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작물학

농업직, 농촌지도사, 공무원, 농학과 대비 식용작물학 요약정리 5. 콩

공갱! 2021. 6. 12. 08:49
반응형

제 5 장 콩



□ 학습목표
1. 콩의 기관별 형태와 발달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2. 개화 및 결실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3. 콩 재배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4. 콩 종류별 특성과 품종에 대한 개념을 가질 수 있다.
5. 콩의 특수성분과 이용분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학습내용


1. 형태와 생육

1) 꽃의 형태와 구조
꽃은 모두 5개의 꽃잎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꽃잎의 색은 옅은 자주색 또는 흰색이다.
꽃의 구조를 보면, ‘기판’이라 불리는 큰 꽃잎 하나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1쌍의 작은 꽃잎인 ‘익판’이 있으며 그 안쪽에 ‘용골판’ 1쌍이 있고 그 속에 암술과 수술이
보호되고 있다. 암술은 1개이며 수술은 모두 10개이다.

2) 종자의 형태와 구조
콩 꽃이 수정되면 꼬투리가 맺히며 꼬투리의 표면에는 일반적으로 작은 털(모용)이 나 있는데 털이 거의 없는 품종도 있다. 품종에 따라 종자의 모양은 둥근 타원 모양, 공
모양, 납작한 모양 등 다소의 차이가 있으며 종자의 크기도 차이가 크다. 콩 종자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100알의 무게인 ‘100립중’으로 나타내는데, 품종에 따라서 10g부터 40g까지 큰 차이를 보인다. 완전히 성숙하면 꼬투리뿐만 아니라 종자도 품종 고유의 색깔을 나타내는데 황색, 갈색, 흑색, 녹색, 혼색 등 매우 다양하며 색깔에 따라
검정콩(흑태), 푸른콩(청태), 누렁콩(백태), 밤콩(갈색콩) 등으로 불린다.

3) 잎의 형태와 구조
콩의 잎에는 떡잎, 첫잎, 본잎, 액엽 등 4종류가 있다. 떡잎은 종자가 싹틀 때 제일 먼저 나오는 2개의 잎으로서 껍질 벗긴 콩 종자가 반쪽씩 펼쳐진 것이며 콩나물의
머리 부분에 해당된다. 본잎은 일반적으로 3장의 작은 잎(소엽)으로 구성되는데, 품종에 따라서는 4장 또는 5장이 본잎을 이루기도 한다.

4) 줄기의 형태와 구조
콩의 줄기는 중심 줄기와 이로부터 뻗어나간 곁가지로 구분된다. 품종에 따라 줄기 자라는 습성이 다른데 줄기가 자라는 습성을 신육형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3가지로
분류한다. 유한신육형은 꽃피는 방향이 일정하지 않고 대부분의 마디에서 수일 내에 동시에 꽃이 피기 시작한다. 따라서 꼬투리가 거의 같은 시기에 형성되어 자란다.
우리나라 재래종 및 보급된 장려품종의 대부분은 여기에 속한다. 무한신육형은 꽃이 중심 줄기의 아래쪽 마디로부터 피기 시작하여 점차 윗마디로 피어간다. 만주지역 및
미국에서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품종들 중 상당수가 여기에 속한다. 유한신육형과
무한신육형의 중간 정도의 특성을 지닌 품종을 중간형 또는 반무한신육형이라고 한다.

5) 뿌리의 형태와 구조
콩이 싹틀 때에는 먼저 한 개의 뿌리가 나오며 이것이 자라 뿌리의 중심뿌리를
이룬다. 어린싹의 뿌리 끝 부분을 자세히 관찰해 보면 솜털 같은 잔뿌리가 많이 나
있다. 이를 뿌리털이라 한다. 식물체가 자라면서 중심뿌리로부터 많은 곁뿌리가 생기며
이로부터 다시 가지를 친 잔뿌리가 발달된다. 땅 표면 가까이 줄기 부분을 흙으로 덮게
되면 이 부분에서 다시 곁뿌리들이 생기기도 하는데 이를 부정근이라고 한다.
콩을 심은 뒤 1~2주일이 지나면 뿌리 부분에 작은 혹들이 생긴 후 점차 커지는데 이
혹을 뿌리혹이라고 한다. 그리고 뿌리혹 속에는 수많은 세균들이 살고 있는데 이
세균을 뿌리혹박테리아라고 한다.
뿌리로부터 흡수되는 질소는 물에 녹아 있는 암모니아태(NH4+)와 질산태(NO3-)
형태인데, 흡수되는 양으로 볼 때 대부분은 질산태이다. 이렇게 뿌리를 통해 흡수되는
질소 외에 뿌리혹박테리아는 공기 중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질소를
암모니아태로 바꾸어 콩에 직접 공급하는데 이를 질소고정이라 한다.

