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용작물학 risa

농업직, 농촌지도사, 공무원, 농학과 대비 식용작물학 요약정리 2. 밭작물의 생산 및 수급현황

반응형

제 2 장 밭작물의 생산 및 수급현황


□ 학습목표
1. 세계의 곡물 재배현황과 지역별 생산량을 파악할 수 있다.
2. 우리나라의 식량사정과 자급전망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밭작물의 재배면적감소 추세와 그 원인을 해석할 수 있다.
4. 경지이용률 변화와 1인당 식량소비량 변화 추이를 설명할 수 있다.
5. 국제식량위기 대응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 학습내용

 

1. 세계와 우리나라 농업의 현황

 


가. 세계의 작물재배현황


육지에서 생산되는 식량의 80% 이상은 식물에서 얻고 있으며, 식량으로 이용되는
곡물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을 살펴보면 2007년 현재 곡류의 총 재배면적 약
6억5천만 ha 중 밀이 2억1천만 ha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쌀 > 옥수수 > 보리
순이나, 생산량으로 보면 세계 전체 생산량 25억9천만 톤 중 옥수수가 약
7억톤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쌀 > 밀 > 감자 > 보리 순이다. 1950년에서 2010년
사이 세계곡물생산량은 6억3000만 톤에서 30억5천만 톤으로 약 5배 이상
증가하였다. 2000년 이후에는 세계 식량 생산량은 거의 증가하지 않았으나 세계
인구는 해마다 9000만 명 이상 증가하여 점차 식량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나. 농업 경영 규모


우리나라의 국토 면적은 약 22만 ㎢로 남한의 면적은 약 10만 ㎢(약 1,001만 ha)이다.
이 중 농경지는 약 169만 8천 ha이며, 전체 면적의 17%에 해당된다. 우리나라의
농경지는 개간이나 간척에 의해 많이 조성되었지만, 공장이나 도로ㆍ 주택 등의 건설로
인하여 전체 면적은 감소하고 있다. 농가 1호당 경지 면적은 다소 증가하여 2011년
현재 약 1.45ha에 이르고 있으나 영세한 편이다.

<그림 2-1> 우리나라의 국토이용 상황 (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2012)


<그림 2-2> 가구당 경지면적(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2012)

농가구는 2011년 116만 가구로, 우리나라의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970년
42.4%에서 2011년 6.6%로 감소하였다. 농가 인구는 1970년 1,442만 명에서 2011년에는
296만 명으로,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970년 44.7%에서 2011년 6.0%로 크게
감소하였다.


<그림 2-3> 농가구수 및 농가인구(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2012)

<그림 2-4> 농가비율 및 농가 인구비율(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2012)

농가당 연소득은 1970년 약 26만원에서 2011년 3,014만원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농림어업
분야의 취업 인구는 1970년 총 취업인구의 50.4%에서 2011년 현재 6.0%로 감소하였다.
이는 현재 농림어업 취업인구를 산출하는 방식이 기존의 생산농업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며, 최근 농업의 개념이 2차, 3차 산업을 포함하는 종합 산업으로 확대됨에 따라
이를 모두 포함한다면 전체 농업 분야에 종사하는 인구는 훨씬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림 2-5> 농가소득(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2012)<그림 2-6> 산업별 경제 활동 인구 추이 (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2012)

<그림 2-6> 산업별 경제 활동 인구 추이 (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2012)


다. 농업 생산 현황과 자급도


우리나라의 쌀 생산량은 198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1990년 이후에는 벼의
재배면적과 쌀 생산량이 점차 감소하였으며, 연간 1인당 쌀 소비량은 1990년 약 120kg에서
2011년 약 71.2kg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쌀 소비량이 감소한 대신, 육류의 생산 및
1인당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최근 우리의 식생활이 육류, 유제품, 달걀,
과일 등을 많이 소비하는 쪽으로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쌀 생산량은 2011년 현재
422만 4천 톤이며, 세계적으로는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의 순으로 많이 생산되고 있다.

<그림 2-7> 쌀 생산 및 소비량(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2012)

<그림 2-8> 쇠고기 생산 및 소비량(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2012)<그림 2-9> 주요국의 쌀 생산량(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2012)

<그림 2-9> 주요국의 쌀 생산량(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2012)

작물별 경지이용면적은 식량작물이 63.4%(1,230,9천 ha), 채소류 13.2%(255,4천 ha),
특용ㆍ 약용작물 3.9%(75,5천 ha), 과수ㆍ 기타 19.5%(379,1천 ha)를 나타내고 있다. 식량작물
중 벼의 재배면적은 2011년 현재 854천 ha로 최근 5년간 계속 감소하고 있으며, 벼
재배면적이 가장 많았던 1987년 1,262천 ha의 67.6% 수준이다. 지역별 벼의 재배면적은
전남 > 충남 > 전북 > 경북 > 경기의 순이다.

