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자인개론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20. 균형(Balance)

반응형

20. 균형(Balance)

 

 
밸런스란 모양과 크기가 다른 둘이상의 요소에서 부분과 부분, 부분과 전체 사이에서
시각상의 힘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시각적인 안정감을 이루며 평형상태를 느끼
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일종의 시각적 무게의 동등한 분배를 의미하며 균형이 잡혀 있는
것은 자연스럽고 안정감을 주고, 규칙 또는 균형이 깨어진 것은 불안정하지만 시각적으
로 자극이 강해서 경우에 따라서는 의도적인 불균형이 유용한 도구로 작용할 수 있다.
균형에는 정적(靜的)균형과 동적(動的)균형이 있다. 전자는 좌우의 시각적 무게중심이
안정감을 이루고 있어서 편안한 시각적 조화를 이루는 균형을 말하며, 후자는 물체 상
호간에 작용하는 힘의 관계로 인하여 일어나는 운동의 균형을 가리킨다. 또한 균형에는
대칭에 의한 균형과 비대칭에 의한 균형이 있다.


가. 대칭
대칭은 중앙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마치 거울 면을 대하듯 양쪽이 똑같은 위치와 똑같
은 형태들이 반복된다. 수직축을 중심으로 한 좌우 동일한 형이므로 시각적으로 안정
감을 주며, 같은 형을 복수로 사용하면 정돈이 되는 원리이다. 대칭 형태는 데칼코마니
(Decalcomanie) 기법처럼 반쯤 접혔던 종이를 펴서 한쪽 면에 물감을 묻힌 후 다시 접
어 누르면 변화 있는 대칭형의 무늬가 생기는 인공적 형태와 사람의 얼굴이나 곤충, 식
물 등 자연적인 형태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데칼코마니 기법
자연에서 볼 수 있는 대칭 원리

① 반사(좌우대칭) : 중심이 되는 대칭축을 중심으로 반대의 상으로 좌우대칭을 이루기
때문에 안정감을 준다. 어린아이나 그림을 배우기 시작한 학생의 경우 대칭적 균형
을 갖춘 패턴을 본능적으로 표현하는데 이것은 우리 신체가 대칭적이라는 사실에 기
인한다고 볼 수 있다. 대칭성은 중심성을 형성하여 성당건축과 같은 신성공간으로
인식하였다.

② 반복(평행이동) : 하나의 형태를 반복해서 나열해 가는 것으로 패턴을 만든다.
③ 회전(점대칭, 방사대칭) : 자연의 꽃의 구조가 대부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듯이 붙
어있으며 이처럼 회전에는 방사형의 아름다움이 잠재되어 있다. 회전과 방사의 느낌
은 보는 사람의 시선을 넓혀준다.

자연의 대칭과 방사대칭
대칭과 비대칭의 균형

④ 확대, 축소 : 대칭 중, 가장 인식되기 어려운 것이 확대 축소이다. 형태가 일정한 비
율로 확대, 축소되므로 균형을 유지하면서도 리드미컬한 여운이 있다.


나. 비대칭
대칭을 이루는 축이 소실되어 좌우의 형은 서로 다르지만 형태나 색의 무게가 맞아시각
적으로 안정되게 느껴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표현은 탈중심적 구성 조형 형태에서
많이 이용된다. 대비, 대조는 서로 상반된 성질의 시각적 구성요소의 부분을 동시에 비
교해 표현하는 경우이다. 양쪽의 대립이 크면 클수록 서로의 성격이 뚜렷하게 되며 화
면이 생생하게 되기 때문에 보는 사람에게 역동적인 힘과 동적인 자극을 주게 된다. 그
러한 예로 콜더(Calder)의 모빌에서 고차원의 비대칭 균형을 볼 수 있다.

창덕궁 인정전의 대칭성
해체주의 건축의 비대칭성
칼더 모빌의 고차원적 비대칭성

다. 방사(Radition)
도형의 중심에서 주변으로 반복적으로 확산하거나 축소하는 대칭 변화로 흔히 볼 수 있
는 것이 꽃잎의 배열 형태이다. 식물은 정면에서 봤을 때 전체적으로 좌우대칭을 이루
지만, 그 중 꽃은 방사대칭과 좌우대칭을 모두 이룬다. 방사는 일반적으로 중심부에서
시작한 점이나 선의 밀도가 좁은 반면에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그 사이의 공간은 넓어
지며. 선의 밀도가 높아지면 방사형보다는 원형의 면으로 인식된다.

프랑스의 방사형 도로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