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학개론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3. 사회를 과학적으로 인식하는 방법

반응형

3. 사회를 과학적으로 인식하는 방법

 

다른 사회과학들과 마찬가지로 사회학 역시 사회를 객관적· 합리적·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설
명하려는 학문으로서 주관적이고 비합리적이며 비과학적인 사고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 옴
■  사람들이 일상적인 경험과 사고 속에서 얻게 되는 지식과 시각은 개인이 갖는 한계 때문에
자기중심적인 선입견이나 편견 등에서 자유롭지 못한 경우가 많음
■  인식의 한계와 오류를 벗어나기 위해 비과학적인 오류의 형태를 분류하고 각각의 경우를 극
복할 수 있는 과학적인 인식방법이 제시됨

 

 

1) 객관적 · 합리적 사고


(1) 개인들은 주관적이고 비합리적인 사고로 인해 선입견과 고정관념에 쉽게 빠짐


(2) 사회학은 경험연구를 통해 주관적인 믿음, 선입견, 고정관념들의 기원을 밝히고
객관적인 인식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함
■  예시
- 외모나 성, 출신 지역에 따른 선입견
- 사회 혼란기의 사재기
- 미신이나 종교
º 비합리적이고 신비주의적 믿음으로서 정신적인 안정감을 줄 수는 있으나 과학적인 인
식을 제공할 수는 없음
  종교현상을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연구하는 종교사회학과 종교의 교리 자체를 신봉
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임


(3) 감정이나 편견의 비합리성에서 벗어나기 위해 열린 사고를 통한 지속적인 자기
성찰적 변화의 노력이 필요
■  베이컨(Francis Bacon)의 우상론(The Idols)
- 종족의 우상
º  인간이라는 종의 일반적 본성에서 비롯되는 선입견
º  인간의 지각이나 오성이 인간중심적 편견으로 인해 사물이나 대상의 본성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왜곡하는 것
º  “이 나무의 이름은 비자나무?”
- 동굴의 우상
º  개인의 심리적 편견
º  각자의 특수한 학습과정과 사회적 교류에 따라 특유한 성격을 지니게 되어 마치 동굴
속에서 빛이 굴절되듯 진리의 빛이 굴절됨
º  동굴 속에 갇혔던 고립과 소통부재에 의한 편견
- 시장의 우상
º  사람들이 소통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편견
º  시장에서와 같은 인간들의 교류와 소통은 화폐와 같은 인위적 가치를 만들거나 자의
적인 언어를 만들어내어 사물에 대한 사실적 인식을 방해함
º  “비싸니까 무조건 좋은 물건”, “습하다”
- 극장의 우상
º  진리의 권위를 내세우는 허위적 관념이나 의견
º  극장 무대 위에서 상연되는 가공된 이야기가 대중적 권위를 가지듯이 잘못된 논증의
규칙이나 그릇된 학설이 권위를 가지면서 나타나게 됨
º  권위 있는 미디어나 메신저의 말을 무조건 수용, 그 반대는 배척
- 원래 우상론은 자연적 사물에 대한 객관적 인식 문제를 다루는 것이지만 사회현상의 객관
적 인식문제를 이해할 때에도 도움이 됨


2) 비교적 사고


(1) 개인들은 자신이 직접 겪은 경험과 비슷하게 반복되는 일상의 반복적 학습효과
때문에 자신이 경험한 특정 시대와 지역의 제도, 문화, 생활방식 등을 전체 사회
에 일반적인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음
■  예시
- “내가 ○○를 해 봐서 아는데...”,
- “원래부터 남자는 ○○를 하고 여자는 ○○를 해야 되는 거다.”


(2) 서로 다른 시대와 서로 다른 사회를 비교해봄으로써 자기중심적 사고의 한계를
넘어서 자신들의 제도와 생활방식 등을 더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음
■  예시
- 한국인과 서구인이 원래 알고 지내던 연장자를 마주쳤을 때 인사법의 차이
- 고려시대의, 조선시대, 현대의 혼전 동거나 여성의 재혼에 대한 규범의 차이 비교


(3) 비교적 사고는 각 사회마다 문화나 제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자신들의 특수한 제도나 문화를 보편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편협하고
당연시된 사고를 넘어설 수 있도록 함
■ Ÿ 예시

- 미국예외주의 vs. 한국예외주의?
º  미국은 왜 총기사고가 빈번히 일어나는데도 총기 규제를 하지 않는가?
→ 국가와 개인과의 관계
º  미국은 왜 사회주의나 좌파 계급정당이 없는가?
→ 캐나다와 미국의 차이
º  한국 역시 사회주의나 좌파 정당의 뿌리가 깊지 않은데 미국과 상황이 같은가?


