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용문화사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35. 근대 신고전주의의 문화 5

반응형

35. 근대 신고전주의의 문화 5

 

■ 신고전주의 복식


1. 복식의 일반적 특징


신고전주의 복식의 특징은 여자의 가운에서 잘 나타나고 있음
의복보다는 인체를 우선시하여 흐르는 듯한 형태의 여성복 스타일이 등장함
(엠파이어 스타일, em pire style)
고대 그리스, 로마의 복식을 연상케 하는 형태로서 자연스러운 신체의 선을 살린
실루엣으로 과도한 장식은 배제함
가슴을 많이 내놓고 허리선이 가슴 바로 밑까지 올라간 하이 웨이스트 라인에 리본
띠를 매어 가슴을 강조함

프랑스혁명을 계기로 남성 복식에서 뚜렷한 변화가 나타남
귀족의 상징인 무릎 길이의 바지는 사라지고 서민들이 입어왔던 발목 길이의 긴
바지를 착용함
원색의 비단이 아닌 수수한 모직물 코트를 착용하였고, 때와 장소에 따라 구분하여
의복을 착용하였으며, 의복의 에티켓이 형성되었음

19세기 전기에는 코트, 조끼, 바지의 옷감과 색상을 다르게 입는 것이 일반적이었음
때와 장소에 맞는 옷차림을 위한 신흥부자와 귀족 간의 경쟁
몸에 꼭 맞는 옷차림을 위해 고도의 재단 기술이 발휘되었고, 이것으로 신사다운
멋쟁이임을 과시했으며 댄디즘의 유행이 시작되었음

 

2. 남성 의복의 종류별 특징


1) 셔츠(shirt)
- 18세기의 레이스 장식 대신 앞가슴에 프릴을 달고 형태가 단순해짐
- 칼라의 폭이 매우 넓어졌으며, 칼라를 세우고 크라바트를 목에 감으면 칼라가
귓볼에 닿을 정도였음
- 상류 계층의 멋쟁이 신사는 풀을 빳빳하게 먹인 흰 칼라를 높이 세워 입었는데
여기에서 ‘하이 칼라’라는 말이 유래되었음
- 높고 뾰족한 셔츠 칼라에 장식적 타이인 크라바트를 보석 핀으로 고정함
- 직물은 섬세한 아마직물과 면직물을 주로 사용함

2) 조끼(vest)
- 코트와 바지가 간소화되면서 남성복에 액센트를 주는 장식적인 역할을 함
- 남성 의복 중 유일하게 밝은 색상으로 착용자의 개인적인 취향을 나타냄
- 조끼의 길이가 허리선까지 짧아짐
- 스탠딩 칼라, 숄 칼라
- 궁정복의 조끼는 흰색 실크에 금사로 수를 놓았으며, 흰색에 줄무늬 직물 또는
진홍색이 유행하였음

3) 바지
① 브리치즈(b reeches)
- 귀족들이 입어왔던 반바지
- 몸에 꼭 맞고 무릎 바로 아래 길이이며 바짓부리에 단추가 달려 있음
- 궁정복, 승마용으로 입었고 1840년대 이후에는 일부 정장에만 남았음
- 소재는 캐시미어, 난킨(na nkin, 남경직물=실크류), 가죽 등을 사용
- 궁정복은 새틴에 수를 놓았음

② 판탈룬(p a nta loons)
- 발목 길이의 긴 바지로 프랑스혁명 이후 서민복에서 상류 계급이 채택한 복식
- 품이 넉넉한 형태였으나 귀족들이 입으면서 몸에 밀착된 형태로 변화됨
- 오전에 입는 것이 통상적이었음
- 소재는 신축성있는 편직물을 사용함

③ 트라우저즈(trousers)
- 허리에서 발목까지 직선으로 재단된 품이 넉넉한 바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