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학개론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4. 과학적 탐구와 객관성

반응형

4. 과학적 탐구와 객관성

1) 사회현상의 과학적 탐구 방법


특정한 사회학적 진술이 객관성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사회현상의 원인과 결과를 연관시키는
그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과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입증해야 함
■  사회학은 가설의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해 몇 가지 연구방법을 이용해 왔음


(1) 실증적·경험적 연구
■  실증적·경험적 방법에 입각한 연구를 통해 가설의 과학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으로서 꽁트
(Auguste Comte)와 뒤르켐(Emile Durkheim)의 연구 방법을 계승한 것
■ 주관적 가치와 견해를 배제해야 하며, 이를 위해 실험, 관찰 등 자연과학의 연구 방법을 원용
■  실험에서는 두 집단의 비교를 위해 인위적인 통제
- 사회현상을 통제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기에 의사실험(quasi-experiment)이나 설문조
사(survey research)의 방법을 사용
① 의사실험은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특정한 변수의 영향을 비교해볼 수 있는 여러 집단
을 표본으로 뽑아 서로 비교하는 것
② 설문조사는 설문지를 통해 다양한 변수를 조사하고 이러한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
■  출산율이 감소한 원인이 무엇인지 설문조사연구 방법으로 하게 되면
① 먼저 예상할 수 있는 원인들을 추려내서 가설을 만들고,
② 이를 설문지 형태로 구체화된 설문들로 바꾸어 만들고,
③ 결혼한 가임 연령대 여성들 혹은 결혼한 부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④ 이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출산율 감소의 원인들을 밝혀내게 됨
⑤ 이러한 ‘경험적 일반화’의 절차를 통해 검증된 가설이 명제로 정리되고 이런 명제들
을 엮은 것이 ‘추상적 이론’이 됨
■  기본적인 연구 논리의 예
- 가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정치적으로 진보적
- 작업가설: 학력이 높을수록 진보정당 지지율이 높음.
- 설문지 문항 1: 당신의 최종 학력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십니까?
① 무학~초졸 ② 중졸 ③ 고졸 ④ 2년제 대졸 ⑤ 4년제 대졸 ⑥ 대학원 졸 ⑦ 기타
- 설문지 문항 2: 당신은 다음 중 어느 당을 지지하십니까?
① xx극우당 ② ○○보수당 ③ △△중도당 ④ □□진보당 ⑤
◍◍극좌당
■  실증 및 경험 연구의 문제점
- 경험적 분석을 통해 얻어진 진술만 객관적 진리라 본다는 것. 그러나 현실에는 사례를 관찰하거나 조사하기만 해서는 확인할 수 없는 것들이 있고 항상 모든 사례를 다 조사할 수
없는 경우가 매우 많음
- 사회현상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주변 관계의 변화에 따라 반응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새로운 경험적 분석이 보태지지 않으면 이론과 명제들을 일반화시키기 어려움


(2) 해석학적 연구
■  해석적 방법은 베버(Max Weber)의 이해 사회학을 연구 방법에 기초로 함
■  인간 행위의 파악하기 위해서는 외양적인 관찰은 한계를 가지며 행위자들의 감정이나 의도
를 이해해야 타당한 설명이 가능하다는 입장
■  따라서 자연과학에서와 같은 경험적 관찰이나 조사를 통해 수집된 수량적, 경험적 자료보다
는 행위자들의 감정과 의도 등을 이해하기 위한 감정이입이나 해석의 과정이 중요
■  가치판단을 배제하기 위해 행위가 이루어지는 상황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관찰된 자료를 양
적으로만 처리하는 실증 · 경험적 연구로는 인간의 행위를 설명하는 데 불충분. ‘사람은 겉
모습만으로는 판단할 수 없다’는 것
→ 따라서 개인행위들의 주관적 동기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 감정이입, 추체험, 직관적
이해, 상상적 사고실험 등이 필요
■  하지만 이런 이해의 과정은 객관적으로 가능한 인과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예비적 과정’이고
설정된 인과관계는 경험 자료들을 통해 입증되어야 함. 단 이때의 경험 자료는 양적·통계적
자료일 수도 있지만 질적 자료(참여 관찰, 심층 면접,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일 수도 있음
→ 베버의 ‘해석적 이해’와 ‘인과적 설명의 결합
■  실증적 연구에서 출산율 감소의 원인을 해석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는 경우
- 설문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결혼한 부부들이 어떤 감정, 의도, 동기로 출산을 하지 않게 되
었는지를 이해해야 함
- 실증적 연구에 앞서 행위자들의 주관적 행위에 대한 이해가 선행하지 못하면 설문지 문항
과 선택지 구성에 어려움
■  해석적 방법과 실증 · 경험 연구의 상호보완성
- 해석적 연구가 실증적 연구의 선행 과정이 될 수도 있고 인과관계를 확정하는 근거가 되
기도 하며 실증적 연구의 결과물의 의미가 해석적 연구를 통해 해석될 수도 있음
■  해석적 연구와 질적 방법론
- 해석적 연구는 통계적 수치의 많고 적음으로 의미를 판단하는 양(量)적 연구에 대비되는
질(質)적 연구 방법의 타당성을 보여주는 근거가 되며 이는 행위자들의 감정, 동기, 가치
등을 이해하려는 심층면접, 참여관찰, 문헌연구 등에서 활용될 수 있음


