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공연예술

중국학과, 중문학과 및 중국이 보이는 중국공연예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8. 희곡 양식의 출발: 잡극

반응형

 

8. 희곡 양식의 출발: 잡극

(1)잡극의 출현

잡극의 탄생

금원간金元間대도大都를 중심으로 북방에서 북곡北曲을 이용하여 탄생

원잡극元雜劇,

북잡극北雜劇

 

*희곡 성립 이전의 공연예술 가무희,연극,강창,괴뢰희,영희,송잡극,금원본

 

*가무희

노래()와 춤()으로 간단한 이야기를 연출 궁중을 중심으로 한 귀족 사회에서 유행

 

*송잡극

관본잡극단수官本雜劇段數 - 제목 280 송잡극 배우

말니末泥, 인희引戲, 부정副淨, 부말副末, ,

 

*강창

1인이 아니리()와 노래()로 이야기를 전달 간단한 반주

제궁조諸宮調

 

*제궁조

금나라 동해원董解元

서상기제궁조西廂記諸宮調

희곡의 체제에 매우 근접

원잡극 왕실보王實甫서상기서상기제궁조를 개편

잡극의 완성

잡극은 금나라와 몽고시대에 북방에서 완성되어 일시에 유행

 

(2)잡극의 체제

1) 음악의 구성원리

잡극은 북곡北曲을 사용 곡패연투체曲牌連套體

궁조宮調, 곡패曲牌, 투곡套曲

북곡 칠음계를 사용

, , , 변치變徵, , , 변궁變宮

북곡의 정조

명 중기 서위徐渭남사서록南詞敍錄

북곡을 들으면 사람의 정신이 고양되어

머리칼도 상쾌해지고, 사람의 의지를 용감하게 만드니 북방 사람들은 참으로 노기를 잘 돋군다.

 

*궁조

조성調性

황종궁黃鐘宮, 정궁正宮, 선려궁仙呂宮, 남려궁南呂宮, 중려궁中呂宮, 대석조大石調,

상조商調, 월조越調, 쌍조雙調

 

*궁조인상론

각 궁조는 특정한 감정을 표현하기에 적합

원나라 燕南之菴연남지엄창론唱論의 궁조 인상

 

*곡패曲牌

곡패는 곡조의 제명

궁조별로 다수의 곡패 존재

북곡의 곡패는 원대에는 총 380 종 정도 잡극에는 250 곡 정도 사용

 

*투곡套曲또는 투수套數

곡패를 여러 개 연결하여 만든 조곡組曲

한 투곡은 한 궁조에 속하는 곡패를 사용

 

문학의 체제 :

2) 극본의 형식

잡극은 4 구성이 철칙

소수의 예외 존재조씨고아趙氏孤兒5

1 절은 음악적으로 1 투곡

잡극 1 편은 4 투곡

설자楔子

1절 앞 또는 절과 절 사이에 끼우는 짧은 도막

음악적 으로는 한두 곡의 곡조(곡패)와 대사로 구성

잡극 역시 창, , 으로 구성

- 노래. 운문.

- 몸짓

- 노래하지 않는 대사. 운문, 산문

 

, 노래하는 곡사曲辭는 운문, 매구에 압운押韻

운자韻字19 주덕청周德淸중원음운中原音韻》 •곡운曲韻의 가장 큰 특징은 입성入聲의 소멸

입파삼성入派三聲

곡률曲律- 곡사曲辭의 격식

정궁正宮 단정호端正好

4 구식句式6776, 매구 압운.

仄平平平平仄( ), [ ][ ] ( ).( )[ ] ( ).

*仄聲, 平聲, []은 측성이 정격이며 평성도 허용.

•〈두아원2[단정호]

[正宮端正好] 沒來由犯王法, ~

- 노래하지 않는 대사

빈백賓白

 

*관한경關漢卿두아원竇娥寃의 첫 장면

복아 채 노파가 등장하여 시를 읊는다.

