의 인지가 전체적인 것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려는 경향이 있다
고 역설하였다. 우리 눈에 익숙한 물체들이 실제 이미지와 다르게 결합되면 더욱 복합
적인 시각적 메시지를 만들어 낸다. 이것은 과거의 경험이나 학습에 의한 시 각적 인지
가 여러 가지 착시효과에 의해서 변형된 정보를 인지하기 때문이다.

루빈의 컵, 힐의 처녀와 노파
에빙하우스의 도형 : 중앙의 원의 크기가 같아도 주위의 영향으로 다르게 보인다.
수평 수직의 착시 : 정방향 A는 세로가 길어 보이고 B는 가로가 길어 보인다
방향의 착시 : 육각형 A와 B는 크기가 다르게 보인다.
면분할의 착시 : 공간 B는 공간A와 C에 비해 작아 보인다.

 

나. 불가능한 도형
불가능한 도형은 2차원 평면상에서 표현이 가능하나 3차원적인 공간에서 만들 수 없는
도형을 말한다.
에셔는, 자신의 작품 속에 현실세계에서는 존재할 수 없는 모습을 담았는데 그의 작품
에서는 원근법에 따른 신기한 착시 효과를 볼 수 있다. 에셔가 수학적인 작품을 완성
할 수 있도록, 가장 가까이에서 영향을 준 사람은 영국의 수학자 로저 펜로즈(Roger
Penrose)로 ‘불가능한 도형 : 시각적 착시의 특별한 형태’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며
세상에 알려졌다.

역리도형 착시
다의도형 착시
에셔, CONVEX AND CONCAVE (네덜란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