(3) 총체론·관계론적 연구
■  실증적·경험적 연구 비판
- 단순히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만 관찰해서는 사회현상을 이해할 수 없으므로 심층적 구조
와 법칙을 발견해야 함
■  해석적 방법 비판
- 심층 구조와 법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주관적 의미의 이해만이 아니라 ‘사회관계’
에 대한 연구에서 출발해야 함
■  예시1 : 자본주의적 사회관계 파악하기
- 개인의 의도·동기나 외적 관찰로 설명되기 힘든 경제적 자원 분배 및 교환의 규칙이 존재
- 사회관계를 총체적으로 보아야 계급 간, 집단 간의 적대가 형성되고 작동하는 규칙 설명
■  예시2 : ‘입시경쟁이 학교 성적을 향상시킨다.’라는 명제
- 실증적으로 참이라도 사회 전체적으로 경쟁과 사교육 과열, 창의력 고사, 교육 불평등 심

- 사회 현실을 심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부분적 진술을 의심할 필요가 있음
- 개별적 사실에 대한 부정과 비판으로 종합적 인식을 추구해야 함
■  변증법적 사고
- 사회관계 속의 모순과 적대에 주목하면서 이것들이 사회변동을 낳는 과정 설명하려고 함


(4) 이상의 세 연구방법은 사회현상에 대한 가설 진술을 검증하는 논리로 어느 하나
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섞어서 사용을 해야 복잡한 현대 사회를 설
명할 수 있음


2) 사회학적 탐구에서의 객관성


(1)사실판단과 가치판단
■  베버의 용어로서, 사회학자들은 객관성에 기초한 ‘사실판단(fact judgment)’을 추구해야 하며
이를 위해 자신의 주관적 사고의 개입을 가능한 배제하고, 감정이나 선호에 따른 ‘가치판단
(value judgment)’과 ‘당위성’을 경계해야 한다는 것
■  가치판단과 사실판단의 의미
- ‘관료제 시스템은 나쁘다.’, ‘이혼은 바람직하지 않다’ 등과 같이 어떤 선호나 가치평가가
개입된 판단이 가치판단이고 ‘한국의 간통죄는 폐지되었다.’, ‘서울 올림픽은 1988년에 개
최되었다’ 등과 같이 진위를 논하는 것이 사실판단
■  사실판단은 과학적 판단으로서 객관성을 지녀야 한다는 가정에 기초함
- 이런 객관성은 주관적인 가치판단으로부터 자유로운 ‘가치자유(value free)’ 또는 ‘가치중
립(value neutrality)’을 통해 확보할 수 있다고 봄. 이런 가치자유는 자연과학의 실험에서
처럼 같은 조건이라면 누구에게나 같은 연구결과를 낳는 ‘객관적인 규칙과 절차’를 따름으
로써 가능하다는 것
■  주관적 가치가 개입되는 가치판단은 과학의 영역인 학문이 아니라 공동체의 목표를 설정하
는 정치나 행위의 정당성을 따지는 도덕의 영역에서만 개입될 수 있다는 것
■  학문적 사실판단이 정치적·도덕적 가치판단을 정당화할 수는 없음
- 학문의 객관성, 가치중립의 요구와 정치의 가치 추구 사이의 거리
- “비정규직의 창출이 사회불안과 갈등을 심화시킨다.”는 학문적 사실판단
- 그러므로 사회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비정규직을 철폐해야한다.”는 정치적, 도덕적 판단
■  학문의 영역에서 사실판단과 가치판단을 구별되는 것이 옳지만 이를 현실에서 엄격하게 적
용하고 판별하기는 쉽지 않음
■  사회학자의 연구는 일련의 학문적 관심과 선택을 전제로 할 수밖에 없음
- 주제와 대상을 학자가 정하고 어떤 인과관계를 연구할 것인지 선택함
이것은 학문적 ‘가치관련(value relevance)’


(2) 객관성과 윤리
■  베버는 ‘사회과학적 현상’이 가지는 의미는 그 자체가 ‘객관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자의 연구 관심의 방향에 따라 정해지고, 연구 대상과 인과관계에 대한 추적의 정도는 학
자와 그 시대를 지배하는 가치 이념에 의해 규정된다는 점을 인정
■  다만 베버는 이론적 관심과 연구가 실제적 · 실천적 관심에 의해 규정되는 것은 불가피하지
만, 학자의 윤리는 객관적인 학문과 탐구를 위해서는 가능한 한 그러한 영향을 물리치고 노
력해야 한다는 것. 가치판단으로부터 자유와 중립을 지키려고 노력하는 것이 학자의 윤리라
는 입장을 제시함


(3) ‘객관화의 객관화’
■  학문의 영역에서는 사회현상에 대한 주관적인 편견, 자기중심적 사고를 넘어서기 위해 객관
적 인식 방법을 통해 사회현상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려고 노력하는데 이러한 인식 방법을 ‘객
관화’라고 함
■  사회학자들도 객관화를 통해 객관적 인식을 추구하려 하지만 엄격한 방법을 사용한다 하더
라도 주관적 이해관계, 선호, 가치로부터 완벽하게 자유롭지 못함
■  더 엄정한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사회학자들도 가치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
못하다는 사실을 인정할 필요 있음
■  사회학자 부르디외(Pierre Bourdieu)는 학자들의 인식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
존재조건들, 예를 들면 사회경제적 계급 · 성 등을 살펴봄으로써 사회학자들의 ‘객관적 인식
자체의 객관성’을 비판적으로 바라 볼 필요가 있다고 함


- 부르디외의 <구별짓기>

* 사회적 계급과 취향(taste/goût)의 상관관계
* 문학적, 음악적, 미술적, 음식의 취향과 연관되는 사회적 계급
* 경제적 자본 이외에도 문화적, 사회적, 상징적 자본이라는 분류


■  ‘객관화의 객관화’가 필요
- 학자가 생산한 객관적 지식을 그의 사회적 존재조건에 비추어 다시 객관화해서 살펴보는
것이 ‘객관화의 객관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