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학개론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52. 생물학적 범죄이론

반응형

52. 생물학적 범죄이론

- 초기의 생물학적·심리학적 이론들이 본성이나 타고난 성격이 나빠 범죄를 저지른
다고 주장하다가 한계가 드러나면서 후천적이고 사회적 요인을 강조하는 사회학
이론들이 생김.
- 생물학적 특성과 범죄 성향
범죄와 일탈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초기의 시도들은 주로 생리학, 생물학 이론에 근거한 것
■  롬브로소(C.Lombroso)는 1870년대에 두개골 모양에 따라 범죄 유형 판별을 시도
■  덕데일(R.Dugdale)은 범죄인 가계도 연구를 통해 유전인자의 영향을 밝힘으로써 범죄 성향
을 설명
■  셸던(W.A.Sheldon)은 1940년대에 일탈행동과 신체 유형의 관계를 보여주려 함
■  샌드버그(A.A.Sandberg)는 Y염색체가 정상보다 많은 사람들에게서 범죄 성향이 많이 나타
난다고 주장
■  롬브로소에 따르면 범죄자들은 생물학 상 진화가 덜되었거나 퇴화한 사람들로서 얼굴이나
머리의 비대칭, 원숭이 같은 큰 귀, 두꺼운 입술, 튀어난 광대뼈, 긴 팔, 많은 주름살 등의
특징
- 생물학 이론의 계승과 한계
■  선천성, 생물학, 생리학 특성으로 범죄를 설명하는 이론은 염색체 이상, 호르몬 이상, 선천성
뇌의 결함 등을 범죄 발생의 원인으로 보는 이론들로, 정신병이나 이상 성격을 범죄의 주된
원인으로 설명하는 심리학 이론들로 계승되었다.
■  인과관계가 불분명하거나 사례가 불충분하여 생물학 요소와 범죄 간의 관계를 입증하는 데
에까지는 이르지 못함
■  무엇이 범죄인지를 규정하는 것과 개인이 범죄 행위에 이르는 과정은 사회적 상황에 달려
있기 때문에, 사회 요인을 고려하지 않는 생물학, 생리학 설명은 한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