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의 이해

영화학과, 방통대 등 대비 영화로 생각하기 핵심 요점 요약 정리 9. 사이버 문화와 환각 체험, 매트릭스

반응형

 

□ 9장 사이버 문화와 환각 체험, 매트릭스

주제 및 영화 소개

- 워쇼스키 형제의 <매트릭스>(1999)는 사이버 문화를 소재로 문제를 제기한다.

- <매트릭스>에서 사이버문화의 특징은 환각체험이다.

- 사이버공간은 윌리엄 깁슨의 장편소설 뉴로맨서에서 처음 등장한 말로 물리적으로 컴퓨터 회로망

또는 두뇌 작용으로 감지할 수 있는 공간을 뜻한다.

*환각체험: 외부의 자극 없이도 이미지를 떠올리는 체험으로 꿈이 대표적인 환각 체험이다.
*매트릭스: 회로망, 인공 지능이 사람을 지배하려고 만든 사이버 공간 또는 가상공간
-매트릭스 안에서 사람들이 체험하는 것은 모두 환각체험이다.
*사이버 문화는 현실과 가상, 익명 문화의 장단점, 실물과 이미지의 구분, 개인의 정체, 인간과 기계의 관계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던지고 있다.

 

 

 

영화로 생각하기, 생각하며 영화보기

1. 환각 체험

(1) 신화

1) <매트릭스>에서 기독교적인 상징네오(Neo)', ‘트리니티(Trinity)', '모피어스(Morpheus)’가 등장한.

이밖에도 그리스신화에서 차용오라클(Oracle)’과 델포이 신전의 현판의 너 자신을 알라는 문구가 등장한다.

2) <매트릭스>는 신화를 현대적으로 차용하여 재창조한다.

3) 사이버문화와 신화의 공통점허구와 진실을 구분하지 않고 환각체험을 제공한다는 데 있다.

4) 신화를 통한 환각체험은 개인의 정체성과 공동체의식의 강화를 목표로 한다.

*등장인물
-네오(Neo):영어 'new'의 그리스어로 새 메시아를 상징
-그 분(the One): 'O'가 대문자일 경우 을 뜻함
-트리니티(Trinity): 삼위일체의 뜻, 마리아를 상징
-모피어스(Morpheus): 광야에서 예수에게 물로 세례를 준 요한을 상징
*원시인들의 환각체험
-원시인들은 대부분 자기 부족의 신화를 환각으로 체험했다.
-원시인들에게 신화는 세계관이다.
-다른 부족의 신화를 알게됨->자기부족 세계관에 대한 믿음이 흔들리면서 환각제의 도움 없이는 환각 체험을 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접신 체험은 부족의 구성원으로서 정체와 공동체를 위해 해야할 일을 알려준다.
-원시인은 부족 어른이나 샤먼에게서 신화를 배우고 환각 체험에 대한 해석을 듣는다.
-샤머니즘(sharmanism)=접신술/ 샤먼(shaman)=접신 전문가
*신화를 통한 환각 체험은 신적 존재와 만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인간들이 자기 정체를 확인하는 방법의 원형은 환각 체험과 마을 어른에 의한 해석이었다.
*영화 <매트릭스>는 신화까지 끌어들여 사이버 문화의 특징이 환각 체험이라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2) 환각 체험의 두 얼굴

1) 환각 체험의 단점은 사람을 분열시킨다는 데 있다. 환각 체험의 장점은 현실의 한계를 넘어서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발생하는 무의식의 원천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2) 사이버공간에서 아이디는 익명성 때문에 정체성의 혼란이 문제 되기도 하지만, 현실의 한계를 넘어 욕망을 실현하는

장점이 있다.

*환각체험의 단점
-몸과 마음의 분열, 마음과 마음이 분열
*환각 체험의 장점
-현실 세계에서 몸과 마음이 지닌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해줌
-창조적 아이디어의 산실
*무의식
-사회가 허용하지 않는 욕망을 억압하는 메커니즘
-생각이나 행동을 의식의 수면 위로 떠올리지 않고 자동으로 처리하는 메커니즘
*사이버 공간의 환각 체험은 무의식을 자극하여 정신 능력을 확장하기 때문에 새 문화를 창조하는 중요한 원천이
될 수 있다.)

 

(3) 빨간 약의 정체

1) 환각체험은 느낌을 중시하여 이성에 대한 불신과 비난을 담고 있다.

2) 환각체험에서 자의식의 보존이 중요하고 이는 스스로의 질문과 답변으로 얻어진다.

영화에서 자의식의 획득은 빨간 약으로 얻어진다.

(*우리 생활에 환각 체험의 요소를 끌어들인다는 것은 달리 표현하면 감각, 느낌을 중시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느낌대로 산다'라는 말은 이성에 대한 불신과 비난을 담고 있다.

*마을 어른의 해석에 의한 마을 청년의 평생 임무는 '내가 뭘 해야 하느냐'라는 물음에 대한 답, 그 청년의 자의식이고

정체.

2. 에로스와 타나토스

(1) 프로이드에 따르면 3~6살의 어린이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이성의 부모와 결합하기를 원하고 동성의 부모가 죽거나

사라지기를 원하는 충동)를 겪는데, 아버지의 금지명령을 받아들여 동일시함으로써 자의식이 형성된다.

(2) 프로이드에 따르면 모든 생물은 죽음의 충동, ‘타나토스(Thanatos)를 갖는다. 더불어 성 충동인 에로스(eros)'를 갖는데 에로스는 죽음충동 후에 발생하는 자기보존충동이다. 자신밖을 향한 에로스는 남을 보존하려는 충동, 예를 들어 사랑으로 나타나고, 타나토스는 남을 파괴하려는 충동인 폭력으로 나타난다.

(3) 프로이드의 해석으로 보자면 네오와 스미스는 한 사람의 무의식 속에 있는 두 가지 기본 충동인 에로스와 타나토스이다. <매트릭스>는 무의식의 두 충동을 보여준 텍스트이다.

*타나토스(Thanatos)
-프로이트에 따르면 자신이나 남을 파괴하려는 죽음의 충동
-불쾌의 되풀이가 죽음 충동에서 비롯한다고 해석.
*에로스와 타나토스
-죽음 충동이 작동하면 사람들은 살려고 저항한다. 그러므로 에로스의 참뜻은 자기보존 충동이다.
-에로스든 타나소스든 사람의 모든 충동을 채우는 것이 목표이다.
-에로스와 타나토스는 모두 자기를 향하지만, 자기 밖에 있는 남으로도 쉽게 향할 수 있다.
-->에로스는 남을 보존하려는 충동인 사랑으로 나타나고, 타나토스는 남을 파괴하려는 충동인 폭력으로 나타난다.
*네오와 스미스의 싸움은 한 사람 속에서 두 가지의 기본 충동(에로스와 타나토스)이 치열하게 갈등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3.기계를 사랑하라

(1) 맥루언에 따르면 미디어(media)는 사람의 확장이다.” 모든 기계는 미디어로 인간은 이를 벗어나 살 수 없고 자신은 일종의 사이버그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와 인간은 사이보그로서 공존하고 화해해야 한다.

*맥루언
-캐나다의 사회학자, 문명 비평가
-“미디어(media)는 사람의 확장이다.”
-미디어: 의사소통의 수단뿐만 아니라 기술의 모든 산물, 곧 기계를 포함
-현대와 미래의 사람에게 맥루언이 보내는 메시지->'기계를 즐기고 사랑하라'
-우리는 기계 없이 살 수 없는 몸과 마음을 지니고 있다는 뜻에서 사이보그라고 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