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용문화사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3. 고려의 문화 4

반응형

73. 고려의 문화 4

 

■ 고려 복식


1. 남성 복식
머리에 조건(검은 두건)을 쓰고 바지, 저고리, 포를 착장함
홍색포를 입고 양옆이 무릎 높이 아래로 트여 있고, 그 사이로 청색 속옷이 보이며,
가는 홍색띠를 매고 있음


2. 여성 복식
치마 위에 저고리를 착장하거나 또는 통일신라시대 복식과 같이 저고리 먼저 입고
그 위에 치마를 입기도 함
치마저고리 위에 흰색 모시로 만든 백저포를 입으며 이것은 남자의 포와 비슷함
평상시 포 착용하지 않고, 주로 치마저고리 차림이었으며 향료 주머니를 찼음

 

3. 고려 복식
이제현(1287-1367)의 초상화를 통해 유추 가능함
이조년(1269-1343)의 초상화를 통해 유추 가능함
수월관음도, 조반(1341-1401) 부인 초상화, 둔마리 고분벽화, 방배동 출토 나무
인형 등에서 고려 여성 복식 유추 가능함
고려시대 여인의 경우 얼굴 전체 가리는 몽수(개두) 쓰개를 착용하고 몽수 위에
입(笠)을 덧쓰기도 하였으나 평민여성의 경우 몽수를 걷어 올리고 다님

이제현의 초상화
이조년의 초상화
박익 벽화묘 인물도 – 남자상
박익 벽화묘 인물도 – 여자상
조반부인의 초상화
둔마리 고분벽화

1. 일반적 특징
1) 동곳 -금제동곳
2) 비녀 – 봉황을 투각한 것과 닭머리 모양
3) 귀걸이 -구형소주 3개를 연속시킴
4) 반지 -금제에 마노상보석, 녹색보석으로 장식함
5) 과대 -금, 은, 동 등을 합금하여 여러 형태로 상감하였음
6) 유리옥으로 만든 갓끈, 빗, 순은에 연화문을 음각하여 만든 머리장식 등
→화려하고 다양한 고려시대의 장신구가 전해지고 있음

고려시대 동곳
고려시대 비녀
고려시대 청동 뒤꽂이
고려시대 뒤꽂이

 

<요약정리>

 

■ 고려 문화 일반적 특징
고려시대에는 농업을 중시했고, 농민경제와 민중생활의 안정화를 위해 의창,
상평창, 제위보 등의 제도가 있었음
조선의 배타적 문화에 대비되는 개방적 문화를 지니고 있었고, 일본의 경우 명품
프리미엄을 의미하는 고유명사로 ‘고려’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하였음
시조가 처음으로 등장한 시기로 청산별곡, 가시리 등의 고려가요가 등장했음
■ 고려 예술가
고려시대에는 도화서를 설치하여 화가를 양성했고, 일반 그림과 불교화로 구분했음
배운 사람들의 기본적 교양으로 글과 글쓰기가 자리잡았음
고려청자는 고려인들의 예술적 재능과 창의력으로 제작되었고, 형태가 지니는 선의
흐름과 아름다운 색, 상감기법의 아름다움으로 여러가지 형태의 회화성 무늬가
조화를 이루었으며, 대접, 술잔, 병, 항아리 등의 식기와 문방구, 향로 등이 있었음

■ 고려 복식문화
남성은 머리에 조건을 쓰고 바지, 저고리, 포를 착장하였고, 홍색포를 입고 양옆이
무릎 높이 아래로 트임을 주고, 그 사이로 청색 속옷, 가는 홍색띠를 하였음
여성은 치마 위에 저고리를 착장하거나 또는 통일신라시대 복식과 같이 저고리
먼저 입고 그 위에 치마를 입기도 하였음
치마저고리 위에 흰색 모시로 만든 백저포를 입었고, 남자의 포와 비슷했음
■ 고려 장식문화
화려하고 다양한 고려시대의 장신구가 전해지며 동곳, 비녀, 귀걸이, 반지, 과대
등의 장신구가 있음
유리옥으로 만든 갓끈, 빗, 순은에 연화문 음각하여 만든 머리장식 등이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