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 사회운동 이론과 신사회운동
1) 초기 사회운동 이론: 사회심리학적 집합행동 이론
① 군중심리 이론
■ 르봉(G. Le Bon)은 사람들이 무리를 지어 비이성적 행동을 하는 현상들에 주목하여 왜 사
람들은 집합 속에서 평상시와 다른 행동을 하는가를 탐구
■ 개인이 군중 속에 들어가면 이성적 판단이 쇠퇴하면서 자기통제력을 잃어버리고, 감정, 감성
적 심리상태가 되기 때문으로 결론
■ 군중은 익명성(anonymity), 전염(contagion), 피암시성(suggestibility)이라는 세 특징을 보
임. 타인으로부터 현실검토 없이 의식 내용을 받아들이는 성질이 피암시성.
- 군중 속에서 개인은 익명성으로 인해 책임감이 줄어들게 됨.
- 흥분이나 불안감, 슬픔 등의 감정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쉽게 전염이 됨.
- 개인들은 피암시성(암시 감응성)으로 인해 군중 속의 익명적이고 감성적인 상태에서 자신
에게 전달되는 명령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는 것.
■ 예를 들어 평소에 보기 어려운 공황(panic), 즉 공포와 불안에 휩싸여 도피하는 군중행동이
나 어떤 감정에 휩싸여 일시적으로 확산되었다가 사라지는 행동에 주목하고 집합행동을 사
회심리적 요인으로 설명함.
② 사회심리학적 이론
■ 르 봉의 이론을 계승 발전시킨 학자가 블루머(H. Blumer).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을 구별함.
■ 블루머(H. Blumer)는 집합행동의 발생을 불안의 형성 및 확산과 같은 사회심리학적 요인으
로 설명.
■ 이러한 집단행동이 단순히 감정을 표출하거나 일시적으로 지나가는 행동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질서를 만들어내는 행동이자 사회변동을 이끌어낼 수 있는 행동이라고 보고 적극적으로
평가.
■ 모종의 불안, 현재 삶에 대한 불만, 새로운 삶에 대한 갈망 등이 원동력
■ 사회운동을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눔. 첫째 노동운동, 여성운동, 평화운동 등과 같이 어떤 새
로운 가치관을 일반적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일반적 사회운동’. 둘째는 그 목표가 구체적으
로 한정되어 있는 ‘구체적(specific) 사회운동’인데, 그 하위 유형을 사회변화에 대한 입장에
따라 혁명과 개혁으로 나눔. 셋째는 사회변화를 추구하기보다는 정서와 상징을 표출하는 데
그치는 종교적 의례행사, 유행 등의 ‘표출적(expressive) 사회운동’
■ 세 가지 유형에 귀속시키기 어려운 복합적 성격의 사회운동으로서 복고주의나 민족주의 등
의 사회운동을 제시.
③ 사회심리학적 혁명 이론
■ 거(T.R.Gurr)는 혁명을 비롯한 집합행동을 설명하는데 상대적 박탈감의 형성, 심리적 분노의
확산, 폭발 등과 같은 사회심리적 요소를 중시.
■ 데이비스(J.C.Davis)는 경제가 계속 발전하면 실제로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계속 향상되고 사
람들의 심리적 기대 수준도 이와 병행해 계속 상승함. 그런데 어느 순간 현실 생활수준의
향상이 갑자기 둔화하면 관성적으로 계속 높아져 가던 심리적 기대 수준과의 격차가 갑자기
크게 벌어지게 됨. 바로 이때 상대적 박탈감이 집단적으로 형성되고 폭발하여 혁명이 발생한
다고 설명.
『사회학 비판적 사회읽기』, 비판사회학회편,
■ 데이비스의 이론은 맑스의 혁명 이론을 부정하고 비판하기 위한 것으로 혁명은 경제상황이
악화되어 생계가 어렵게 되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되던 경제성장이 둔화하는 국면에
서 일어난다는 점을 강조.
2) 현대 사회운동이론
① 마르크스주의 사회운동 이론
■ Ÿ 마르크스주의 사회운동이론은 집합행동이나 사회운동의 발생 원인으로 물질적이고 경제적
대립관계와 빈곤 등 경제적 계급적 요인들을 중시함.
■ 자본가계급이 사적이윤의 극대화를 위해 노동자계급을 착취함에 따라 계급대립과 노동자들
의 빈곤이 심화되어 노동자들의 불만과 저항이 커지고, 이로 인해 노동자들이 조직화되고 계
급의식이 발달하면서 계급혁명운동이 생겨난다고 봄.
■ 혁명을 통해 노동자들이 자본가의 편에서 노동자들을 폭력으로 억압하는 국가를 전복하고
궁극적으로 자본주의적 경제관계를 폐지하게 된다는 것. 따라서 노동자계급의 사회운동은 정
치적이고 혁명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고 설명.
■ 정치혁명과 사회혁명을 구분
- 정치혁명은 피지배계급이 국가권력을 장악함으로써 정치적 지배세력의 교체를 이루는 것
이라면 사회혁명은 새로운 지배세력이 정치혁명을 넘어 한 사회의 경제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등 사회의 혁명적 변화를 추구하는 것
- 마르크스는 사회혁명이야말로 진정한 혁명이라고 함.
