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미생물학

미생물학과, 환경생활공학, 환경과학 등 환경미생물학 요점 정리 5. 생물학적 슬러지 처리

반응형

5장 생물학적 슬러지 처리

5.1 생물학적 슬러지 처리의 개요

 

1. 서론

 

슬러지

- 넓은 의미: 하수처리 중 발생하는 폐액으로부터의 침전고형물을 의미

- 좁은 의미: 2차 침전지에서 발생하는 미생물 바이오매스(잉여슬러지)를 의미

- 슬러지는 생물학적 하수처리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지만, 그 처리 비용은 전체 공정에서 가장 큼

- 한국의 경우(2005년 현재) 6개월 이상 가동한 하수처리장 287개소에서 발생되는 하수슬러지량은 연간 약 250만톤에 이름

- 하수슬러지 처리현황을 살펴보면 해양투기가 75%의 비율로 가능 높은데 2012년 런던협약에 의해 해양투기가 금지되는 경우 하수슬러지의 처리가 매우 곤란한 상황

 

 

2. 슬러지의 종류

 

그릿(grit)

- 침사지에서 침전 제거되는 모래, 뼈조각, 유리 등과 같은

거칠고 단단한 물질로서 모은 후 곧바로 매립지에 폐기

 

1차 슬러지

- 1차 처리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가리키는 것

- 보통 1차 침전지에서 중력에 의해 제거되는 침전성 부유물을 의미

- TS가 보통 27%이며 VS/TS는 약 6080%

 

2차 슬러지

- 2차 처리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가리키는 것

- 보통 활성슬러지법이나 살수여상법과 같은 생물학적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잉여 슬러지)

- 활성슬러지의 경우 TS가 보통 0.81.2%이며 VS/TS는 약 6580%

 

3차 슬러지

- 3차 처리(화학적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

 

 

3. 슬러지 공정(sludge processing)

 

(1) 농축(thickening)

 

TS 함량을 증가시켜 부피를 감소시키는 목적(주로 침전이나 원심분리 이용)

 

부피감소로 운반비용이 크게 감소

 

 

(2) 안정화(stabilization)

 

유기물을 제거하여 안정화키며, 또한 슬러지 양의 감소 및 악취의 저감

 

혐기성 소화, 퇴비화, 석회 안정화, 열처리 등

 

 

(3) 개량(conditioning)

 

고액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보통 화학약품이나 열처리 이용)

 

 

(4) 탈수(dewatering)

 

농축과 달리 슬러지내 수분을 강제적인 수단에 의해 제거(압력 여과기(filter press))

 

부피감소로 경제성의 증가 및 취급의 편의성 도모

 

 

 

5.2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슬러지 분해

 

1. 서론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는 보통 혐기성 소화라고 함

 

호기성 분해가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반해서 혐기성 분해는 대부분이 세균에 의해서 이루어짐

 

혐기성 소화는 오랫동안 슬러지의 안정화에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산업폐수의 처리에도 적용

 

 

2. 혐기성 분해과정 및 관련 미생물

 

혐기성 분해과정

(1) 가수분해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복합유기물질) 포도당, 지방산, 아미노산 등(단순유기물질)

 

복합물질의 가수분해는 cellulase, protease, lipase와 같은 체외효소에 의해 이루어짐

 

상대적으로 분해속도가 느려, 폐기물 처리의 경우 이 과정이 율속단계(전체속도 좌우)

 

 

(2) 산생성 (산발효)

 

포도당, 아미노산, 지방산 등 유기산(VFA; volatile fatty acid), 알코올 등으로 분해

 

이 중 산생성 단계의 주된 산물은 유기산으로서 이것은 프로피온산, 뷰틸산 등의 다양한 유기산을 포함

 

 

(3) 초산생성 (초산발효)

 

산생성 단계의 산물인 다양한 종류의 유기산과 알코올을 메탄생성균이 이용할 수 있는 초산으로 분해하는 것으로 이 때 수소가 부산물로 발생

 

한편, 초산생성균은 메탄생성균과 공생관계에 있는데, 초산생성균이 선호하는 낮은 수소분압이 수소를 이용하는 메탄생성균에 의해서 이루어짐

 

 

