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의 이해

영화학과, 방통대 등 대비 영화로 생각하기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5. 진실의 수행과 연대, 우리학교

반응형

 

□ 15장 진실의 수행과 연대, 우리학교

주제 및 영화소개

- <우리학교>(2006)는 김명준 감독의 다큐멘터리로 혹가이도 조선초중고급학교’ 1년간의 일상을 고급부 3학년생들을 중심으로 담아낸 영화이다.

- <우리학교>2006년 제11회 부산국제영화제 와이드앵글부분 운파상을 공동수상한 작품으로 예술 상영관뿐만

아니라 일반 상영관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 이 장에서는 다큐멘터리가 추구해 온 진실성의 역사와 의미, 진실의 수행문제에 대한 <우리학교>의 대응, 연대개념과 책임을 논한다.

(*영화 <우리학교>는 참여자적 관점을 통하여 상호이해연대라는 주제를 부각시키고 있는 다큐멘터리이다.)

영화로 생각하기, 생각하며 영화보기

1. 다큐멘터리적 진실의 수행적 의미: 능동적 해석 행위와 연대 의식

- 다큐멘터리(documentary)는 연출자의 주관적 개입이 존재하기 때문에 허구가 아닌 실재를 소재로 하는 영화라는

규정을 명확하게 할 수 없다.

- 다큐멘터리는 연출자의 계획과 의도에 따라 촬영을 진행하기 때문에 현상을 기록한다는 것만으로 진실성이 보장

될 수 없다.

- 다큐멘터리의 진실이 연출자의 주관으로부터 구성된다면 관객 또한 진실의 구성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의미의 자유로운 재구성을 통해 실재에 대한 반성과 참여자적 관점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다큐멘터리적 진실의 간략한 역사

- 다큐멘터리라는 말은 1926년 존 그리어슨이 <모아나>(1926)에 대한 비평문을 기고하면서 유래한 말이다.

현대 다큐멘터리의 기원은 로버트 플래허티의 <북극의 나누크>(1922), 지가 베르토프의 <카메라를 든 사나이>(1929),

존 그리어슨의 <유자망 어선>(1929) 등이 다.

- 로버트 플래허티: 대상에 대한 객관적 관찰의 입장을 유지한 채 사태의 추이를 기록하여 다큐멘터리적 진실

다가갔다. 길게찍기(long take)와 삽입자막으로 객관적 진실효과를 노렸다. 그러나 이러한 객관성은 구성된 것으로

관객과 출연자의 능동성은 보장되지 않는다.

. 존 그리어슨: 다큐멘터리란 실제 현실을 촬영한 것을 창조적으로 처리하여 일정한 메시지를 가공하는 작업이다.

편집과 사전 계획에 따른 촬영을 선호하고 사회적 효과를 노린다. 그러나 연출자의 신적 지위는 강화되어 모든 해석을

관장한다.

. 지가 베르토프: 그리어슨처럼 다큐멘터리를 교육적 도구이자 혁명의식의 확산도구로 간주하고 이미지의 몽타주를 자주 사용한다. 그러나 다큐멘터리의 현장을 촬영하여 다큐멘터리적 진실을 가능하게 한 매체에 대한 반성을 시도한다.

- 2차세계대전 당시 홍보효과 때문에 다큐멘터리는 프로파간다(propaganda)영화로 제작되었다.

: 레니 리펜슈탈의 <의지의 승리>(1934)<올림피아>(1938), <우리는 왜 싸우는가?>(1942-1945)

- 시네마 베리테 그룹

. 시네마 베리테 그룹은 다큐멘터리를 진실에 접근하는 수단을 활용하고 연출과 작자의 전지적 개입을 최소화하려고 노력

했다. 자신을 수행적 참여자로 간주하여 연출자와 출연자들간 상호작용과 반응을 촬영하여 영화매체와 수용과정에 대한

성찰도 모색하였다.

. 시네마 베리테 그룹에게 진실은 사태에 참여하고 있는 이들이 자신의 경험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포착하는 진실이다. 진실의 권위는 상대적이고 진실 구성을 반성하고 서로에 대한 이해를 도모했다.

- 1980년 대 말 이후 다큐멘터리들은 수행적(performative) 특징을 분명히 한다. 1인칭 관점을 분명히 하고 출연자와

적극적 관계 맺기를 시도하여 믿음과 생각의 변화를 담는다. 더불어 다큐멘터리의 객관적 진실성에 대한 믿음은 고수되지

않고 상대화된다.

*일반적으로 다큐멘터리는 객관적인 진실과 실제 사실을 객관적 태도로 다루면서 연출자의 주관은 배제된다고 이해되고 있다.
*실제로 다큐멘터리가 제공하는 진실은 연출자에 의해 주관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1960년대 이후 1인칭 주관적 관점수행적 특징을 지닌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수행적 특징-서로의 역할 경계를 오가면서 각자의 진실과 입장을 성찰적으로 바라보는 것
-연출자, 출연자, 관객이 자신의 역할을 상대화하고 수행적 태도를 취함으로써 상호 이해와 연대를 이루게 된다.
*다큐멘터리에서의 '진실'은 고정된 객관적 진실이 아니며, 상호 관계 맺음을 통해 구성되고 재해석되는 진실이다.