6) 발아와 생장
콩 종자를 심은 뒤 충분한 물과 적당한 온도 및 공기가 주어지면 싹이 튼다. 콩 종자를
물에 불리게 되면 말린 종자무게의 1.3~1.5배 정도 물을 흡수한다. 콩은 7~40℃의 온도
범위에서 싹이 트지만 30~35℃ 조건에서 가장 빨리 싹튼다.
심은 콩이 싹터서 땅 밖으로 나오는 시기를 출아기라 한다. 땅 속에서 싹튼 종자가 땅
위로 돋아나는 시기를 말하므로 싹트기(발아)와 출아는 개념상 차이가 있다. 땅속의
뿌리를 딛고 떡잎(씨앗)이 먼저 땅 밖으로 나오는데 땅위로 돋아난 부분부터 떡잎이
달린 부분 사이를 배축이라 부르며 콩나물 머리와 뿌리의 중간 부위가 여기에
해당된다.
떡잎이 나오고 난 뒤 본엽이 3개 달리는 시기까지의 기간을 ‘유묘기’라 한다. 그 이후
점차 뿌리, 줄기, 잎이 왕성하게 자라면서 곁가지가 발생하며 꽃이 필 즈음엔 콩 심은
골 사이가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잎과 줄기가 무성해진다.

7) 수정 및 종자의 형성
콩 꽃은 1개의 암술과 10개의 수술로 이루어져 있는데, 암술 아래쪽 씨방에는 1~4개
정도의 작은 방이 있고 각 방에는 ‘배주’라고 하는 구조물이 있어 이 속에서 각각
수정이 일어나고 수정된 배주가 자라 각각 씨앗으로 발달한다. 수술의 머리 부분을
꽃밥이라 하는데 여기에서 꽃가루가 만들어진다. 자라는 과정에서 씨젖 부분은 점차
퇴화하여 없어지고 대신 씨눈 부분이 씨앗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특이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콩 종자를 무배유종자라고 부른다.
꽃은 수정 후 5일경부터 꼬투리로 자라기 시작하며 15~20일 경이면 길이 자람이 거의
멈춘다. 수정된 이후 20~28일경부터는 씨앗에 지방, 단백질 및 탄수화물이 저장되면서
급속히 자라기 시작하며 꽃핀 지 40~50일 후에는 꼬투리와 종자가 완성된다.
일반적으로 1개의 꽃에서 1개의 열매가 맺히는데 콩의 경우 꼬투리가 열매에
해당된다. 꽃 속에는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은 암술머리, 암술대 및 씨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씨방 속에는 꽃에 따라 1~4개의 배주(난세포를 지닌 작은 기관)가
미리 만들어 진다. 콩 품종에 따라 꼬투리당 평균 종자수의 차이가 있는데 이는
형성되는 배주의 수나 수정된 배주의 수가 다르기 때문이며, 배주의 수는 유전적인
영향이 크다.

8) 콩의 생육단계
콩의 생육정도 또는 발육단계는 중심줄기의 발달정도와 각 마디에서 형성되는 잎, 꽃
및 꼬투리의 숫자와 발달정도로 표시한다. 싹이 트고 난 이후부터 꽃이 피기 전까지의
기간을 영양생장기라고 하며 이 기간에는 V를 붙여 표시하는데 ‘출아기’는 VE, 떡잎이
완전히 전개된 시기는 ‘CV’, (n-1)번째 본엽이 완전히 전개된 시기는 ‘Vn’으로 표시한다.
꽃이 피기 시작하는 때부터 완전히 익을 때까지를 ‘생식생장기’라고 하며 이 기간에는
R을 붙여 표시하는데 R1은 개화가 시작되는 시기, R2~R5는 꼬투리가 발달하는 시기,
R6는 종자가 최대 크기에 도달한 시기이며 이 시기를 ‘생리적 성숙기’라고 한다.