(4) 메탄생성 (메탄발효)

 

초산생성 단계의 산물인 초산과 부산물인 수소를 메탄으로 전환하는 것

 

메탄생성균은 산생성균보다 성장이 느리고 환경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운전조건을 잘 맞추어주어야 함

 

폐기물이 아닌 폐수 처리 시에는 이 과정이 율속단계로 작용

 

대표적 메탄생성균에는 Methanosarcina, Methanosaeta

 

 

3. 혐기성 분해인자

 

(1) 온도

 

중온소화(35: 2540): 처리효율의 안정성, 유출수의 수질 양호

 

고온소화(55: 5065): 병원성 세균 파괴, 고부하 처리 가능

 

 

(2) 체류 시간

 

혐기성균에 의해 물질대사가 일어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이 유지

- 중온소화의 경우: 2530

- 고온소화의 경우: 1015

 

 

(3) pH

 

평형상태의 pH6.57.5

 

최적 pH는 약 7.0

 

pH 6.5 이하일 때, 산생성균과 메탄생성균의 평형이 깨어짐

 

pH의 저하는 유기물 부하가 갑자기 높아질 때 발생

 

 

(4) 알칼리도

 

알칼리도는 산을 중화시킬 수 있는 능력으로서, 특히 혐기성처리의 경우 매우 중요

 

산생성 단계에서는 유기산이 생성되는데 적절한 알칼리도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 생성된 유기산으로 인해 메탄균이 저해를 받을 수 있음

 

일반적인 하수슬러지의 경우 약 2,000 mg/L 이하의 값으로 유지되는 것이 좋음

 

 

(5) 가스조성

 

혐기성 소화조의 가스조성은 메탄과 이산화탄소 그리고 약간의 질소, 황화수소 등으로 구성

 

보통의 경우 메탄의 적정범위는 약 5575%, 이산화탄소는 약 1530%

 

발생가스의 열량은 약 5,0007,000 kcal/m³

 

CO2의 농도가 35% 이상일 경우에는 소화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

 

가스는 공기와의 혼합율이 약 515%일때 폭발위험성이 있어 주의요망

 

 

(6) 가스발생량

 

0.50.7 m3/kg VSadded

 

1.01.1 m3/kg VSdestroyed

 

 

(7) VS 제거율

 

VS 제거율은 약 5070%의 값을 나타내는데 성상에 따라 차이

 

 

4. 혐기성 분해의 장단점

 

(1) 혐기성 분해의 장점

 

동력비 및 유지관리비가 적게 소요

호기성에 비해 슬러지 발생량이 약 1/31/20

대체에너지인 메탄가스 생산 (9,000 kcal/m3)

장기간 소화조 운전의 중단이 있어도 미생물의 활성이 보전

고농도 유기성폐수 및 폐기물 처리에 적절

다양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

대규모 시설에 적합

고온소화의 경우, 병원균의 사멸

 

(2) 혐기성 분해의 단점

 

초기건설비용이

운전 초기(start-up)에 긴 시간이 요구

호기성에 비해 혐기성 미생물의 반응속도가 느리고, 운전이 까다로움

독성물질에 대해 더욱 민감

넓은 부지가 필요하며, 시설비가 많이 소요

발생폐수의 후처리가 필요

생성 슬러지의 비료가치가 낮음

 

 

 

5.3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슬러지 분해

 

1. 서론

 

퇴비화

-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는 것

- 분해가 이루어지는 동안 열이 발생하여 온도가 약 6080에 이르기 때문에 병원균이 사멸

- 반응이 끝난 후 얻어지는 최종산물은 토지개량제나 비료로 쓰일 수 있음

 

퇴비화 공정의 단계

슬러지와 팽화제의 혼합

공기주입을 통한 처리물질의 안정화

퇴비의 숙성

팽화제를 회수하기 위한 선별

생산된 퇴비의 저장

 

 

2. 호기성 분해과정 및 관련 미생물

 

(1) 잠복단계: 퇴비화 환경에 대한 미생물군의 적응이 이루어짐

 

(2) 중온단계: 유기물을 분해하는 세균에 의해 온도가 상승

 

(3) 고온단계: 고온성 세균이나 진균류, 또는 방선균 등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유기물은 고속분해가 이루어짐

