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강. 사물인터넷의 기술
1) 사물인터넷의 발전 배경
인터넷은 일반인들이 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공간일 뿐 아니라 많은 개
발자들이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비즈니스를 창출시키는 혁신의 공간이 되
었다.
산업구조를 개선하고 경제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 세계 각국은 사물인터넷 및 융합
산업 경쟁에 돌입했다.
인터넷 연결 디바이스의 폭발적 증가 센서 , 단가 하락 등과 함께 미래 기술로만 여
겨지던 사물인터넷은 현재 점점 실생활 영역으로 들어오고 있다.
(1) 사물인터넷 동향
사물인터넷 이란 (IoT-Internet of Things) , 사람이나 주변 사물들이 유 무선 네트워크
로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인터넷환경을 의미한다.
1999 MIT RFID (Kevin Ashiton) 년 에서 전문가로 있던 케빈 애쉬톤 이 “RFID 및 센서
를 일상생활 속 사물에 탑재함으로써 사물인터넷 이 (IoT) 구축될 것” 이라고 IoT 용
어를 처음 사용했다.
2015 년 시장조사기관인 는 아태지역 일본지역 제외 에서 에 연결되는 디바
이스가 2015 31 2020 2.8 86 년 억개에서 년에는 약 배인 억개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
했다.
(2) 국가별 사물인터넷 동향
유럽
‘Horizon’ 2020(2014 ~ 2020 ) IoT 년 년 에서 연구 개발 및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독일
2013년부터 ‘인더스트리 4.0’을 발표하여 IoT . 산업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영국
2015 IoT < 년 로 인한 신종 범죄와 대응방안을 담은 사물인터넷: 잠재적
범죄 위험과 대응방안 을 > 발표하면서 사물인터넷이 사회에 미칠 영향을 타진하고
사물인터넷을 실생활에 도입하기 위한 법 제도적인 ㆍ 준비를 시작했다.
미국
2015년에는 사물인터넷 국가 전략 결의안을 발의하고 공공 민간에 ㆍ 적절한 지침을
제시
IoT 활용에 따른 경제성장을 주목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군과 융합 시 나타날
수 있는 이용자의 권한을 강화하고 사물인터넷이 일상생활에 본격적으로 도입되었
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여러 문제 상황까지도 고려하고 있다.
중국
중국은 2009 , , IoT 년부터 센서네트워크정보센터 사물지능통신센터를 구축하고 에 관
한 다양한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2013년에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10개 이상의 부서가 공동으로 ‘IoT 개발계획’을
발표했다.
2015년에는 ‘ ’ 인터넷 플러스 전략 을 통해 빅데이터, , IoT 클라우드 기술등 기존 산
업과 접목해 산업 구조 전환과 업그레이드를 도모했다.
인공지능을 포함한 11개 중점 분야에서 새로운 산업 모델을 창출할수 있는 행동계
획도 발표했다.
우리나라
고려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미국의 카네기멜론대 영국의 , , 옥스퍼드대 스위스의
취리히연방공과대 등 4개국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사물 인터넷 소프트웨어 보안 국
제공동연구센터’를 개소하였다.
2015년에 ‘IoT 3 (2015 ~ 2017) 정보보호 로드맵 개년 시행계획’을 수립
미래창조과학부는 2015년 ‘K-ICT 전략 을 ’ 수립하여 향후 5 9 년간 총 조원을 투입하
여 ICT 8%, 2020 ICT 240 , 2,100 산업 성장률 년 생산 조원 수주 억 달러 달성을 목
표로 하였다.( , 2016, 140p)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백서
2) 사물인터넷 기술 구성 요소의 특징
① IoT서비스
② IoT플랫폼
③ IoT네트워크
④ IoT디바이스
⑤ IoT보안
(1) IoT서비스
산업 공공 개인 , , IoT IoT 분야별 기반 서비스를 접목해 새로운 산업과 마켓 플레이
스를 창출하고 있다.
- EU IERC(IoT European Research Cluster) , , 는 주도로 교통 스마트홈 스마트 시
티 건강관리 , 14 등 개 서비스 도메인을 개발
- IoT 12 5 , , 중국은 를 추가한 차 개년 계획을 마련해 스마트 그리드 홈 환경 및 보
안 등 10대 분야에 중점 투자
(2) IoT플랫폼
과거 폐쇄적이던 플랫폼 환경이 오픈 소스 기반 협업을 통해 스스로 진화하는 개방
형 생태계로 변화하고 있다.
