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유선방송의 뉴미디어화
1) 유선방송 기술 개요
• 유선을 통한 가정 내 방송 서비스
・ 동축 구리선 사용
• 아날로그: 60여개 채널, 디지털 변환 후: 200개 이상 채널 제공 가능
• 종류: 중계유선방송 (난시청해소 위해 1960년대 시작), 종합유선방송
(케이블 텔레비전 사업자로 1995년 시작)
• 디지털 전환은 2005년부터 시작
2) 종합유선방송 운영체제
• 시스템 운영업자(SO): 케이블 방송사 운영, 가입자와 계약
• 전송망 사업자(NO): 케이블 망 구축 및 제공
• 프로그램 공급업자(PP): 방송 프로그램 공급
• 시스템 운영업자(SO)
・ 채널 편성권 보유: 자체 프로그램 제작 또는 외부 프로그램 구입
・ 지역케이블 방송사로 운영
・ MSO(다중 시스템 운영자) 등장. 2000년 통합방송법으로 겸영과
복수의 SO 소유 허용. 2018년 5개 MSO가 92개 SO 중 83개 소유
・ 복수수직통합사업자(MSP)와 복수프로그램공급자(MPP) 등장
• MSO 현황(2021)
・ 상위 3개: 엘지 헬로비전, 에스케이브로드밴드, 딜라이브
• 프로그램 공급업자(PP)
・ 시스템 운영자에게 프로그램을 공급: 채널단위로
・ 각 지역 SO와 장기적인 프로그램 공급 계약.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공: 자체 제작, 외부 구매, 지상파 또는 영화 콘텐츠 제공
・ 2000년 통합방송법 이후로 확대. TVn 등 몇몇 PP는 높은 시청률을
보임. 케이블, IPTV, 위성방송 등에 프로그램을 공급
• MPP 현황
・ 상위 5개: 중앙홀딩스, 매일경제신문사, 티와이홀딩스, 문화방송, 한국방송공사
3) 종합유선방송 도입 역사
• 1995년 3월 본 방송 (39개 SO, 21개 PP)
• 2000년 통합방송법 시행으로 SO 소유 규제 완화
• 2002년 위성방송 본 방송 시작하여 종합유선방송 경쟁자로 등장
• 2005년 디지털 케이블 TV 서비스 개시
• 2012년 지상파 방송 디지털 전환 완료. 종합유선방송 가입자들의
디지털 전환 필요성 증대
4) 케이블 텔레비전의 디지털화
• 기술표준 결정
・ 2000년 미국에서 오픈 케이블 방식으로 기술 표준 결정
・ 전송방식은 광동축혼합망(HFC; Hybrid Fiber Coaxial)
• 전환 비용 문제
・ 영세 SO의 부담 문제
・ DMC(Digital Media Center) 설립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센터 설립.
디지털 방송장비 집결
・ 2005년 2월에 최초로 디지털 케이블 본 방송 시작
• 가입자 디지털 전환 문제
・ 클리어 쾀(Clear QAM) 서비스 제안으로 셋톱박스 없이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청 가능
・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TV에 칩을 내장하여 제공
5) 디지털 케이블 TV 주요 이슈
• 유료방송 시장 경쟁 (위성방송, IPTV 등)
・ 특히 IPTV의 가입자 및 이용 증가
• 지상파 재송신 논란: 2010년부터 유료화 반발, 2016년 지상파 VOD
공급 중단, MBC 광고 송출 중단 위협, 매년 지상파 재송신료 인상
• 아날로그 서비스 가입 가구의 디지털 전환과 클리어쾀 도입
• 미래 플랫폼 전쟁 대비 (모바일 동영상 스트리밍)
・ 시즌 (TVING과의 합병)
6) 디지털 케이블 TV 가입자 변화
• 위성방송, IPTV 등의 유료방송시장 경쟁
• 2015년부터 가입자 감소 추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