 

(4) 냉각단계: 고온성 미생물이 중온성 미생물로 대체되며, 중온으로 온도가 하강

 

(5) 숙성단계: 온도가 대기 온도로 하강하고 변화된 영양상태에 맞는 생물상(원생동물, 윤충류, 딱정벌레류, 진드기류, 선충류 등)의 정착

 

 

3. 호기성 분해인자

 

(1) 온도

 

퇴비화 반응에 의한 온도상승은 미생물의 호흡대사에 의한 발열반응에 의한 것

 

퇴비화 과정에서 온도는 퇴비화 완료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활용될 만큼 중요한 인자

 

일반적으로 최적온도는 약 60이나 실제 퇴비단의 온도는 80까지 올라감

 

 

(2) 포기

 

호기성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

 

반응온도의 조절

 

지나친 수분이나 가스의 제거

 

 

(3) 수분조절

 

호기성 퇴비화의 적정 수분함량은 약 60%

 

폐기물의 혼합이나 수분의 첨가 등으로 조절

 

 

(4) C/N

 

최적 값: 25

 

C/N비가 너무 높으면(80 이상)

- 질소부족 현상이 발생

- 유기산이 퇴비의 pH를 낮춤으로써 미생물의 생장과 활동도 억제

 

C/N비가 너무 낮으면(20 이하)

- 질소가 암모니아로 변하여 pH를 증가

- 이로 인하여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되어 퇴비화 과정 중 악취 발생

 

 

(5) 기타

 

중금속, 독성물질, 염 등은 퇴비화 미생물의 활동을 저해함으로 잘 조절관리해야 함

 

 

4. 퇴비화의 장점과 단점

 

(1) 호기성 분해의 장점

 

운전이 용이함

대량의 퇴비를 생산하며, 토지개량제로도 이용가능

초기 시설투자비가 낮음

병원균의 사멸이 가능

 

(2) 호기성 분해의 단점

 

aeration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공정

부피감량이 작음

퇴비의 품질표준화가 어려움

퇴비의 비료가치가 낮음

악취문제 발생

많은 부지가 필요

연습문제

 

1. 혐기성소화의 진행단계를 잘 나타낸 것은?

산생성-초산생성-가수분해-메탄생성

가수분해-산생성-초산생성-메탄생성

가수분해-초산생성-산생성-메탄생성

산생성-가수분해-초산생성-메탄생성

 

[정답] 2

 

혐기성소화는 가수분해-산생성-초산생성-메탄생성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2. 다음 중 메탄생성과 관련이 있는 것은?

PAO

Nitrosomonas

denitrifier

Methanosaeta

 

[정답] 4

 

대표적인 메탄생성균으로 MethanosarcinaMethanosaeta가 있다.

 

 

3. 다음은 퇴비화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최적온도는 약 60이다.

적정 수분함량은 약 60%이다.

최적 C/N비는 약 25이다.

에너지 생산공정이다.

 

[정답] 1

 

호기성 퇴비화는 운전이 용이하고, 대량의 퇴비를 생산하지만, 공기주입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공정이다.

 

 

4. 퇴비화의 진행단계(5단계)를 잘 나타낸 것은?

잠복단계-중온단계-고온단계-숙성단계-냉각단계

잠복단계-고온단계-중온단계-냉각단계-숙성단계

잠복단계-중온단계-고온단계-냉각단계-숙성단계

잠복단계-고온단계-중온단계-숙성단계-냉각단계

 

[정답] 3

 

호기성 퇴비화의 진행단계는 다음과 같다.

- 잠복단계: 퇴비화 환경에 대한 미생물군의 적응이 이루어짐

- 중온단계: 유기물을 분해하는 세균에 의해 온도가 상승

- 고온단계: 고온성 세균이나 진균류, 또는 방선균 등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유기물은 고속분해가 이루어짐

- 냉각단계: 고온성 미생물이 중온성 미생물로 대체되며, 중온으로 온도가 하강

- 숙성단계: 온도가 대기 온도로 하강하고 변화된 영양상태에 맞는 생물상(원생동물, 윤충류, 딱정벌레류, 진드기류, 선충류 등)의 정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