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 백제·신라의 문화 2
2. 신라의 문화사 배경
• 전개과정
1) 4세기 : 내물왕
• 고대 왕국 기틀 형성, 김씨왕위 세습, 왕 칭호는 마립간
2) 6세기 전반 : 지증왕
• 국호를 신라로 확정함, 우산국을 정벌
3) 6세기 중반 : 법흥왕
• 병부설치와 17관등 및 공복 제정-통치질서 확립, 율령반포, 불교공인, 상대등 설치, 금관가야 정복함
4) 6세기 중/후반 : 진흥왕
• 화랑도 정비와 정복 전쟁 독려함, 대가야 정복, 한강 유역 장악함, 순수비 건립
• 고대 삼국 중 하나로 7세기 중엽 백제와 고구려 평정함
• 국호 신라는 사로, 사라, 서나, 서나벌, 서야, 서야벌, 서라, 서라벌, 서벌 등으로
표기되었고, 새로운 나라, 동방의 나라, 성스러운 장소라는 의미임
• 신라의 모태인 사로국은 백운산 북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경주 평야를 무대로
형성됨
• 경주의 성곽은 외부 침입에 효과적인 방비와 방어가 가능했음
• 소백산맥은 영남지방을 보호하는 천연장벽 역할을 하였으나 교통상으로 큰
장애물로 영남지방 정착 시 울타리 안에 갇힌 것과 같이 외부로 나가기 어려웠음
• 삼국사기의 신라 시기 구분
- 제 1기-3기 : 상대
- 제 4기 : 중대
- 제 5기 이후 : 하대
• 삼국유사의 신라 시기 구분
- 제 1기와 2기 : 상고
- 제 3기 : 중고
- 제 4기 이후 : 하고
• 제1기 : 건국초기
- 신라 건국 -연맹왕국 완성까지
- 성읍국가로 경주평야에 자리잡았고, 여섯 씨족(급량, 사량, 본피, 모량, 한기,
습비)의 후예들로 구성됨
- 급량 출신 혁거세는 사량출신 알영과 혼인하였고, 성씨제 도입 시 박씨와 김씨를
칭함
- 이후 탈해집단에 의해 제압당했고 석씨로 칭함
• 제2기 : 마립간시대
- 왕호로 마립간 칭호 사용함
- 성읍 국가 지배자인 간들을 거느리고 마립간시대라고도 하였음
- 박, 석, 김 3성에 의한 교립현상이 없어지고 김씨가 왕위 독점을 세습함
- 부자상속제도가 확립되어 왕위 계승 분쟁을 예방함
• 제3기 : 비약적 발전
- 중앙집권적 귀족국가로 통치체제 갖추고 대내외적으로 크게 발전하던 시기
- 법흥왕 때 율령반포, 중요관부 설치, 진골귀족회의 제도화 등 개혁 시작되어 지증왕
때 정치적, 사회적 기반 마련됨
- 진흥왕 때 한강 유역 점령
- 관산성 공격한 백제 3만 대군 섬멸
• 제4기 : 통일신라의 황금시대
- 태종무열왕의 자손들이 왕위 계승한 시기
- 전제왕권시대로 신라 문화의 극성기(삼국사기의 중대, 삼국유사의 하고)
- 태종무열왕과 아들 문무왕이 삼국통일 성취하여 왕실 권위 고양
• 제5기 : 신라의 쇠퇴
- 원성왕 시기로 진골귀족들이 독자적 사병세력 거느림(귀족분열의 시기)
- 왕실 직계 가족 중심의 권력구조에 귀족들의 불만이 컸음
- 애장왕 시기에 율령 개정되었고, 왕의 숙부 김언승이 왕을 살해 후 헌덕왕이 되었음
• 제6기 : 신라 멸망
- 제5기 계승 또는 연장이었으나 50년 가까운 내란 끝에 멸망한 쇠망기의 시기임
- 신덕왕, 경명왕, 경애왕 등 박씨왕이 3대에 걸쳐 재위하였음
- 신라 조정이 지방을 통제할 수 없었고, 927년 후백제 견훤이 경주에서 경애왕
죽이고 김씨 출신 경순왕을 세웠음
- 고려태조 왕건과 친선정책 꾀하여 신라 수명 연장하였으나 결국 고려에 자진 항복함
• 골품제도
- 6~7세기 경 법제화된 이후 3백여 년간 지켜진 제도
- 인도의 카스트제도와 생활 전반에 걸쳐 비교된 신분제도임
- 성골 : 김씨 왕족 중 왕의 자격이 있는 최고의 신분으로 진덕여왕을 끝으로 소멸
- 진골 : 성골과 같이 왕족이나 왕이 될 자격이 없었으며 성골 소멸 후 김춘추부터
진골이 왕위에 올랐고 멸망 때까지 모든 왕들은 진골이었음
- 진골 아래 6신분 : 6두품, 5두품, 4두품은 하급귀족으로 관료가 될 수 있었음
- 3두품, 2두품, 1두품은 일반 평민과 같음
