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거시경제의 공급측면과 총수요-총공급 모형>
[1. 노동시장의 균형과 총공급]
* 기업의 생산량 결정 중요 요인
- 인력투입, 노동고용. 고용량은 노동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노동시장의 균형.
- 총공급 곡선을 도출하기 위한 요소.
* 경제의 총공급: 경제 내의 기업들이 물가의 수준에 따
라 생산하고자 하는 생산물의 총량. 기업들의 생산능력에 따라 결정.
* 한계원리: 경제주체들이 어떤 결정을 실행함으로써 추가로 얻을 수 있는 수입인 한계비용과 추가로
소요되는 비용인 한계비용을 비교.
- 균형에서는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같음.
* 노동수요곡선: 노동자 한 명을 고용함으로써 추가로 얻을 수 있는 한계수입과 추가로 소요되
는 한계비용(임금)을 비교하여 고용량을 결정.
- 노동의 한계생산물 가치:
생산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물가수준)과 새로 고용된 노동자가 추가로 생산한 상품과 서비스의 물
량(노동의 한계생산)에 의해 결정됨.
- 고용량이 증가할수록 노동의 한계생산물가치가 감소하므로 노동수요곡선은 우하향.
* 노동공급곡선: 노동자는 일함으로써 추가로 얻을 수 있
는 한계수입과 일을 함으로써 발생하는한계비용을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는
점에서 노동공급을 결정함.
- 한계비용은 일하지 않고 여가를 누릴 때 얻는 효용임.
- 고용량 또는 전체 노동시간이 증가할수록 일하지 않
고 여가를 누릴 때 얻을 수 있는 효용이 증가
→ 노동 공급곡선 우상향
* 총생산함수: 노동 또는 자본투입량과 같은 생산요소의
총투입량과 경제의 총생산량 사이의 관계
를 나타내는 함수.
- 투입→ 함수→ 산출
- 총요소생산성: 기술 수준 등에 의해 결정되는 생산성 수준.
- 한계수확(생산)체감의 법칙에 의해 기울기가 완만해짐.
기울기는 새로 고용된 노동자 한 명이 추가로 생산한
상품과 서비스의 물량을 의미하므로 노동의 한계생산에 해당.
→ 이미 많은 사람을 고용하고 있을수록 추가로 늘어나는 생산량은 작아짐.
[2. 총공급곡선]
* 총공급곡선: 가능한 각각의 물가수준에서 경제 내의 기업들이 생산하고자 하는 최종재의 총량을
좌표평면에 나타낸 것.
* 초단기 총공급곡선: 고정된 물가수준에서 수평인 직선형태.
- 초단기에서의 균형 GDP는 고정된 물가수준에서 총수요 또는 총지출의 크기에 의해 전적으로 결정됨.
* 단기 총공급곡선: 단기에서 명목임금이 경직적이기에 우상향하는 형태.
- 단기적으로 명목임금이 고정된 상황에서, 기업이 생산
하는 생산물의 가격이 상승하면 실질이윤이 증가하면 서 기업들이 생산량을 늘리기 때문.
- 생산물 가격을 나타내는 물가수준과 경제의 총생산량
을 나타내는 총공급 사이에 정(+)의 관계 성립.
* 장기 총공급곡선: 완전고용 GDP 수준에서 수직인 직선.
- 장기에서는 물가수준의 변화와 관계없이 경제의 총공
급이 노동시장의 균형에 따라 결정된 GDP, 즉 완전고용 GDP와 항상 일치.
- 경제가 항상 완전고용 상태이므로 완전고용 GDP=총
공급 → 임금이 물가와 같은 비율로 변화하기 때문에
물가가 올라도 생산량 변화 없음. 물가가 상승해도
실질이윤 동일.
[3. 단기 및 장기 총공급곡선의 관계]
* 초기 경제의 총공급은 완전고용 GDP 수준과 동일
- 물가의 수준이 상승하면 단기적으로 명목임금이 고정된 상황에서 생산물 가격의 상승에 따라 매출액 증가
하므로 실질이윤 증가.
- 기업들이 생산량을 늘리면서 새로운 총공급 결정. 총 공급이 완전고용 GDP 수준을 초과하므로 노동수요가
노동공급을 초과,→ 노동수요가 노동공급을 초과.
- 경제의 실업률은 자연실업률보다도 낮아짐.
* 단기 총공급곡선에서 장기 총 공급곡선의 도출
- 물가 상승 시 장기적으로 명목임금은 물가상승률과 동일한 비율로 상승.
- 노동자들의 임금 상승 요구, 기업의 노동 초과수요.
- 물가수준이 하락할 경우 장기에서는 총공급이 완전고용 GDP 수준으로 복귀함.
- 총공급이 완전고용 GDP 수준에 못 미쳐 노동수요가
노동공급에 미치지 못해 임금이 신축적인 장기에서는 점차 임금이 하락함.→생산비용이 감소하므로 기업의
실질이윤 증가.
[4. 총수요-총공급 모형의 균형]
* 단기균형
- 총수요곡선과 단기 총공급곡선이 서로 만나는 점에서
결정. → 안정적.
- 생산물 가격이 신축적인 단기에서 초과수요가 존재하면 물가 상승
- 균형으로부터 이탈 시, 균형으로 다시 돌아가려는 힘이 작용함.
- 단기적으로는 GDP갭이 발생할 수 있음.
- 단기 균형은 우상향하는 단기 총공급곡선 위의 어떠한 점에서도 성립 가능.
* 장기균형
- 총수요곡선과 단기 총공급곡선 그리고 완전고용 GDP
에서 수직인 장기 총공급곡선이 동시에 만나는 점에서 결정됨.
- 장기균형에서 경제의 균형 GDP는 완전고용 GDP 수
준과 일치하므로, 장기균형 GDP 갭은 0. → 장기 균
형에서의 실업률은 완전고용상태에서의 실업률인 자연실업률과 일치.
- 장기 균형으로는 현실의 경기변동을 설명 불가.
'기초거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과, 경영학과, 기본 필독 기초거시경제 핵심 이론 요점 정리 12. 총수요-총공급 모형과 거시경제정책 (1) | 2023.02.22 |
---|---|
경제학과, 경영학과, 기본 필독 기초거시경제 핵심 이론 요점 정리 11. 총수요-총공급 모형의 응용 (0) | 2023.02.21 |
경제학과, 경영학과, 기본 필독 기초거시경제 핵심 이론 요점 정리 9. 거시경제의 수요측면 (0) | 2023.02.19 |
경제학과, 경영학과, 기본 필독 기초거시경제 핵심 이론 요점 정리 8. 환율과 국제수지 (1) | 2023.02.18 |
경제학과, 경영학과, 기본 필독 기초거시경제 핵심 이론 요점 정리 7. 화폐공급과 인플레이션 (1) | 2023.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