2. 품종

1) 용도 및 생태형에 따른 분류
콩은 용도에 따라 장콩(된장, 두부, 두유), 기름콩(식용유), 나물콩(콩나물), 밥밑콩, 풋콩
등으로 구분한다. 그 외 종자크기, 껍질색, 신육형, 생태형 등에 따라서도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장콩(두부콩)
장콩은 두부콩, 메주콩 혹은 일반용 콩으로도 불린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종류로서 된장, 간장, 두부 또는 두유 원료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황색
껍질을 가졌으며 100립중이 17g 이상인 중립 내지 대립종이 많다. 무름성이 좋고단백질 함량이 높아 아미노산 함량을 높이는 것이 유리하다. 두부용의 경우는 수용성
단백질 함량이 높을수록 제품 생산성이나 품질이 양호해진다.

(2) 나물콩
나물콩(두채용)은 빛이 없는 조건에서 싹을 키워 콩나물을 생산하기 위한 종류를
말한다. 보통 100립중이 13g 이하인 소립종을 쓴다. 알맹이가 작을수록 원료콩에 비해
생산되는 콩나물의 수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유리하다.

2) 성숙군에 따른 분류
자연조건하에서 관찰하면 꽃이 빨리 피고 일찍 익는 품종이 있는가 하면 늦은 품종도
있다. 이는 빛과 온도에 대한 반응이 품종에 따라 다르기 때문인데, 일반적으로 그
반응 양상에 따라 여름콩(하대두형), 가을콩(추대두형) 및 중간형의 3가지로 분류한다.
올콩이라고도 하는 여름콩은 봄에 심어 늦은 여름에 수확하는 품종으로서, 음력 6월에
수확하기 때문에 유월두라고도 불린다. 가을콩은 늦은 봄에 심어 가을에 수확하는
품종으로서 개화기 및 성숙기가 여름콩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다. 가을콩은 온도보다는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낮시간(일장)의 변화에 따라 개화시기가 영향을 크게 받는다.

3. 환경과 생리

1) 엽면적지수
개체의 잎 면적은 그 식물체에 달려 있는 모든 잎의 면적을 합한 값(cm2로 표시)이며
일정한 밭 면적 안에 심겨진 모든 개체의 잎 면적을 합한 뒤 그 값을 밭 면적으로
나눈 값을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 LAI)라고 한다. 엽면적지수가 1이면 잎을 모두
따서 면적을 재어 합하면 심겨진 밭 면적과 같다는 의미이며 2이면 그 밭에 잎을 깔면
두 겹이 된다는 의미이다.

2) 단일조건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적절한 온도와 반복적인 일장조건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15~25℃ 범위에서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개화 시기가 앞당겨지는데 이렇게 온도에 대해
반응을 보이는 것을 감온성이라 한다. 감온성은 품종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조생종들이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한다.
매일 햇빛을 일정한 시간(이를 한계일장이라 함) 이하로 받으면 꽃이 빨리 피는 식물을
단일식물이라고 한다. 콩은 단일식물에 속하는데 한계일장은 품종에 따라 달라진다.

3) 화기탈락 현상
콩은 전체 꽃수에 비해 나중에 맺히는 꼬투리 수의 비율이 20~45%에 불과하다. 이와
같이 꽃이나 어린 꼬투리가 정상적으로 다 발달하지 못하고 발육 초기에 많이
떨어지는 현상을 화기탈락(花器脫落)이라 한다. 화기탈락의 원인은 여러 가지인데, 짧은
기간 동안에 한꺼번에 많은 꽃들이 종자로 발달하면서 양분과 수분이 많이 필요한데도
뿌리와 잎에서 영양분 및 수분을 미처 공급하지 못하는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요인 외에도 저온, 고온, 가뭄, 비가 지나치게 오는 등 열악한
환경조건과 병충해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4) 재배 기후조건
콩은 열대지방에서부터 러시아의 연해주나 캐나다의 중부지방에 이르기까지 재배 적응
범위가 비교적 넓은 온대성 작물이다. 밭 상태에서는 기온이 17℃ 이상이어야 싹이 잘
트며 25~30℃ 범위에서 잘 자란다. 햇빛의 양은 많을수록 유리한데 잎 1장 단위로 볼
때 온실 상태에서는 광량이 20klx까지, 자연 상태에서의 위쪽 잎은 100klx까지
광합성량이 증가한다. 군락 상태에서는 150klx까지 증가하는데 물질생산 효율 면에서는
40~60klx가 적절하다. 이는 맑은 날 최대광량의 60% 이하 수준으로서 콩은 어느 정도
흐린 날에도 충분한 광합성을 할 수 있다.

