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용문화사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56. 백제·신라의 문화

반응형

56. 백제·신라의 문화

공주 공산성

■ 백제·신라 문화


1. 백제의 문화사 배경


전개과정 : 삼국의 하나로 한반도 중서부에 위치, 660년 멸망한 고대국가
1) 3세기 : 고이왕
고대왕국 기틀 형성, 율령반포
2) 4세기 : 근초고왕
영토확장, 고구려와 대립, 요서와 산둥, 규슈지역으로 진출함
3) 6세기 전반 : 무령왕
지방에 22담로 설치
4) 6세기 중반 : 성왕
불교진흥, 한강유역 일시 회복시키나 신라 진흥왕 배반으로 성왕 전사함

부여족 계통인 온조집단에 의해 현재 서울지역 중심으로 건국됨
4세기 중반 황해도부터 경기, 충청, 전라 일대로 전성기
660년 나당 연합군에 의해 멸망 후 3년 간 부흥운동 전개하였으나 실패
수도 변천사 : 한성도읍기 – 웅진도읍기 -사비도읍기로 구분함
한성도읍기 지배층은 부여족 계통이 주류
세기 이후 신라, 고구려, 왜, 중국 계통 사람들도 재배세력으로 흡수됨

백제 무령왕릉
공주 공산성

세 차례 천도
- 한성시대 : 고구려 성격이 강했음
- 웅진 및 사비 : 중국의 문물 받아들여 백제화하였고, 가야 및 왜에 이를 전파함
- 공유문화권 형성에 중심적 역할

 

1) 중앙통치조직
(1) 고이왕대에 5부체제 이루어져 각 수장들은 중앙귀족이 되었음
(2) 근초고왕대에 국왕 중심의 중앙집권체제 확립함 : 관등제, 관직제, 작호제,
귀족회의제, 군사조직, 지방통치조직, 신분제 등은 한성도읍기에 기본 틀, 웅진과
사비시대에 정비되었음
관등은 중앙귀족과 지방세력들을 서열화하여 상하 구별짓는 제도
작호는 공을 세운 고위귀족들에게 수여하는 칭호
→귀족회의 모태는 족장회의체였고 이후 중앙귀족 중심의 회의체 설립

철제 농기구 등 사용으로 농업생산력 발전
경작지의 공동체적 소유 소멸되고 개별적 토지소유 가능해짐
조세제도는 조(租)·조(調)·역역제(力役制)로 구분됨
- 조(租) : 농산물 수취하는 것
- 조(調) : 가내 수공업의 생산물 또는 지방의 특산물 수취하는 것으로 풍흉의 정도에
따라 차등을 두고 수취하였음, 조(租)·조(調)는 서로 결합된 형태로 행해지기도 함
- 역역 : 국가나 지방관청에 동원되어 무상으로 노역하는 것으로 징발대상은 15세
이상의 일반민으로 주로 축성과 같은 대규모 토목사업에 동원됨

직물수공업 : 직물생산이 강세로 직조 및 염색술이 뛰어났음
제철수공업 : 백제가 왜로 보낸 칠지도는 백 번 단련한 철 사용으로 만들었고,
백제의 뛰어난 제련기술을 추측할 수 있음
수공업의 경우 왕실이나 관청 소속의 장인 또는 노비에 의해 제작되었음
수공업 기술자 중 재능이 뛰어난 자들은 와박사, 노반박사 등의 칭호 부여됨
삼베와 같은 일상적 의류 소재, 목기, 짚신 등은 일반민들이 가내에서 생산함

대외교역은 중국대륙과 일본 열도로 구분됨
특히 왜의 경우, 백제로부터 유학과 불교의 정신문화, 직조기술 등의 기술문명 등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였음
대표적 대외교역품은 견직물, 철소재, 칠제품 등
중국수입품은 서적과 약재, 글씨, 도자기, 거울 등의 고급 공예품
왜의 수입품은 왕과 왕비의 관을 만드는데 사용한 금송
토목과 건축 : 현재 실물로 남아 있는 것은 거의 없고, 사서에 이름 정도만 있음
현존하는 건축물은 정림사지오층석탑, 미륵사지목탑

정림사지오층석탑
미륵사지목탑
백제 금동대향로
새모양토기

사상과 신앙
- 유학 : 유가의 학문으로 국가통치 지배개념으로 받아들임
- 불교 : 웅진도읍기의 무령왕은 교단질서 확립을 위해 인도에서 계율을 배워 오게 함
웅진도읍기의 사찰은 대통사지가 있음
사비시대에 불교가 크게 성행하였고, 사비도성의 중심지에 정림사 창건함
백제 성왕은 왜에 불교 전파하였고, 승려와 예술가를 왜로 보내 불교문화 융성에
기여하였고, 왜의 불교 교단을 정비하였음
- 도가 사상 : 웅진도읍기 거쳐 사비 도읍기에 성행하였고, 4세기에 노자의 도덕경이 퍼져 있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