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성학

영어영문학과, 음성 관련 필수 음성학 요점 요약 정리 3. 영어의 기본 말소리 (1)

반응형

3영어의 기본 말소리 (1)

 

2.1. 음소와 이음의 관계

2.2. 음소분석의 절차

1. 학습에 앞서

학습개요

1. 음소와 ()이음

뜻의 차이를 가져오는 최소의 소리 단위를 음소라 한다. 음소는 추상적 단위의 소리로

서 화자의 심리적 실체성을 갖는 소리 단위이다. 음소는 쓰이는 환경에 따라서 여러 음가

로 발음된다. 이것을 한 음소의 이음이라 한다.

2. 음소분석의 절차

한 언어의 음소를 찾아내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최소대립어를 찾아서 최소대립어를 이

루게 하는 소리를 분석해내는 일이다. 이음은 나타나는 환경이 정해져 있는데, 이것을 이

음의 상보적 분포성이라 한다. 이음의 자리는 정해져 있지만 그 자리가 바뀌어도 뜻의 차

이를 초래하지 않는다. 이것을 이음의 자유변이라 한다. 자유변이를 이루는 상보적 분포를

이루는 소리들은 한 음소의 이음을 이룬다.

학습목표

1. 음소와 이음의 관계를 분명하게 파악한다.

2. 음소를 분석하는 절차로서 최소대립어를 찾아본다. 비슷한 음의 소리들이 상보적

분포를 이루며, 자유변이 관계를 이룰 때는 이들 소리들은 한 음소의 이음으로 간

주한다.

주요용어

음소, 이음, 대기음, 비대기음, 비개방음, 상보적 분포, 최소대립어, 자유변이

2. 학습하기

학습내용

2.1. 음소와 이음의 관계

. 음소

개별 언어에서 뜻의 구분을 일으키는 최소의 소리 단위를 말한다. 음소는 사선

(/ /)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 pie

tie,

thighthy

: 각 단어 쌍에서 두 단어의 뜻의 차이를 구별시켜 주는 것은 첫 소리, ,

/p//t/, /.//ð/가 다르기 때문이며 이것들은 영어에서 각기 다른 음소를 이

룬다.

. 이음

음소와는 달리 뜻의 구분을 일으키지 않는 음을 말한다. 이음 혹은 변이음은 격

괄호 속에 넣어서 “[ ]”안에 표기한다.

) /p/--[ph], [p=], [p]

가령 pop이라는 단어에서 어두에 있는 p는 대기음을 동반한 [ph]로 발음되며,

어말에 있는 p는 비개방음 [p]로 발음된다. 그리고 spill에서 p는 우리말의 //

와 유사한 비대기음 [p=]로 발음된다. 음소 /p/를 구성하는 상이한 이들 소리들

[ph], [p=], [p]/p/의 이음들이라고 한다.

. 음소와 이음과의 관계

첫째, 화자는 모국어의 음소에 대하여 심리적 실체성(psychological reality)을 갖

고 있지만 이음들에 대하여는 그렇지 못하다. 주어진 음(sound)들을 구별해 들을

수 있는 것은 그것들이 자신의 모국어에서 별개의 음소 (phoneme)를 이루고 있을

때이다. , 음소에 대해서는 명확한 인식을 할 수 있지만 이음은 잘 구별하지 못

한다.

) 영어의 [ph], [p=], [p]- 3개의 변이음들은 영어에서 뜻을 구별시켜주는

음소가 아니라 이음들이다.

한국어의 //, //, // - 3개의 소리는 뜻을 구별시켜주는 음소이다.

: 가령 영, 미국인은 한국어의 (grass)’, ‘(horn)', ‘(fire)’이 모두 별개의

뜻을 가진 대립어인데도 이것들을 잘 구별해 듣지 못한다. 이밖에도 한국어에서는

[l][r] 소리가 이음관계이어서 영어를 배우는 한국인은 영어의 /l/ 소리와 /r/

리를 잘 구별하지 못하여 ‘lose’(잃다)‘rouge’(연지)를 같은 말로 듣는 착오를

범한다

둘째, 주어진 음소의 이음들은 환경이 서로 겹치지 않으며 일정한 환경에서 이음들

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상보적 분포(complementary distribution)라 한다.