5) 재배 토양조건
콩 재배에 적합한 토양은 모래가 약간 섞인 사양토(砂壤土)나 진흙성분이 약간 섞인
식양토(埴壤土)로서 유기물이 풍부하고 인산, 칼리 및 석회 성분이 충분한 것이 좋다.
토양의 산도(pH)는 중성이 가장 좋은데 산성토양일수록 생육이 떨어지며
뿌리혹박테리아의 활력도 떨어져 수확량이 감소한다.

4. 재배기술

1) 다양한 재배형태
단작은 한해 한 가지 작물만 재배하는 형태인데 콩만 재배하므로 서리의 피해가 없는
범위 내에서 생육기간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는 것이 유리하다. 우리나라에서는 5월
초순~중순에 파종하여 10월 초순~하순에 수확할 수 있다. 콩의 재배 형태는 한 토지
내에 수수, 옥수수, 고구마, 들깨, 호박, 참외 등과 같이 콩을 심는 혼작, 포도 등의
과수 사이에 콩을 2~3줄 파종하는 간작, 콩 2~3줄에 다른 작물 1~3줄 등을 번갈아 가며
심는 교호작(交互作) 등의 재배형태가 있다.

2) 비료주기
평균적으로 볼 때 제주도를 제외한 지역에서 오랫동안 작물을 재배했던 일반 밭에서는
10a당 뿌려야 할 비료 성분량이 질소 3.6kg(요소비료를 뿌릴 경우 실제 양은 7.8kg),
인산 6.4kg(용과린 비료는 32kg), 칼리 5.5kg(염화칼리 비료는 5.2kg)이다. 그런데 최근의
토양분석 자료를 근거로 새로 제시된 표준비료량은 10a당 성분량으로 질소 : 인산 :
칼리 = 3kg(요소비료 6kg) : 3kg(용과린비료 15kg) : 3.4kg(염화칼리비료 5.7kg)이다.

3) 북주기와 순지르기
(1) 북주기
콩이 어느 정도 자란 다음에는 골 사이를 인력이나 기계로 긁어주고 긁은 흙을 골
쪽으로 북돋아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긁는 작업을 중경이라 하며 식물체 줄기의
아래쪽으로 흙을 북돋아주는 작업을 배토 또는 북주기라 한다. 북주기를 하면 물
빠짐과 토양 속의 공기 순환이 좋아지고 식물체의 도복(쓰러짐)을 줄일 수 있으며 다시
흙에 묻힌 줄기 부위에서 뿌리(부정근)가 발생하여 생육과 결실이 좋아진다.
(2) 순지르기
순지르기는 순따주기 또는 적심이라고도 하는데 식물체가 너무 웃자랄 경우의 쓰러짐을
방지하고 튼튼하게 키우기 위해 줄기의 윗부분을 잘라주는 작업이다. 순지르기를 하면
곁가지들이 다시 나거나 왕성하게 자라며 쓰러짐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어 수량을 높일 수
있다.

4) 수확 및 탈곡
성숙기에 가까워지면 콩잎은 황색으로 변하며 떨어지고 꼬투리와 종자도 마르면서
품종 고유의 색깔이 나타난다. 종자를 말린 무게(건물중)가 최대에 도달한 시기를
생리적 성숙기라 하는데 이 시기 이후에는 실제 수확량 증가는 없고 수분 함량이 점차
떨어진다. 수확 후 충분히 말려야 탈곡이 쉬운데 수분 함량이 20%를 넘으면 탈곡이
어려우며 반대로 너무 말려도 탈곡과정에서 콩이 깨지는 물리적인 손상을 입게 된다.

5. 성분과 이용

1) 콩 단백질
콩은‘밭에서 나는 쇠고기’로 불릴 만큼 단백질 함량이 높다. 평균적으로 단백질 함량은
콩 종자의 약 40%를 차지한다. 지방 함량도 높아 전 세계에서 이용되는 식용유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 기능성 특수성분
콩 종자에는 흔히 영양저해요소로 알려진 몇 가지 성분이 들어 있다. 날콩은 비린 맛이
나는데 이는 리폭시게네이즈라는 효소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열을 가하면 대부분
파괴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비린 맛이 없는 품종인 진품콩2호를 개발한 바 있다.
트립신 저해물질은 단백질의 소화 및 흡수를 방해하는 성분으로서 날콩을 많이 섭취할
경우 설사를 유발시킨다. 열에 약하여 익히면 대부분 파괴된다.
피틴산은 칼슘, 마그네슘, 철분 등과 결합함으로써 이러한 무기물의 흡수를 저해하는
요소인데 이 성분도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소플라본 성분도
영양저해요소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항암, 혈청콜레스테롤 저하 등에 효과가 있다고
밝혀져 이미 식품 및 약품으로 제품화되었다.


