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리학

방통대, 농학과, 생물학 등 필수과목 생리학 요점 요약 정리 1. 혈액생리

반응형

제1장 혈액생리

3.1 혈액과 순환계
◎ 혈액 : 소화기관에서 흡수한 여러 가지 물질과 호흡운동의결과 허파에 흡입된 산소를 체내의 조직세포 에 공급해 주고, 반대로 조직세포에서 생긴 이산화탄소와 기타의 대사산물을 각각 허파와 신장으로 수 송해 주는 수송기관의 역할을 한다.
◎ 조직세포들은 순환하는 혈액과 직접 접해 있지 않으므로 조직세포의 직접적인 환경은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조직액, 즉 세포간액 이라고 할 수 있다.
◎ 유동액 : 세포내액(25L), 조직액(12L), 형장(3L) 이 들어있다. <p.68.그림 3-1>
◎ 내부환경을 정상상태로 유지하는 일은 대단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세포의 정상적인 기능은 지극히 제 한된 범위 내의 산성도 (pH), 오스몰 농도, 글루코오스 농도 등에서만 영위될 수 있기 때문이다.
◎ 혈액의 조성도 일정하게 유지되어야만 한다. (2003) p.68-69
◎ 순환계 : 혈액과 혈액을 담고 있는 혈관과 혈액이 혈관 속을 순환하도록 펌프의 역할을 하는 심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 혈액
(2) 혈액의 구성 : 성인의 혈액 총량은 약 5~6L, 체중의 약 8%를 차지한다.(2004) p.69 혈액은 용 적비율로 약 45%의 혈구성분과 약 55%의 액상성분, 즉 혈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혈구용적을 헤마토크리트(Ht : hematocrit)라고 한다. (2003) p.69
(4) 혈구성분 : 적혈구가 가장 많고, 다음이 혈소판, 백혈구의 순이다.
① 적혈구 - 양면의 중앙이 옴폭 들어간 원판모양의 세포로, 직격 7~8㎛, 평균 두계 1.5㎛이며 성 숙형에는 핵이 없다. (2004) p.72
◎ 적혈구의 생성(조혈)은 태아기에는 간, 비장, 골수에서 이루어지지만, 출생 후의 조혈은 적색 골수에서만 이루어진다. 적혈구가 새로 생겨난 뒤 순환혈액 속에 머무는 기간은 약 120일이 며, 오래 된 적혈구는 간, 골수, 비장, 임파절 등에 있는 망상내피계 세포의식작용으로 파괴 된다.
◎ 골수에서의 적혈구 성숙에는 특히 비타민 B12 및 엽산이 필요하며, 이들은 항빈혈성 비타민 이라고 불린다. B12 가 결핍되면 적아세표가 적혈구로 성숙되지 못하고 모양이 점차 커져서 거대 적혈구아세포가 되므로 혈류 속의 적혈구 수가 감소하여 악성 빈혈이 된다. 이밖에 헤 모글로빈의 구성단위인 철 및 단백질의 결핍도 빈혈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2004) p.74
◎ 적혈구를 혈장과 삼투압이 같은 0.9% 식염수 용액에 넣으면 형상이 변하지 않지만 저장용 액에 넣으면 세포 내.외의 삼투압 차이로 혈구 내로 물이 침투하여 혈구용적이 증가하고, 마 침내는 적혈구 막이 파괴되어 헤모글로빈이 적혈구 밖으로 나온다. 이렇게 헤모글로빈이 외 액 속으로 용출하는 현상을 용혈이라고 한다. (2005) p.75
◎ 적혈구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산소를 허파에서 조직세포로 운반하는 일이지만 상당량의 이산 화탄소를 조직세포에서 허파로 운반하는 역할도 한다.
② 백혈구 - 적혈구보다 약간 큰 구형 또는 부정형의 유핵세포로, 과립의 유무에 따라 과립백혈구 와 무과립백혈구(단핵구, 임파구)로 대별된다.
과립백혈구 - 다시 그 과립의염색성에 따라 중성구,산성구,염기성구로 나뉜다. (2005) p.75
적색골수에서 생성되며, 임파구와 단핵구 일부는 골수에서도 만들어지는데, 대부분은 임파조 직에서 생긴다. 백혈구의 수명은 적혈구에 비해 극히 짧아 일반적으로 3~4일 정도이다.
(5) 혈액응고
트롬빈 생성 : 프로트롬빈은 혈장 내에 용존하는 글로불린의 일종으로 Ca 이온 존재하에서 트 롬보플라스틴의 작용을 받아 트롬빈으로 변화한다. 이 반응은 저온에서 늦어지므로 온도가 낮으 면 혈액응고 시간 또한 지연된다.(2004) p.77

2. 혈액순환의 경로
◎ 사람의 심장은 2심방 2심실로 되어 있어 정맥피와 동맥피가 섞이는 일은 없으며, 폐순환과 체순환이 차례로 일어남으로써 효과적인 기능을 나타낼 수 있게 되어 있다.
폐순환은 우심실에서 허파로 혈액을 보내서 산소를 첨가시킨 다음 좌심방으로 받아들이고, 체순환은 좌심실의 산소가 첨가된 동맥피를 머리와 온몸에 보내서 조직세포에 산소를 공급하며, 조직세포의 모 세혈관을 지나는 동안에 산소를 잃은 정맥피는 우심방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2005) p.81