v 성골, 진골은 엄격히 지켜졌으나 4두품 이하 하층신분은 계급의 이동 있었음
• 중앙행정제도
- 중앙 제 1급 행정관부 : 병부 설치되고, 귀족회의 의장으로 상대등 제도 채택
- 사정부와 품주 설치됨
- 진평왕 시기 위화부, 선부 창설
- 진덕여왕 때 당나라 정치제도 모방한 정치개혁 : 품주 개편, 집사부 설치
- 김춘추 즉위 후에도 개혁 추진 지속되어 예작부 설치로 개혁 완성
• 화백제도
- 진골귀족출신 대등으로 구성되어 왕위계승, 폐위, 대외적인 선전포고, 불교 공인과
같은 국가 중대사 결정함
- 만장일치에 의해 의결하는 것이 원칙
• 지방행정제도
- 지방 통치 조직은 점령지의 확보책으로 설치되어 지증왕 때 정비되었음
- 군사상 필요에 따라 중심지 이동 가능
- 삼국통일 후 지방제도 개편되어 9주 5소경제도로 완성됨
- 9주는 신라, 백제, 고구려 옛 땅에 각 3개 주 설치, 국토의 동서남북 방향에 맞춰
5소경 설치
• 화랑제도
- 군사의 보충을 목적으로 한 청소년 단체
- 원광법사의 세속오계의 충, 신 등 사회윤리 덕목을 바탕으로 수련함
- 화랑 출신의 사다함, 김유신 등이 있고, 화랑세기에 “현명한 재상과 충성된 신하가
여기서 솟아나오고, 훌륭한 장수와 용감한 병사가 이로 말미암아 생겨났다”고 함
• 토지제도
- 수공업, 상업, 농업이 발전하였고, 농업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 토지는 경제적 부의 원천이 되었음
- 중앙집권적 귀족국가 성격 상 ‘전국의 모든 국토는 왕토요, 모든 국민은 왕신’인
중국의 왕토사상에 따라 모든 토지와 국민이 국왕에게 예속됨
- 삼국통일 후 관료전지급, 녹읍폐지, 세조 지급 등으로 토지제도 크게 변화함
• 예술
- 시가 문학은 불교 영향 받아 향가로 발전하였음
- 민요풍의 서동요와 풍요가 있음
- 시가와 관계가 있는 음악은 종교적 성격이 있고, 가야금이 발달함
- 6세기 중엽 가야금은 우륵에 의해 신라에 전해짐
- 대금, 중금, 소금의 3죽과 박판과 대고가 있었음
- 신라시대 미술은 건축, 조각, 공예, 회화, 서예로 구분됨
- 왕릉 : 신라왕의 주거생활을 지하 무덤으로 그대로 옮김(고총), 현세 생활도구 부장
- 사찰 : 흥륜사, 황룡사, 영흥사, 분황사, 영묘사, 사천왕사, 황복사, 망덕사 등 많은
사찰이 있었으나 현재는 남아 있지 않음
- 탑파 : 삼국통일 이전에는 목탑, 통일기 이후는 석탑이 유행하였고, 기록에는
목탑의 전체 높이가 80m 에 달하는 등 규모가 컸음
- 불상 : 황룡사의 금동장육삼존상은 신라 최대 거불로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음
- 석등, 석조, 당간지주 : 통일기 작품으로 석등은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법주사
쌍사자 석등과 석조는 경주 보문동석조, 법주사 석연지, 당간지주는 공주 갑사,
망덕사터, 부석사터, 공주 반죽동, 금산사 등이 유명함
'미용문화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0. 백제·신라의 문화 5 (2) | 2024.02.02 |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58. 백제·신라의 문화 3 (1) | 2024.01.31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56. 백제·신라의 문화 (2) | 2024.01.29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55. 고조선·고구려의 문화 5 (2) | 2024.01.28 |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54. 고조선·고구려의 문화 4 (2) | 202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