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자인개론

패션디자이너, 디자인학과 등 필수 디자인개론 요점 정리 25. 평면디자인

반응형

25. 평면디자인

 

가. 점에 의한 구성
점에 의한 구성은 디자인 원리에 의한 화면배치의 방법과, 배색에 의한 구성 방법이 있
다. 점의 구성은 서로 다른 크기의 원의 구성과, 같은 크기를 가진 원의 구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은 점 또는 원의 형태를 연구하는 기본이 된다.
점이 같은 간격으로 연속적인 위치를 가지면 선으로 느끼게 되고, 점이 전면적으로 동
일한 간격의 위치를 가지면 면으로 느끼게 된다.
점이 하나일 때에는 모든 시선이 그 한 점으로 집중되며, 2개의 점이 있으면 서로 끄는
힘이 생기고, 한쪽 점이 클 경우에는 시각의 중심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옮겨진다.
일직선상에 있지 않은 3개의 점은 시선의 연결을 주어 삼각형으로 느끼게 하며, 일직선
상에 점이 위치하면 점은 간격에 의하여 집단으로 분리된다. 여러 개의 크고 작은 점이
있을 때 시각유도나 장력 현상으로 인해 어떤 방향성이나 형체를 나타낸다. 점은 집합
과 분산 배열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표정을 줄 수 있다.

 

점에 의한 구성

 

나. 선에 의한 구성
선에 의한 구성은 선의 굵기와 간격의 변화에 의한 평면구성 원리와 색채의 구성을 말
한다. 점에서 다양성을 줄 수 있는 건 크기 한 가지였지만, 선에서는 두께, 길이, 방향
이 생긴다. 선에는 직선과 곡선이 있으며 기본은 직선이다. 선의 길이, 속도, 굵기, 방
향, 색채에 따라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하되, 선은 그 주위 공간의 면적에 따라 선으로
서의 효과가 다르게 느껴진다. 즉 너무 굵거나 짧은 것은 선으로 느낄 수 없고 면으로
느끼게 되며, 또 선을 여러 개 겹쳐 그리면 그것 역시 면으로 느끼게 된다. 선의 구성은
선의 집합이나 방향과 움직임에 의한 구성을 말하며 자유곡선이나 기하 곡선에 의한 방
법이 있다. 선의 배치 및 모양에 따른 성질을 보면 수평선은 넓음, 안정과 휴식을 주며
수직선은 성장, 엄격, 단정함을 나타내며, 사선은 운동감, 불안감, 방향감, 속도감을 느
끼게 한다. 또한 방사선은 집중 확대를 느끼게 하며 자유곡선은 부드러움과 무질서, 개
성과 정서를 나타내며 기하곡선은 단조로움과 질서, 비개성적인 선이라 할 수 있다. 선
의 간격이 조밀하면 먼 거리감이 생기고, 선의 간격이 넓으면 가깝게 느껴지므로 강한
원근감이나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다.
선의 굵기나 간격이 천천히 변할 때에는 공간의 움직임을 강하게 느끼게 하며, 선의 굵
기에 관계없이 선의 간격이 조밀하게 근접되어 있으면 면을 느끼게 한다.
굵은 선은 힘이 강하고 가는 선은 섬세하고 날카로우며 속도감을 느끼게 한다. 같은 폭
의 선 구성 중에 다른 굵기의 선을 넣으면 효과가 한층 더 강조될 수 있다.
선에 의한 수평 구성은 정적인 안정감과 좌·우로 연장감을 주고, 수직 구성은 불안정
하며 상승과 하강으로 동적이다. 사선은 불안과 동적인 분위기, 시선을 끄는 힘이 가장
강하다.

선의 구성

다. 면에 의한 구성
면에 의한 구성형태는 기하학적 형태에 의한 구성과 단위형에 의한 구성, 평면상의 입
체적 구성으로 구분한다. 기하학적 형태에 의한 구성은 손으로 그리는 모양과는 달리
정돈된 아름다움이 있고, 그리는 방법이 조직적이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이해되고 재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환경벽화의 면에 의한 구성 사례

단위형에 의한 구성은 하나 또는 둘이상의 기본적인 도형을 연결하거나 중복시킨 구성
을 단위형 구성이라 하며 패턴형태가 많고 질서와 통일이 있고 안정감이 뚜렷하며 중복
의 묘미가 있다. 따라서 그래픽, 공예, 벽지, 포장지 디자인에 많이 활용 된다.

 

평면상의 입체감을 표현하는 방법은 투시법과 명암법이 있다. 평면에서 표현되는 원근
법은 양과 깊이를 선의 간격 변화에 의해 조작할 수 있으며 배색의 진출에 의하여 양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면에 의한 입체적 구성을 할 때에는 먼저 화면을 분
할하는 과정에서 형태를 찾아내고 채색을 통하여 입체감이 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성에 있어서 화면 배치를 생각할 때에는 부분과 부분, 부분과 전체와의 관계를 고려
하지 않으면 조화를 이루기가 어려우며, 배색에 의한 채색에서 다양하고 조화로운 배색
이 되도록 한다.

 

라. 면의 구성에 의한 시각적인 무게중심
면의 구성에 의한 시각적인 무게중심은 화면에서 시각적으로 가장 눈에 띄며, 시각 효
과가 큰 면을 말한다. 이것은 면을 상하좌우 4방향으로 나누었을 때 시각적 인지도가
각각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 상하 시각적인 무게중심
수평선을 중심으로 상하로 2등분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위쪽 면을 짧게, 아래쪽 면을
길게 한다. 이것은 물리적으로 똑같은 상하 2등분 면이 인간의 시각에 의한 2등분과는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각적인 무게를 2등분하면 위쪽이 아래쪽보다 짧아도 시각적으로 균등하게 2등분 했
다고 보기 때문에 상단에 시각적인 중량감을 표현하는데 일반적으로 시각 디자인에서
사진이나 일러스트 같은 주요한 표현물은 지면 위쪽에 놓는 것이 안정감이 있고 자연스
럽다.

 

문자디자인에서 상하 무게 중심의 조절

 좌우 시각적인 무게 중심
좌우의 시각적인 무게 중심은 물리적인 균형과 시각적 균형의 차이가 있다. 심리학실험
에 의하면 인간의 눈은 우측보다도 좌측에 중점을 둔다고 한다. 즉 물리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검은 원이 지면 좌우에 나란히 놓여 있을 때 시각적으로 좌측이 무겁게 느껴지
기 때문에 우측의 점을 좌측의 것보다 조금 크게 조정해야만 시각적인 균형이 이루어진
다. 따라서 시각적 무게중심은 어떤 면의 상하좌우에서 좌측위쪽이 가장 눈에 띄며, 두
번째는 우측 위쪽, 세 번째는 우측 하단, 마지막으로 좌측 하단은 시각적 인지도가 가
장 떨어지는 곳이다. 그러므로 포스터나 광고물의 제품사진 이나 정보, 또는 브랜드의
로고타입 등의 위치가 대부분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