3. 혈관조직의 구성 : 정맥과 동맥은 모두 세 층의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정맥,동맥설명)(2004)p.83-84
① 정맥 : 동맥에 비해 얇은 근내층과 탄력이 적은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압은 동맥에 비해 훨씬 낮기 때문에 정맥이 받는 응력변형은 적다. 혈압이 낮아 한층으로 되어 있다. 혈액의 역행을 방지하 는 판막이 있다. 정맥벽은 동맥벽에 비해 얇으며, 근육섬유, 탄력섬유는 적고 결합조직이 많기 때문 에 외력의 작용으로 폐쇄되기 쉽다.
② 동맥 : 대동맥의 탄성조직은 심장이 박동할 때마다 갑작스런 혈액의 분출을 이겨내지 않으면 안 된 다.
③ 소동맥과 소정맥은 동맥 및 정맥과 일반적 구조는 같으나 크기가 작고 근육층은 훨씬 얇다.
※ 심장에서 방출되는 혈액의 흐름 : 대동맥 → 소동맥 → 세동맥 → 모세혈관 → 세정맥 →소정맥 → 대정맥 → 심장

5. 모세혈관
(2) 혈액과 조직액 사이의 물질교환
◎ 조직액은 모세혈관과 조직세포와의 틈에 존재하는 액으로 조직세포의 일정한 환경을 만들고 동시 에 혈액과의 사이에서 기체 및 물질교환을 중개한다.
◎ 세포의 물질대사, 혈액의 조성, 혈류량 등에 영향을 받기 쉽다.
◎ 모세혈관과 조직액 사이에서 일어나는 물질교환의 두 가지 주요기작은 확산과 전량유동이다.
(2003) p.88
① 확산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포함하여 지용성 물질은 세포막의 지방층을 투과할 수가 있다. 어떤 단백질 의 경우에는 모세혈관벽 세포 속에 작은 주머니의 음작용에 의해서 모세혈관 세포를 통과한다.
(2005) p.89
이러한 과정으로 말미암아 항체가 모세혈관에서 조직액 속으로 들어가서 병원균과 대항해서 싸울 수 있는 것이다.

3.2 몸의 방어기작
(1) 면역 : 우리의 몸은 외부로부터 침입하여 조직이나 기관에 해를 주는 거의 모든 종류의 미생물이나 독소에 대항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비특이적 면역 : 식세포가 외부로부터 침입한 물질을 소화시켜 버린다든지 우리 몸 속으로 침입한 각종 바이러스에 대해서 인터페론이 조직에서 생산되는 일, 또는 위에서 분비되는 염산에 의해서 각종 세균이 죽는 일 등이 모두 비특이적 면역의 범주에 속한다. (2004) p.97
② 특이적 면적 : 우리의 몸은 침입하는 여러 가지 동인에 대항해서 강력하게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면 역성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특이적 면역에 대해서만 공부하기로 한다.

1. 림프구와 대식세포
◎ 특이적 면역을 갖게 하는 데에 관여하는 세포는 백혈구에 속하는 림프구와 단핵구가 조직으로 나온 것으로 보는 대식세포이다.
◎ 몸 속으로 침입한 외부동인을 만나면 림프구는 면역반응을 일으켜 침입자를 공격하여 파괴시켜 버린 다. 이처럼 면역반응을 유발시키는 동인을 항원이라고 부른다.
◎ 대식세포 : 강력한 식세포작용을 함으로써 체내에 침입한 외부물질을 파괴하고 청소하는 일을 하는 한편, 면역반응이 일어나고 있는 부위로부터 방출되는 화학물질에 대한 추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면 역반응이 일어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고, 항원을 대식세포의 표면에 결합시킴으로써 항원이 강력한 면역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작용한다.

2. 항원과 면역원성
◎ 특이성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물질, 즉 면역원의 성질을 면역원성이라고 부른다.
◎ 면역원성 - 항체를 만들어내게 하거나 세포성 면역을 발달시키거나 또는 두 가지 모두를 나타내게 하는 성질을 말한다.
◎ 항원성 - 어떤 물질, 즉 항원이 항체를 만들게 하거나 특이하게 증감된 T-림프구를 생성시키는 성질 을 말한다.

3. 면역반응의 두 가지 기작 : 특이성 면역반응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가 있으며, 이것들이 각기 다른 종류의 림프구에 의해서 수행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① 림프구가 특이한 항원을 공격하여 파괴시키는 항체라는 단백질을 합성하여 순환기 내에 방출하는 작 으로서 체액성 면역반응이라고 한다. (2005) p.100
② 면역반응은 림프구 자신이 이부에서 들어온 물질을 공격하여 파괴시켜 버리는 것으로 항체는 방출되 지 않는다. 이것을 세포성 면역반응이라고 한다.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