꽃은 다시 필 날 있으나,/

사람은 젊은 날 다시 없구나./

늘 부귀할 필요 없이/

안락하기만 하면 신선이지.

(卜兒蔡婆上, 詩云)花有重開日, 人無再少年. 不須長富貴, 安樂是神仙.

 

【①】이 늙은이는 채 노파입니다. 초주 사람으로서 가족은 세 명입니다만 불행히도 남편은 이미 죽고 올해 여덟 살 된 아들 하나만 있어 두 모자가 살아가고 있습니다.

집에는 재물이 제법 있습지요.

【①】老身蔡婆婆是也. 楚州人氏, 嫡親三口兒家屬. 不幸夫主亡逝已過, 止有一個孩兒, 年長八歲. 俺娘兒兩個,過其日月. 家中頗有些錢財.

 

【②】이 곳의 두수재라는 선비가 작년에 나에게 은자 스무 냥을 빌려 가 지금은 원금과 이자가 마흔 냥이 되었습니다. 나는 여러 번 받으려 하였지만 그 두수재는 가난하여 값을 길이 없다고 말합니다.

【②】這裏一個竇秀才, 從去年問我借了二十兩銀子, 如今本利該銀四十兩. 我數次索取, 那竇秀才只說貧難, 沒得還我.

 

그에게는 일곱 살 난 딸이 하나 있는데 예쁘고 귀여워 내 마음에 들었습니다. 우리집에 며느리로 주고 빚 마흔 냥을 제하면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일 아니겠습니까? 오늘이 일진이 좋아 딸아이를 우리집에

데려다 준다고 하였습니다. 돈 받으러 나가지 말고 집에서 기다릴 것입니다.

他有一個女兒, 今年七歲. 生得可喜, 長得可愛. 我有心看上他, 與我家做

 

곧 두수재가 오겠지. 충말이 두천장으로 분장하여 정단이 분장한 단운을 데리고 등장하여 시를 읊는다.) 【③】這早晩竇秀才敢待來也.

 

배우들의 동작의 총칭

무용에 가까운 동작

 

삽과타원揷科打

극의 진행과는 필연적 상관관계 없이 삽입하여 연기하는 우스개

대사 몇 마디 길이의 짧은 것에서부터 하나의 독립 작품으로 인정할 수 있을 정도로 긴 것도 있다.

제목題目

정명正名

극의 줄거리와 주제를 요약 •《원곡선元曲選두아원竇娥寃의 제목 정명

題目後嫁婆婆개가하려는 시어미 마음 돌아섰어도 수절 열녀는 마음 굳기만 하네 바람 부르고 눈보라 뿌리는 머리 없는 귀신 하늘과 땅 울리는 두아의 원혼

 

 

3) 잡극의 연출방식과 무대

잡극의 각색

, ,

은 명나라 때 남희의 영향으로 추가

체 말 - 도구의 총칭

시공간의 이동과 변화는 대사로 전달

 

•《두아원1, ‘1채노파蔡婆婆새로의賽盧醫에게 빚을 받으러 가는 장면

- 채노파의 집에서 새로의의 약국으로 장소 변화

(복아 채노파가 등장한다.) 채노파: 늙은이는 채 노파입니다.(卜兒上, ) 老身蔡婆婆.

채노파: 나는 이전에 산양현으로 이사 와서 조용히 살고 있습니다. …… 나는 며느리에게 성 밖 새로의에게 돈 받으러 간다고 알려 주었습니다.(걷는다) 이 모퉁이를 지나서 담벼락을 돌아서 벌써 그의 집에 다 왔구나. 새로의, 계시오 새로의: 아주머니, 집안으로 들어오시우.