) # ____, s____, ____#

[th] top

t [ =] stop

[t ] cat

#: 낱말경계(word boundary)를 표시함

: 위의 예에서 보듯이 /t/의 세 이음들은 나타나는 자리가 서로 겹치지 않으며 고정

된 자리에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이음들은 각기 자신의 정해진 환경에서 일어나지만, 이것이 설사 바뀌어도

뜻에는 변화를 주지 않는다. 가령

cup[k.p] 대신 [k.ph]로 발음해도 이 단어의

뜻을 못 알아듣는 것은 아니다.

2.2. 음소분석의 절차

첫째, 음소를 찾아내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최소 대립어(minimal pair)를 찾는 방

법이다. 최소 대립어란 두 개의 단어가 같은 자리에 있는 하나의 음 때문에 뜻의 차

이가 생길 때, 그 두 단어를 일컫는 말이다. 아래의 최소 대립어에서 뜻의 차이를 초

래하는 볼드체 소리를 별개의 음소로 간주한다.

) /t/ - /d/ /t/ - /s/ /p/ - /b/

pin - bin

two - do two - Sue

ten - den tent - sent rapid - rabid

rip - rib mate - made hit - hiss

. 최소 대립어의 문제점 - 예를 들면, 영어의 /d.//./, 그리고 /.//z/가 최소

대립어 관계를 이루는 단어쌍을 찾기란 그리 쉽지 않다. 이럴 때 다음의 방법으로 상

보적 분포의 개념을 이용한다. 다음은 [d.][.]가 일어나는 분포를 나타낸 것이

.

) #____, V____V, ____#

[d.] gem fragile edge

[.] _____ pleasure rouge

: [d.][.]는 일어나는 자리가 서로 중복되어 있다. [d.][.] 모두가 어중

(word medial)과 어말(word final)에서 겹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d.]

[.]는 한 음소의 이음 (allophone)이 될 수 없고 별개의 음소를 이룬다.

둘째, 주어진 음들의 분포가 서로 겹치지 않는 상보적 분포(complementary

distribution) 관계에 있으면 이들을 같은 음소의 이음으로 간주하며, 반대로 그 분포

가 겹치면 별개의 음소로 분석한다. 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상보적 분포(complementary distribution)라 한다.

) # ____, s____, ____#

[th] top

t [ =] stop

[t ] cat

#: 낱말경계(word boundary)를 표시함

: 위의 예에서 보듯이 /t/의 세 이음들은 나타나는 자리가 서로 겹치지 않으며 고정

된 자리에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이음들은 각기 자신의 정해진 환경에서 일어나지만, 이것이 설사 바뀌어도

뜻에는 변화를 주지 않는다. 가령

cup[k.p] 대신 [k.ph]로 발음해도 이 단어의

뜻을 못 알아듣는 것은 아니다.

2.2. 음소분석의 절차

첫째, 음소를 찾아내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최소 대립어(minimal pair)를 찾는 방

법이다. 최소 대립어란 두 개의 단어가 같은 자리에 있는 하나의 음 때문에 뜻의 차

이가 생길 때, 그 두 단어를 일컫는 말이다. 아래의 최소 대립어에서 뜻의 차이를 초

래하는 볼드체 소리를 별개의 음소로 간주한다.

) /t/ - /d/ /t/ - /s/ /p/ - /b/

pin - bin

two - do two - Sue

ten - den tent - sent rapid - rabid

rip - rib mate - made hit - hiss

. 최소 대립어의 문제점 - 예를 들면, 영어의 /d.//./, 그리고 /.//z/가 최소

대립어 관계를 이루는 단어쌍을 찾기란 그리 쉽지 않다. 이럴 때 다음의 방법으로 상

보적 분포의 개념을 이용한다. 다음은 [d.][.]가 일어나는 분포를 나타낸 것이

.

) #____, V____V, ____#

[d.] gem fragile edge

[.] _____ pleasure rouge

: [d.][.]는 일어나는 자리가 서로 중복되어 있다. [d.][.] 모두가 어중

(word medial)과 어말(word final)에서 겹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d.]

[.]는 한 음소의 이음 (allophone)이 될 수 없고 별개의 음소를 이룬다.

둘째, 주어진 음들의 분포가 서로 겹치지 않는 상보적 분포(complementary

distribution) 관계에 있으면 이들을 같은 음소의 이음으로 간주하며, 반대로 그 분포

가 겹치면 별개의 음소로 분석한다.

