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사회변동의 요인과 주체
1) 사회변동의 요인
(1) 물질적·과학 기술적 진보와 사회변동
■ 물질적 생산의 차원에서 보면, 역사적으로 인간사회는 최초의 수렵 채취사회로부터 농업사
회, 산업사회, 탈산업사회(과학기술사회, 지식정보사회)로 발전해왔음
■ 한국전쟁 이후 식량생산이 부족하여 보릿고개, 농약과 비료 생산기술 발달로 쌀 생산량이 늘
고 80년대에는 국제무역으로 육류소비가 증가하고 90년대 이후에는 과도한 식품섭취로 비
만이 문제 되기 시작
(2) 사회갈등과 사회변동
■ 동일한 물질적 과학적 진보의 단계에서도 서로 다른 형태의 사회관계가 형성될 수 있음
■ 물질적 과학 기술적 진보로 인해 생긴 재화와 서비스를 누구에게 어떻게 나누어 줄 것인가
하는 것이 항상 역사적으로 갈등거리가 되어 옴
■ 마르크스에 의하면 사회형태들은 원시 공산주의, 고대 노예제, 중세 봉건제, 현대 자본주의
사회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는 생산기술의 차이에 따른 분류가 아니라 생산 관계의 차이에
의한 분류로서 생산수단과 생산물을 누가 소유하고 관리하는지에 따른 분류. 소유한 계급과
소유하지 못한 계급 사이의 계급투쟁
2) 지배와 사회갈등의 다양한 요인
(1) 경제적 요인
■ 조선 후기 관료들의 수탈과 일본의 곡물 대량수매로 식량부족 → 동학혁명
■ 박정희의 차관도입과 수출 중심적 경제개발, 대기업 중심 경제정책과 저임금 정책으로 경제
성장과 계층 불평등 심화
(2) 정치적 요인
■ 과거 부르주아 혁명은 봉건세력에 저항하여 정치적 권리를 획득하고자 한 부르주아 계급의
정치적 저항으로 이루어짐
■ 오늘날의 민주화운동은 전체주의나 독재 권력에 반대하면서 시민들의 자유와 민주적 권리를
위해 싸운 정치운동
■ 예시
- 1980년 광주 민주화운동, 87년 6월 항쟁
- 20세기 초의 두 차례의 세계대전, 1950년 한국전쟁
- 2001년 미국에서의 9·11테러, 이집트혁명 등
(3) 문화 이데올로기적 요인
■ 국가의 일방, 권위주의에 반발해서 등장한 서양의 68혁명은 탈권위, 생태주의, 탈물질주의,
남녀평등, 성 해방 등 새로운 문화 흐름을 형성시켰고, 이에 따라 다양한 사회변동이 일어남
→ 다양한 요인의 중첩과 사회변동
■ 물질적, 과학 기술적 진보나 사회적 지배와 갈등은 모두 사회변동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
지만 독립적으로 작용하기보다는 서로 중첩되어 작용
3) 사회 변동의 주체
(1) 모든 사회변동은 주어진 환경 속에서 사회를 형성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사고와
행위의 산물로, 사람들의 노동과 실천이 없다면 사회는 존속하거나 진보하거나 변
화할 수 없음
(2) 어떤 집단이나 세력들은 기존의 규칙을 유지함으로써 자신들의 이익을 유지하고
확대해 가려 하는 반면, 어떤 집단이나 세력들은 기존의 규칙을 개혁하거나 혁명
함으로써 새로운 사회관계를 형성하려고 함
(3) 사회변동을 낳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을 사회변동의
주체라고 함
(4) 산업화 세력과 민주화 세력
■ 전태일의 예
- 산업화세력 : 1960년대 이후 급속한 공업화 과정에서 기업 활동, 생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기여했던 사람들
- 민주화세력 : 비슷한 시기에 군사독재정권에 저항하면서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던 사람
들을 집합적으로 칭하는 말
(5) 사회가 점점 분화되고 복잡화되면서 다양한 사회문제와 사회갈등이 나타나고, 이
를 해결하고 자신들의 집합적 권리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사회운동이 등장
(6) 사회운동은 사회변동의 산물임 동시에 중요한 원인
'사회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6. 현대화이론에 대한 비판 (2) | 2024.03.08 |
---|---|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5. 사회변동의 이론적 쟁점 (1) | 2024.03.08 |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3. 사회구조와 사회적 행위 (2) | 2024.03.07 |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2. 유럽 사회학과 한국 사회학 (1) | 2024.03.06 |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1. 구조기능주의 비판과 현대 사회학이론들 (7) | 2024.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