我一向搬在山陽縣居住, 盡也靜辦. …… 我和

 

(3) 잡극의 작가와 작품

1) 원나라

몽고족은 1234년 중국대륙의 북방을 점령 1279년에 중국 대륙 전체를 점령

몽고족 치하에서 한족 사회는 전통적 질서 해체, 새로운 질서 구축

문인文人의 지위 추락

문인이 잡극 창작에 참여

원잡극의 시기 구분

 

전기: 몽고시대(1234~1279)

- 관한경關漢卿(현실주의 경향, 생생한 구어체로 당시 사회현실을 충실히 반영),

- 왕실보王實甫(낭만주의 경향, 우아한 문체로 고전적 소재를 즐겨 다룸)

 

*<대도명령 > 주요 줄거리

원대元代의 유명 배우 주렴수珠秀는 탈적脫籍하여 배우보다는 현모양처로 살기를 바라지만, 그녀의 오랜 동료이자 연인인 관한경關漢卿은 조정의 의원보다는 잡극雜劇작가와 배우로서의 삶을 자신의 천직이라고 여기며 극 창작에 매진한다. 조정의 장군인 빠투루巴圖魯는 잡극을 좋아하여 자주 행원行院에 들르면서 주렴수를 사랑하게 되고, 주렴수의 진심을 알고는 자신의 목숨을 걸고 주렴수의탈적 문서를 빼내준다. 그러나 주렴수는 관한경의 모습을 보며 자신의 삶은 무대 위에 있을 때 비로소 의미가 있음을 깨닫고는 탈적 문서를 찢어버리고, 배우로 남기로 결정한다. 무대 위에서는 화려하지만 무대 아래에서는 모욕적인 삶을 살았던 원대의 배우들, 하지만 그들은 결국

무대 위의 삶을 천명으로 받아들이고 예술혼으로 승화시킨다.

 

관한경의 두아원竇娥寃

중국희곡 중 가장 비극적인 작품

가련하고 의로운 주인공 ‘1두아를 통해 사회의 불의를 폭로

결말은 상투적 대단원

 

왕실보의 서상기西廂記

당나라 원진의 전기소설 앵앵전 을 개편

금나라 동해원의 제궁조 서상기제궁조

원래 비극적 결말이 희극喜劇적으로 바뀜 사랑에 빠진 청춘 남녀의 고뇌와 환희

전통적 질서와 욕구 실현의 의지 사이의 타협과 조화

 

후기: 일통시대, 지정시대 (1280~1367) 후기에는 작품의 질과 양이 퇴보

남방으로 전파

정광조鄭光祖천녀이혼 교길 양주몽

*원곡사대가:관한경, 백박, 마치원, 정광조 *원곡육대가:사대가에 왕실보, 교길을 추가

 

2)명나라

명대의 잡극: 전기와 후기로 구분

-전기: 명초부터 정덕正德년간까지 (1368-1521)

-후기: 가정嘉靖년간부터 명말까지 (1522-1644)

 

 

 

 

전기의 잡극

원잡극과 대동소이

궁정을 중심으로 귀족 사회에서 유행

작가는 황족 및 그들의 어용 작가

-주권朱權(1378~1488)영왕寧王,

주원장朱元璋의 제17

-주유돈朱有燉(1379~1439) 주왕周王,

주권의 조카

-국조16國朝十六人

 

*주권

대라천大羅天, 탁문군卓文君12 편 창작

잡극의 이론과 작가 및 작품을 정리한 태화정음보太和正音譜저술

 

*주유돈

잡극집 성재악부誠齋樂府, 잡극 31 유가 윤리 선양

도탈극度脫劇

 

국조16國朝十六人

명초16明初十六子

어용작가御用作家, 중하층 서리胥吏

-곡자경谷子敬: 원말 추밀원樞密院연사

-탕식 : 연왕 주체 의 시종

-가중명 : 주체의 시종

신선도화극神仙度化劇

 

후기의 잡극

정통 문인들이 잡극 창작에 참여, 잡극의 문인화

단극短劇출현

4절 구성 원칙에서 벗어나 1 절 또는 2 절로 구성된 작품

남북합투南北合套출현

남곡과 북곡을 혼용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초반 사이에 북방지역에서 문인 극작가 출현