구 분 면 적(천 ha) 비 율
미곡 854 81.0
두류 88 8.3
맥류 42 3.9
서류 43 4.1
잡곡 27 2.6
1054 100

<표 2-1> 우리나라의 식량작물 재배면적



식생활 양식의 서구화로 빵이나 즉석식품의 소비가 늘어나고 외식산업의 발달로 인해
쌀의 소비는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1970년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136.4kg이었으나, 2011년에는 71.2kg으로 줄었다. 반면에 1970년 1인당 연간 밀
소비량은 26.1kg이었으나, 2011년에는 31.4kg으로 늘었다. 같은 시기에 돼지고기는
2.6kg에서 19.3kg으로, 닭고기는 1.2kg에서 10.7kg으로 늘었다. 이로인하여 국내에서
생산이 저조한 밀의 소비가 늘고, 축산물 소비의 증가에 따른 사료비 증가로
식량자급률은 1998년 31.4%, 2011년 22.6%로 낮아졌다(그림 2-10).
우리나라 주요 곡물의 자급도는 쌀을 제외하면 매우 낮은 편이며,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1년 현재 쌀은 83%, 밀 1.1%, 옥수수 0.8%로 전체 곡물의
자급도는 22.6%에 불과하다. 식량이 미래의 국가 주요 안보 과제로 떠오른다는 전망에
비추어 볼 때, 이러한 낮은 식량 자급은 국가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림 2-10> 주요 곡물 자급도(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2012)


경지이용률을 보면 1965년에 147%였으나 점차 낮아져 2002년에는 108%, 2011년에는
110%로 낮아졌다. 이용면적으로 보면 2002년에 비해 2011년에는 약 22만 2천 ha가
줄어든 것이다(표 2-3). 이와 같은 경지이용률의 감소는 식량자급률 감소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학습평가문제>
1. 주요 수출물량 점유율이 상위 5개국에 가장 집중되어 있는 작물은?
① 밀 ② 쌀 ③ 콩 ④ 옥수수
(해설) 상위 5개국 수출물량 점유율이 가장 높은 작물은 콩으로 96%나 된다. 다음은
옥수수( 94%), 쌀(74%) 순이다.

2. 쇠고기 1kg을 생산하기 위해서 소비되는 곡물의 량은?
① 4kg ② 6kg ③ 7kg ④ 11kg
(해설) 쇠고기를 생산하는데 곡물이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다.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는 곡물이
크게 증가한다. 가축에 따라 고기 1Kg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곡물의 양이 다르다. 즉, 닭고기 4Kg,
돼지고기 7Kg, 쇠고기 11Kg의 곡물 소비를 더 한다.

3. 2011년 현재 년 간 1인당 밀의 소비량은?
① 11.3kg ② 18.6kg ③ 26.1kg ④ 31.4kg
(해설) 2011년 현재 1년 간 1인당 소비하는 량 : 쌀 71.2kg, 밀 31.4kg, 콩 9.0kg, 옥수수 4.5kg

4. 2011년 현재 곡물자급율은?
① 31.4% ② 29.7% ③ 22.6% ④ 25.4%
(해설) 전체곡물자급도 : 22.6%(쌀 83%, 밀 1.1%, 옥수수 0.8%)

5. 세계적으로 생산량이 가장 많은 작물은?
① 옥수수 ② 콩 ③ 밀 ④ 보리
(해설) 세계적으로 생산량이 가장 많은 작물은 옥수수 > 쌀 > 밀 > 감자 > 보리 순이다.

6. 식량이 부족할 것으로 보는 비관론자의 견해로서 옳은 것은?
① 곡물재고율이 2000년대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②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이 1kg 감소하면 재배면적 2만ha가 줄어야 과잉생산이 되지 않는다.
③ 세계 인구는 연간 5천만 명씩 증가되어 수요가 그 만큼 커진다.
④ 개발도상국의 소득향상은 육류소비를 크게 증가시키는데, 쇠고기 1kg을 생산하는데 드는
곡물소비는 7kg 이다.
(해설) 곡물재고량의 급격한 감소는 식량부족을 우려하는 비관론자의 핵심내용이다.

7. 밭작물 재배의 중요성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① 밭작물에는 기능성물질이 많이 밝혀져 건강식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② 밭작물의 소비는 늘어날 것이므로 곡물자급율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③ 벼 재배와 공동 사용할 수 있는 농기계가 적고, 농기계 이용의 효율성이 낮다.
④ 월동작물인 맥류는 동계유휴경지의 활용과 양질의 조사료 생산 및 공급 면에서 유리하다.
(해설) 밭작물생산은 벼 재배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농기계가 많기 때문에 농기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8. 1인당 연간소비량이 최근 크게 증가되는 작물은?
① 쌀 ② 밀 ③ 서류 ④ 보리
(해설) 쌀소비의 급격한 감소, 밀소비의 급격한 증가가 곡물자급율을 낮추게 하는 주원인이다.

9. 식량공급에 대한 비관론자의 견해가 틀린 것은?
① 매년 5백만 - 1천만 ha의 농경지가 매년 침식된다
② 연말재고량이 1960년대 90일분이었으나 1996년에는 51일분밖에 되지 않고 있다
③ 저투입 친환경 농업으로 식량증산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④ 세계인구가 연간 5천 만 명씩 증가되어 식량 수요가 그 만큼 늘 것이다
(해설) 세계인구가 연간 8천만~1억 명씩 증가되어 식량수요가 늘어난다고 보는 것이 비관론자들의 주장이다
<정답>

번호 1 2 3 4 5 6 7 8 9
정답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