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1)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도입 개요
• 90년대 중반부터 텔레비전의 디지털화 진행
・ 동영상 압축 기술 개발로 기반 마련
• 미국, 유럽, 일본이 각각 별도의 디지털 표준 개발
• 정해진 디지털 표준은 다양한 방송 매체에서 활용
• 전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 중단, 디지털 방송으로 완전 전환 진행 중
2) 아날로그 TV와 디지털 TV 비교
구분 | 아날로그 TV |
디지털 TV | |
SDTV | HDTV | ||
주사선수 | 525개 | 704*480 | 1280*720 1920*1080 등 |
해상도 | 약 330선 | 700선 이상 | |
음질 | 2채널 FM 스테레오 | 5.1 멀티채널 | |
화면비 | 4 : 3 | 4 : 3 또는 16 : 9 | 16 : 9 |
채널 | 1채널(6MHz)에 1방송 |
1채널(6MHz)에 4~6개 가능 |
|
부가기능 | 일방향 서비스 문자다중방송, VBI를 이용한 데이터방송 |
홈쇼핑, 홈뱅킹, 인터넷 접속, 전자투표 등 양방향 방송 |
3)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 분포
• 디지털 지상파 TV 전송방식 종류와 지역
・ DVB-T: 유럽을 중심으로 대다수 국가에서 사용
・ ATSC: 미국, 캐나다, 한국, 멕시코에서 사용
・ ISDB-T: 일본에서 사용
・ DTMB: 중국에서 사용
4) 국내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도입 역사
• 1997년 미국의 ATSC 방식 선정. DVB 방식의 수월성 주장으로 갈등
발생
• 2004년 7월 4인 대표 합의로 DTV 전송 방식 결정. DMB 주파수를
지상파에 할당 약속
• 2012년 12월 31일 아날로그 방송 중단
• 2013년 UHDTV를 위한 지상파 방송 고도화 협약 (UHDTV) 체결
5) 디지털 방송용 주파수 이슈
• 디지털 방송 시범 서비스 당시
・ 아날로그 방송: VHF 대역에서 6MHz 할당
・ 디지털 방송 시범 서비스를 위해 임시로 400MHz~800MHz 주파수 대역 할당
• 디지털 방송 완전 전환 후
・ 700MHz~800MHz 대역을 이동통신용으로 배정하여 방송계 반발
・ 700MHz 대역 중 30MHz를 UHD 방송용으로 할당
・ 2016년, 5개 방송사에 6MHz씩 할당 완료
6) UHDTV 도입 이슈
• 지상파의 초고화질화 계획
・ 2013년 3월: 지상파 방송 고도화 협약
・ 2014년: 지상파 UHD 시험방송
・ 700MHz 대역 중 30MHz 할당
・ 2017년: 수도권 UHD 본방송
・ 2019년: 수익 악화로 UHDTV 도입 지연
• UHDTV 도입의 문제
・ 추가 주파수 필요, 방송장비 교체 필요, 시청률 및 수익률 하락
7) 지상파 방송의 뉴미디어 대비
• UHD 서비스 제공
・ 대형 스크린, 초고화질 제공
• N 스크린 전략
・ 지상파 콘텐츠를 다른 매체에도 제공 (케이블 등)
・ 인터넷망을 통한 OTT 서비스 제공
국내: WAVE(지상파 3사와 SKT 합작), Tving(CJ ENM, JTBC 합작)
해외: Netflix, Disney+, Apple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