■ 레닌(V. I. Lenin)과 그람시(A. Gramsci)
- 20세기 초에 러시아의 혁명가 레닌은 마르크스의 혁명이론을 두 가지 면에서 수정.
- 하나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달해 모순이 첨예해지고 경제위기
가 발생하는 국면에 가능하다고 본 마르크스와 달리 러시아와 같은 자본주의 발달의
초기 상태에 있는 세계 자본주의 주변부 나라들에서도 가능하다는 것. 나머지 하나는
노동자계급이 저절로 계급의식을 가지지 못하며 혁명적 지식인들과 혁명가들이 계급
의식과 혁명의식을 불어 넣어 지도해야 혁명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
- 20세기 초 이탈리아 공산당 지도자였던 그람시는 레닌의 혁명 전략이 자본주의 중심부에
적합하지 않다고 봄. 서유럽같이 자본주의가 발달한 나라들에서 지배계급과 국가의 통치
가 단순히 물리적 강제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고 피지배계급에 대한 설득과 동의를 통해
유지된다는 것. 억압적 지배의 장소인 ‘국가’와 대비해 설득과 동의를 통한 헤게모니적 지
배가 이루어지는 장소가 ‘시민사회’. 따라서 시민사회에서 헤게모니투쟁을 벌여 지배계급
의 헤게모니를 해체하고 국민적이고 민중적인 헤게모니를 장악함으로써 사회주의혁명을
이룰 수 있다는 것.
② 합리적 선택 이론
■ 올슨(M.Olson)은 개별행위자들이 집합행동에 참여하는 것은 자기이해라는 합리적 동기와 의
도적 선택에 의한 것이라 주장
■ 개인 합리성과 집합 합리성 간의 모순으로 인해 무임승차자(free-rider) 문제가 발생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집합행동이 발생하기 어려움
- 예: 노동조합원들이 파업에 참가할 때 치러야 할 비용과 이득을 계산하게 됨. 참여하지 않
아도 승리했을 때 집합적 이득을 얻으므로 참가하지 않음.
■ 집합행동의 사회적 원인을 설명하기 어려움. 집합행동이 항상 개인들의 합리적 계산적 행동
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③ 가치부가 이론(value-added perspective)
■ 스멜서(N.Smelser)는 집합행동의 이면에는 6개의 결정요인의 연쇄가 존재한다고 주장
■ 구조적 유인성, 구조적 긴장, 신념의 성장과 전파, 촉발요인, 행동을 위한 동원, 사회통제 기
제
■ 앞의 요인이 뒤의 요인을 낳고 또 그 작용 범위를 설정한다는 점에서 일련의 가치부가순서
에 따라 집합행동의 발생에 영향
- 예: 노동운동발생조건: 자본주의라는 구조적 유인성, 사회해체나 아노미 같은 규범체계의
혼란, 사태에 대한 공감과 대응책의 확산, 집합행동 유발하는 극적 사건, 조직화와 직접행
동, 집합행동 확산 억제의 과정.
④ 자원동원이론
■ 주로 미국에서 발달하고 유행. 사회심리학적 이론, 계급갈등이론, 합리적 선택이론 등의 기
존 이론들이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을 발생시키는 사회구조적 원인과 과정의 다양성을 설명하
는데 한계를 보였다고 비판하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나타남.
■ 매카시(J.D. McCarthy)와 잘드(M.N.Zald)
- 사회운동은 보상의 분배체계를 변화시키려는 의견과 신념을 가진 사람들의 집합행동으로,
이익집단들이 이익이나 권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신들이 가진 인력, 재화, 무기, 정치적
지지 등을 총동원하는 합리적 행위
- 자원의 동원 정도와 조직화 수준, 정치적 전략 등이 사회운동을 분석하는데 중요 요인
- 사회운동 조직에 주로 초점을 맞춤.
■ 정치과정 이론
- 틸리(C.Tilly)와 갬슨(W.A.Gamson)은 사회운동을 공통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집합행동
으로 보면서 사회운동 조직뿐만 아니라 통제기관을 포함하는 정치과정 전체에 초점
- 국가권력을 포함한 기득권 집단들 내에서 어떤 균열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제도정치권 내
에서 도전집단에 동조하는 세력이 존재하는지 등이 사회운동의 성공 여부에 큰 영향을 끼
친다고 주장. 틸리는 이를 ‘정치적 기회구조’라 부름
⑤ 정체성 이론과 신사회운동 이론
■ 주로 유렵에서 발달하고 유행
■ 계급 갈등에 기초한 노동운동과 사회주의 또는 사회민주주의를 지향하던 구사회운동과 다른
반전평화운동, 반핵환경운동, 여성운동 등 새로운 사회운동이 전개
■ 사회운동 또는 운동주체들의 정체성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정체성이론으로 부르거나
신사회운동의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신사회운동으로 부름.
<신・구사회운동의 비교> (『사회학: 비판적 사회 읽기』, 비판사회학회 엮음)
'사회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59. NGO의 특징과 주요 활동 (2) | 2024.04.27 |
---|---|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58. 현대 사회운동의 발생과 주요 원인 (2) | 2024.04.26 |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56.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의미 (0) | 2024.04.24 |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55. 범죄의 분류와 특징 (0) | 2024.04.23 |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54. 사회학적 범죄이론 (2) | 2024.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