<학습평가문제>
1. 콩의 암술과 수술은?
① 1쌍의 암술과 수술 ② 암술 1개, 수술 5개
③ 암술 1개, 수술 10개 ④ 암술 10개, 수술 1개
(해설) 콩의 꽃은 모두 5개의 꽃잎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암술은 1개이며, 수술은 모두 10개이다.

2. 콩 품종에 따라 꼬뚜리당 평균종자수의 차이는 무엇 때문인가?
① 수정된 암술머리의 수
② 수정된 배주의 수
③ 수정된 배의 수
④ 수정된 씨젖의 수
(해설) 콩 품종에 따라 꼬뚜리당 평균종자수의 차이는 배주의 수나 수정된 배주의 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3. 개화한 콩 꽃의 일부만 꼬투리로 발달되고 많은 꽃이나 꼬투리가 초기에 떨어져버리는
원인은 무엇인가?
① 일시에 꽃이 피어 영양 수급의 불균형이 일어남
② 꽃 피는 시기의 온도와 습도의 불균형
③ 개화 호르몬과 오옥신의 농도가 낮아짐
④ 거세미나방이나 콩나방 애벌레가 줄기를 갉아먹음
(해설) 화기탈락의 주요 원인은 짧은 기간 동안에 한꺼번에 많은 꽃들이 종자로 발달하면서
양분과 수분의 불균형이 가장 큰 원인이다.

4. 질소비료와 근류균과의 관계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질소비료에 의해 근류균은 늘어나며 활력이 증가한다.
② 질소비료를 주면 뿌리에 붙어있던 근류군은 모두 죽어버린다.
③ 근류균은 질소비료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④ 질소비료를 많이 주면 콩 식물체에 뿌리혹이 적게 달린다.
(해설) 콩은 뿌리혹박테리아(근류균)에 의한 질소고정으로 비료를 적게 쓸 수 있어 자력유지에
유리하다. 질소비료를 많이주면 뿌리혹박테리아가 적어지고 활력이 떨어진다.

5. 재배기간이 충분하지 않을 때 전작물(前作物)을 수확하기 전에 전작물 골 사이에 미리
파종하는 재배양식은?
① 단작 ② 후작
③ 혼작 ④ 간작
(해설) 앞작물(전작물)을 수확하기 전에 골 사이에 미리 파종하는 형태를 간작이라고 한다.

6. 파종 적기가 달라지게 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① 품종 ② 재배환경
③ 재배방식 ④ 기상환경
(해설) 파종 적기는 품종, 기상환경, 재배양식 등에 따라 달라진다.

7. 콩의 표준시비량은(N : P : K/10a)?
① 3 : 3 : 3.4 ② 3 : 6 : 7
③ 2 : 4 : 6 ④ 2 : 3 : 3
(해설) 새로 제시된 콩의 표준시비량은 질소 3kg, 인산 3kg, 칼리 3.4kg이다.

8. 날콩에서는 비린내가 나는데, 이는 어떤 효소의 작용 때문인가?
① lipoxygenase ② trypsin inhibitor
③ phytic acid ④ isoflavone
(해설) 콩의 비린내는 리폭시게네이즈라는 효소에 의한 작용이다. 이 효소는 열을
가하면 대부분 파괴된다.

9. 리폭시게네이즈(lipoxygenase)라고 하는 효소가 없는 콩 품종은?
① 다원콩 ② 단엽콩
③ 진품종 2호 ④ 광안콩
(해설) 최근 육성한 진품콩 2호는 이 효소가 없는 품종이다.

10. 단백질의 소화흡수를 방해하는 성분은?
① lipoxrgenase ② trpsin inhibitor
③ phytic acid ④ isoflavone
(해설) 트립신 저해물질(trpsin inhibitor)은 단백질의 소화 및 흡수를 방해는 성분으로서, 날콩을
많이 섭취할 경우 설사를 유발시킨다.

11. 영양저해 요소 중 하나이며, 항암작용과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을 하는 성분은?
① lipoxygenase ② trpsin inhibitor
③ phytic acid ④ isoflavone
(해설) 이소플라본(isoflavone) 성분은 영양저해 성분의 하나로서, 항암,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등이 밝혀졌다.