- 강해康海(1475~1540)

- 왕구사王九思(1468 ~ 1551)

- 이개선李開先(1502 ~ 1568)

3 인은 모두 진사進士출신으로서 중년기에 관계에서 불의의 타격을 입어 귀향

잡극 창작을 통해 개인의 울분을 표출 발분저서發憤著書가 잡극의 창작동기로 작용

희곡이 전통적 의미의 문장으로 취급받기 시작 강해, 중산랑中山狼

왕구사, 중산랑원본 中山狼院本

두보유춘杜甫遊春

이개선, 잡극집 일소산一笑散

16세기 중반부터 강남 지역의 문인들이 대거 잡극 창작에 참여

서위徐渭(1521 ~1593), 사성원四聲猿

명말 만력萬曆년간에 강남 출신 문인 극작가 대거 출현

잡극 고유의 민중적 기풍이 사라지고 우아한 문인 취향으로 변화

 

3) 청나라

정진탁鄭振鐸(1898-1958) 청인잡극초집淸人雜劇初集》〈서언序言

청대 약 300년 잡극의 시기를 네 단계로 구분

순치順治강희康熙1644-1722

옹정雍正건륭乾隆1723-1795

가경嘉慶함풍咸豊1796-1861

동치同治광서光緖1861-1908

광서는 1908년까지이나 선통宣統까지 포함하는 단계로 보아야 더욱 정확할 것이다.

건륭까지는 전기, 가경부터 광서까지는 후기 문인극文人劇완성

시정의 무대에서는 잡극이 사라지고 일부 개인의 가반家班에서만 상연

창작은 꾸준히 이어져 문인극 확립 희곡은 작가 내면을 직접 토로하는 수단

 

사심극寫心劇

잡극 창작을 통하여 자아의 내면을 토로하는 작품

1)등장인물의 입을 통하여 자아를 대변

2)작가가 직접 극중에 들어가서 자신의 내면을 직접 토로

잡극은 더 이상 희곡(연극)이 아니라 개인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문체의 일종

1)등장인물의 입을 통하여 자아를 대변

- 우동(1618-1704) 독이소

- 혜영인 (1637-1676)차담가

- 정유 (1653 전후 재세) 멱라강 ,등왕각

2)작가가 직접 극중에 들어가서 자신의 내면을 직접 토로

요연 (1644-1705)시주별집 4

서희 (1732-1807)사심잡극 18

*요연 시주별집소비파

(생이 등장한다.) …… 소생은 성은 요, 이름은 연, 별호는 시주柴舟이며, 소주 곡강 사람이올시다. 사람들은 모두 제 몸이 제비처럼 가볍고, 뼈는 장작처럼 말랐다고 합니다만, 부귀가 또 무엇이 어렵겠습니까! 말은 이렇게 하지만 입에만 달린 것, 가난하여 살아갈 길이 없습니다. 며칠째 쌀독이 바닥났으니 문장을 논한다고 요기가 되겠습니까? 술잔도 비었 으니 글자를 씹는다고 취하겠습니까 빈곤의 시름 하루하루 심해지니 풍성한 해는 또 언제일까요? (축이 궁귀窮鬼로 분장하여 등장한다. 이리저리 다니며 우스개를 한다.) 보시오. 궁귀가 가장 쫓기 어려우니 웃다가 울다가 인정도 없고 감정도 없어. 전후좌우를 떠나지 않으니 주매신이 둘인가. (잡이 학마 로 분장하여 등장한다. 이리저리 다니며 우스개를 한다.) 또 학질 귀신 붙기 쉬워. 추웠다 더웠다 갔다가 왔다가. 봄 여름 가을 겨울 분간도 못해. ……

-작가 요연이 주인공으로 바로 등장하여 자신의 신세를 풀어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