) #____, V____V´ , ____ t, V´ ____V, s____, ____#

k

[ph] pin appear

[p=] happen spin

[p] captain

topcoat cup

: 위의 [ph], [p=], [p]의 세 소리는 모두 일정한 환경에서 서로 중복됨이 없이

일어나고 있어서 상보적 분포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 세 소리는 이음 관계를 이루

지 별개의 음소를 이룰 수 없다.

. 상보적 분포의 문제점 - 영어의 [h][ŋ]의 경우, [h]는 어두 내지 음절

(syllable) 첫머리에서만 나타나고, [ŋ]은 어말 내지 음절 말에서만 나타난다. 그리하

여 이 두 소리는 다음과 같이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

) #____, $____, ____#, ____$

[h] happy ahead

[ŋ] long longest

$: 음절경계(syllable boundary)를 표시함

) #____, V____V, ____#

[d.] gem fragile edge

[.] _____ pleasure rouge

: 위에서 보듯 [d.][.]는 일어나는 자리가 서로 중복되어 있다. [d.][.]

두가 어중(word medial)과 어말(word final)에서 겹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d.][.]는 한 음소의 이음 (allophone)이 될 수 없고 별개의 음소를 이룬다.

셋째로, 상보적 분포를 어기는 경우에 대처하는 방법으로서 자유변이(free

variation)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자유변이란 두 소리가 뜻의 변화 없이 같은

환경에서 나타날 때 그 두 소리는 자유변이 관계를 이룬다고 한다. 가령

met의 어

말음 [t]를 우리는 대기음을 동반하는 [th]로 발음할 수도 있고, 비개방음 [t]로 발

음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든 후자든 뜻의 변화를 가져오지 않으므로 [th][t

]는 자유롭게 변이가 가능하며, 하나의 음소로 간주한다.

. 자유변이의 문제점- 영어의

with란 단어는 [wi.] 내지 [wið]로 발음되므로 [.]

[ð]는 자유변이를 이루고 있는데, /.//ð/는 별개의 음소다. 또한

economics

단어에서 첫 모음은 [i]로 혹은 [e]로 발음되는데, beatbet의 두 단어를 비교해 보

/i//e/는 분명 별개의 음소이다. 따라서 자유변이 관계에 있는 두 소리는 이음

관계에 있는 것도 있고 음소 관계에 있는 것도 있다. 따라서 자유변이란 개념 자체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어떤 제약을 받는 개념이다.

 

3. 연습문제 및 정답

문제

I. 빈칸에 적절한 용어를 써 넣으시오.

(1) ________란 뜻의 차이를 가져오는 최소의 소리단위이다.

(2) ________이란 의미의 차이 구별 능력이 없는 한 음소의 소리무리이다.

(3) 두 개의 음이 각기 다른 환경에서 서로 겹치지 않고 나타날 때, 이것은

__________를 이룬다고 한다.

(4) 두 단어가 환경이 같은 하나의 음에 의하여 의미가 달라질 때, 이 단어들은

___________를 이 룬다고 한다.

(5) 의미의 변화 없이 두 개의 음이 같은 환경에 나타날 때, 이 음들은 ___________

이룬 다고 한다.

II. 진술된 내용이 참이면 T, 거짓이면 F로 표시하시오.

(1) ______ 영어에서 [ph][p=]는 변별적인 음소이다.

(2) ______ 영어의 어말에서 [ph][p]는 자유변이를 이룬다.

(3) ______ rapid rabid 는 최소대립어를 이룬다.

(4) ______ 상보적 분포를 이루는 어떤 두 음은 음성적 유사성에 관계없이 한 음소로

분석된다.

(5) _______ 모국어 화자가 모국어의 이음을 식별하는 일은 쉬운 일이다.

III. 빈칸에 적절한 답을 고르시오.

(1) 한국어에서 //, //, 그리고 //_____ 이다.

a. 이음들 b. 음소들 c. 형태소들

(2) 영어에서 /r//l/_______ 이다.

a. 변별적 음소 b. 변별적 이음 c. 최소대립어

정답

I. (1) 음소 (2) 이음 (3) 상보적 분포 (4) 최소대립어 (5) 자유변이

II. (1) F (2) T (3) T (4) F (5) F

III. (1) b (2) 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