서비스 도메인별로 독립적으로 개발하던 수직 구조 플랫폼은 다양한 도메인의 서비
스를 통합 수용 ㆍ 하는 수평적 통합 구조의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시스코 아이비엠 퀄컴 인텔 구글 , , , , , , 등 글로벌 기업의 기술개발은 홈 환경 에너
지 교통 , 등과 같은 다양한 도메인 서비스를 통합해서 지원하는 수평적 플랫폼을
추구하고 있다.
(3) IoT네트워크
사물인터넷은 모든 사물을 인터넷으로 연결하면서 트래픽이 급증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전용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국내 이동통신 3 LoRa, NB-IoT 사는 등 사
물인터넷 전용망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저전력 통신 기술인 블루투스 지그비 등과 , (Zigbee) 같은 기술도 사물인터넷에 활
용하고 있다.
정부는 IoT . 전용 주파수를 확보하고 할당할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대용량 영상전송이 가능한 고용량 IoT (2.4GHz, 5.8GHz ) 용 주파수 대역 대역 등 과
검침 센싱 추적 , , 등에 활용하는 저전력 저용량 · IoT (900MHz ) 용 주파수 대역 등 을
구분해 다양한 산업군 망을 구축할 수 있게 정책 환경을 꾸준히 개선하고 있다.
(4) IoT디바이스
사물에 대한 단순한 정보 수집 기능에서 다양한 네트워크 융합형 서비스를 제공하
는 개방형 단말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연결할 사물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IoT 디바이스의 정보 보안에 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보안 기능 내장형 IoT . 디바이스 플랫폼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5) IoT보안
사물인터넷이 모든 사물의 정보를 생성하고 공유할 수 있는 개방형 구조로 진화하
면서 사물 및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할 보안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용량 데이터와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IoT 장치에 대한 해킹과 정보 유출을
막을 보안 기술이 필요하다.
3) 사물인터넷 핵심기술
① IoT HW 단말
디바이스 기기간 연동 기술
웨어러블 IoT 디바이스 기술
② IoT SW 단말
개방형 IoT 단말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보안 솔루션 일체형 소스 노트 OS
사용자 위주의 SW 라이브러리
③ 스마트센서 및 부품
나노 융합 센서 기술 및 센서간 연동 기술
통합형 융합센서 신호처리 기술
소형화를 위한 모듈화 기술
무인용 자가충전 기술
4) 사물인터넷 사례
아마존이 2015년부터 ‘아마존 대시 버튼 을 ’ 출시해 주문과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지
는 서비스를 제공 했다 대시버튼의 . , . 한번 클릭만으로 주문 결제가 가능하다
그러나 AI( ) (Alexa) ' 인공지능 스피커인 알렉사 로 더 간편한 쇼핑이 가능해지면서 대
시버튼' . 판매를 중단했다
2018 3 . 년 알렉사를 통해 물건을 구입한 숫자가 전년도 대비 배이상 증가했다
LG는 카카오톡과 라인 등의 모바일 메신저로 가전제품과 소통하는 홈챗을 출시했
다 스마트폰으로 . , 가스를 잠그거나 온도 조절 현관 도어락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삼성은 사물인터넷 기업 Smart Things IoT 를 인수했고 이스라엘의 바이오 업체인
Early Sense 에 1,000만 달러를 투자하여 기술 개발에 나섰다
LG U+ 2015 , , , , 는 년 열림감지센서 가스락 스위치 플러그 허브 등 기능이 포함된
‘IoT@Home’ 서비스를 출시
KT 2015 IoT 는 년 스마트폰 앱을 통해 가정 내 생활기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가 IoT 홈매니저 서비스를 ’ 시작으로 2016년에 ‘기가 IoT 헬스밴드’, ‘헬스 바이 크 등의 ’ 서비스를 추가했다.
'멀티미디어 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미디어학과, 콘텐츠 제작 등 필수 멀티미디어개론 요점 정리 52강. 클라우드 컴퓨팅 (8) | 2023.07.09 |
---|---|
멀티미디어학과, 콘텐츠 제작 등 필수 멀티미디어개론 요점 정리 51강. 스마트시티의 특징 (10) | 2023.07.08 |
멀티미디어학과, 콘텐츠 제작 등 필수 멀티미디어개론 요점 정리 49강. 모바일 서비스 (10) | 2023.07.05 |
멀티미디어학과, 콘텐츠 제작 등 필수 멀티미디어개론 요점 정리 48강. 모바일 OTT의 특징 및 현황 (7) | 2023.07.04 |
멀티미디어학과, 콘텐츠 제작 등 필수 멀티미디어개론 요점 정리 47강. 무선통신망의 종류와 특징 (12) | 2023.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