3) 역사적 사고


(1) 개인들은 시간적 경험의 한계로 자신이 살아가는 현재의 생활방식을 당연하고 자
연스러우며 변화에 대한 전망을 지니지 못하는 경향이 있음
■  예시1 : 우리는 단일민족이다?
- 역사적으로 한반도에 여러 민족이 혼재해 왔음
- 예맥족을 근간으로 역사적으로 고아시아족, 남방계, 중국계, 일본계 민족이 혼성됨
- 조선 이후 지금과 유사한 국경이 정해지고 외세와 대결하며 단일민족의식 형성
- 현대국민국가의 형성과 함께 교육과 홍보에 의한 ‘백의민족’ 등의 단일민족의식 확산
- 외형적 유사성과 동일한 언어 사용이 동일 민족성을 주장하는 물리적 조건
- 일본 등 다른 나라와의 대결의식, 스포츠를 통한 국가 간 경쟁은 정신적 요인
→ 단일민족의식은 초역사적인 것이 아니라 역사적 과정에서 사회적으로 구성된 측면
→ 다문화, 다인종 사회와 같이 사회적 조건이 변화하면 변할 수 있는 의식임
■  예시2 : 우리는 “평화를 사랑한 백의민족”이다?
- “호떡집에 불이 났다.” - 만보산(萬寶山) 사건과 반중국인 폭동
º  1931년 중국 길림성 창춘(長春) 근교 만보산 삼성보에서 조선인 농민과 중국인 농민
사이에 수로 개설 문제로 일어난 분규. 중국 경찰의 개입과 일본 경찰의 중국농민에
발포. 인명 피해 없었으나 일본의 허위 정보와 <조선일보>의 오보로 인천에 이어 폭
동 전국 확산. 중국인 사망자 100명 이상. 이후 화교 급감. 이후 만주를 침략하는 일
본이 조선인과 중국인이 공동 항일전선을 펴는 것을 두려워 한 사전 공작이라는 설
설득력
- 베트남 파병과 민간인 학살
º  한국군에 학살되었다는 민간인 5천 명. 수백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베트남전에서 비
율이 낮으나 민간인과 베트콩의 구분이 힘든 곳에서 미군에 비해 마을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토벌 작전에 많이 동원됨
■  예시3 :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합리적인 경제제도이며 현실적으로 불가피한 제도이다?
w 자본주의 경제는 봉건제가 해체되고 사유재산제가 발달하며 생긴 특수한 경제제도.
사람들의 의지와 권력을 통해 형성된 제도이고 20세기 초에는 사회주의 혁명으로 바
뀌기도 했고 유럽의 사민주의 복지국가는 자본주의를 일정하게 제한한 제도임

(2) 과거사회와 현재사회의 삶의 원리나 의식을 비교함으로써 현재 사회가 고정 불변
하는 보편적인 것이 아니라 과거로부터 변화되어온 것임을 인식해야 함


4) 관계적 · 전체적 인식


(1) 개인들이 생활하면서 스스로의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개별적, 부분적 경험을 보편
적이고 일반적인 것으로 여기면서 이러한 경험을 통해 특정한 신념을 가지거나
이에 기초한 행동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음
■  합성의 오류(The fallacy of composition) 혹은 구성의 오류


(2) 부분은 참이지만 부분들이 결합되어 전체가 되면 오류
■  예시 : 피자가게가 잘 되는 동네
- 어떤 동네에서 피자 가게가 잘 되는 것을 보고 몇 사람이 그 동네에 파자가게를 차렸다면
피자가게들의 전체 매상은 비슷한데 개별 피자가게들의 매상이 떨어져 손해를 볼 수 있는
상황이 됨
- 비록 새로 가게를 차린 개인 개인이 일정한 기대를 가지고 행동하더라도 유사한 의도를
가진 개인들이 많아지면 예상치 못한 결과가 벌어질 수 있음


(3) 이러한 인식의 오류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결합된 관계를 전체로 보는 ‘관계적, 전
체적 인식’이 필요


5) 분석적 사고


(1) ‘단순 총합적 사고’는 부분들 간의 결합적 관계에는 관심 없이 총합만을 보는 오
류에 빠지는 경우가 있음
(2) 분석적 사고는 단순 총합적 사고의 추상성을 넘어서 전체를 부분으로 나누어 보
면서 전체 속에서 부분들이 지니는 의미를 파악하려는 태도
(3) 예시
■  국가 간 자유무역협정(FTA)이 ‘국익’을 증대시킨다는 주장
- FTA는 각 나라들이 산업별로 이득과 손해를 주고받는 협상이라 한 나라의 각 산업에 종
사하는 사람들에게 다른 영향을 미침. 자동차산업, 정보산업 등에 수출이 늘고 농업, 문화
산업 등에서 수입이 늘 수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생길 수 있음
→ 기업, 직종, 계급, 집단 등에 따라 불평등을 무시하면서 단순히 총합적 사고에 따라 ‘국
익의 증대’를 내세우는 논리는 부분들 간의 분석적 차이를 보지 못하게 해 현실인식을 가
로막는 사고방식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