12. 95%의 꼬투리가 성숙기의 품종 고유 색깔을 나타내는 시기는?
① R5 ② R6 ③ R7 ④ R8
(해설) 콩의 꼬투리가 95% 이상 성숙기의 품종 고유 색깔을 나타내는 시기는 R8이다.

13. 콩의 북주기 효과가 아닌 것은?
①토양 속의 공기순환이 좋아진다.
②식물체의 도복을 줄일 수 있다.
③뿌리발생을 도와준다.
④유효분얼을 많이 한다.
(해설) 식물체 줄기의 아래쪽으로 흙을 북돋아주는 작업을 북주기라고 한다. 북주기를 하며
물빠짐과 토양 속의 공기순환이 좋아지고 식물체의 도복을 줄일 수 있으며, 다시 흙에 묻힌
줄기 부위에서 뿌리가 발생하여 생육과 결실이 좋아진다.

14. 감온형 대두 품종은?
① 하대두형 ② 추대두형 ③ 중간형 ④ 가을콩
(해설) 여름콩(하대두형)은 올콩으로 감온성이며, 가을콩(추대두형)은 감광성 품종이다.하대두형은 주로 평야지대에서 봄에 단작형식으로 파종하여 늦여름이나 초가을에 수확하는
품종으로서 올콩 또는 유월두로 불리고, 대립연질이어서 밥밑콩 또는 콩장 등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추대두형은 남부의 평야지대에서 맥후작의 형식으로 재배되는 그루콩이 대부분이다.

15. 콩 품종의 특성으로 볼 때 100립중이 13g 이하의 소립종일수록 유리한 콩의 용도는?
① 나물콩 ② 밥밑콩 ③ 풋콩 ④ 유지용콩
(해설) 알맹이가 작을수록 원료콩에 비해 생산되는 콩나물의 수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유리하다.
콩나물콩은 경실종자가 없어야 한다. 경실률은 20℃에서 6시간 침종 후 조사한다. 계산방법은(수분을
흡수하지 않은 콩 종실의 수 ÷ 100립) × 100으로 한다.

16. 다음 작물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작물은?
① 보리 ② 밀 ③ 콩 ④ 옥수수
(해설) 콩은 단백질 함량이 41.3%로 매우 높다.

17. 꼬투리에 털이 없거나 선명한 녹색을 띨 뿐만 아니라 당 함량이 높은 특성이 요구되는
콩 품종은?
① 일반용 콩 ② 나물콩
③ 밥밑콩 ④ 풋콩
(해설) 풋콩은 털이 없거나 적고 선명한 녹색을 띠는 것이 좋으며, 당 함량이 높고 무름성도
좋아야 한다.

18. 백립중이 17g 이상인 대립이며, 정립률이 높은 것을 요구하는 콩의 용도는?
① 나물콩 ② 장류콩
③ 밥밑콩 ④ 풋콩
(해설) 장류콩은 중립 내지 대립이면서 단백질 함량이 높으면 두부 수율이 높아진다.

19. 콩나물콩이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콩나물의 기능성분인 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을 것
②경실종자가 아닐 것
③배축장과 근장이 길 것
④아스파라긴 함량이 높을 것
(해설) 콩나물은 배축장이 우수하여야 한다. 배축장은 콩나물 머리와 세근을 제외한
배축길이이다. 콩나물은 경실종자가 아니어야 한다.

20. 콩 종자를 무배유종자라고 하는 이유는?
①발달과정에서 배젖 부분이 점차 퇴화되었기 때문에
②발달과정에서 배 부분이 점차 퇴화되었기 때문에
③발달 초기부터 배젖 부분이 없기 때문에
④발달 초기부터 배 부분이 없기 때문에
(해설) 종자의 분화ㆍ 발달과정에서 배젖은 점차 퇴화되고 대신 배 부분이 크게 자리잡아
최종적으로 형성된 종자는 배가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콩 종자를 무배유종자라고
한다.

21. 화기탈락을 줄이기 위한 재배기술적 대책으로 틀린 것은?
①이식재배를 한다.
②충분한 질소비료를 준다.
③개화기에 요소를 엽면 살포한다.
④배토를 실시한다.
(해설) 충분한 질소시비는 뿌리혹의 활성을 떨어뜨려 화기탈락을 촉진한다. 이식ㆍ 적심재배에의하여 2단 개화를 조절하면 화기탈락을 줄일 수 있다.

<정답>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