 

2. <우리학교>: 수행적 진실에 의한 연대를 이루고 있는가?

제일 조선인의 간략한 역사

 

<우리학교>가 길어 낸 진실: 성과와 과제

1) 성과:수행적 태도와 동등한 참여자적 관점

- <우리학교>에서 감독은 출연자와 동등한 위치에서 참여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출연자들 사이에서도 등이 존재한다.

선생들과 학생들은 신년 교원 모임에서 동등한 우애를 보여주며 이는 고통의 동질성에 대한 기억에 기인한다.

- <우리학교>에서 구성원들간 차이에서 갈등이 드러난다. <우리학교>의 구성원들은 조선말의 당위와 모어인 일본말

사이에서 내적 갈등에 처해 있다. 그리고 민족의식의 보존을 위해 여학생에게만 강요하는 저고리 교복 문제는 성적

차이를 무시하는 갈등을 낳는다.

- <우리학교>의 구성원들간 갈등은 감독이 취한 수행적 태도 때문에 드러난다. 감독은 참여를 통해 출연자들과 유대를

강화하고 의식의 변화를 겪는다.

*수행적 태도는 연출자가 관찰자적 태도를 버리자 출연자들의 내밀한 고백이 가능해짐.
-수행적 태도를 지닌 다큐멘터리는 사태의 정확한 보고와 취재가 아니라 상호 이해의 과정으로 변모하게 된다.
*<우리학교>가 추군하는 진실이란 객관적인 취재를 통해 이루어지는 진실의 발견이 아니다.
-감독은 출연자들과 생활을 같이하면서 그들과의 믿음과 유대를 강화하고 관계맺음의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상호의 진실을 찾고자 한다.
*<우리학교>참여를 통해 상호주관적인 인식을 수행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우리학교>가 추구하는 진실은 출연자들의 생활에 참여하는 가운데 수행하게 되는 상호 이해의 진정성에 있다.

 

2)과제: 연민에 기댄 연대

연민에 기댄 동질화

- <우리학교>는 감독이 출연자와 긴밀한 관계 맺음을 이루기도 하지만 지나친 자기 동일화에 빠지는 잘못을 범하기도 한다. 영화에서 거리두기는 시간이 흐를수록 가까워지고 감독은 동조자의 위치에 서있다. 이는 연출자의 경우 별다른 비판없이 전환되었다는 데 문제를 지닌다. 그리고 관객의 경우 해석 주체로서 자격을 박탈당하는 문제를 지닌다.

- 우호적 관계맺음의 반응은 다음 두 가지이다. 하나는 나와 너 사이에 다름을 과장해 좌절의 나르시시즘에 빠지는 경우이다. 다른 하나는 둘 사이의 우호적 만남과 감동의 순간을 절대화해 서로의 차이를 묻지 않고 합일에 안주하는 것이다. <우리학교>는 후자의 길을 걷고 있어 높은 수준의 이해에 도달하지 못한다.

- <우리학교>에서 북한 방문장면은 비판적 성찰을 결여한 채 해방과 분단의 역사에서 재일 조선인이라는 이다스포라(diaspora)적 존재를 망각했던 우리의 무지를 일깨우고 민족적 연대의 도모를 주장한다.

*지나친 수행적 관점의 강화는 비판적이고 성찰적 태도의 실종, 연민에 기댄 동감을 확신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우리학교>의 한계: 상호이해의 관점을 강조하면서 연출자 자신이 균형감을 잃었다는데에 있다.
*연민에 기댄 동감은 상대에 대해 깊은 이해를 하지 못하게 하며 상대의 이질적 태도에 대한 이해 또한 가능하지 않게 된다.
*동감의 경험 이후 연출자의 참여자적 관점은 아무런 갈등 없이 동조자의 관점으로 전환되었다.
*친했다가 낯설어질 때 우리는
서로를 이해할 수 없는 족속으로 규정
같은 점만을 절대화해 감정적으로 합일했다고 믿어버림. 서로의 차이점과 낯선 점은 외면
->한국인과 재일조선인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를 회피하고 허약한 동질성에 안주하려는 태도를 보임
*역할 바꾸기도 성찰적 참여로 이어지지 못하고 같은 민족이라는 정서적 유대만을 강조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재일조선인의 정서와 정체성은 단일 민족성의 정서에 호소하는 한 제대로 이해될 수 없다.

 

 

3. 만남과 연대: 선택적 동질감 너머의 우리를 위하여

- <우리학교>에서 수행하는 이해와 연대는 연민과 그리움이 아니라 상대방의 이질성을 이해하고 숙고할 때 진정 획득될 수 있다. 이해와 연대는 다양한 지역에 흩어져 살고 있는 우리 민족의 공동체적 관계를 도모해야 할 경우 발생한다.

이를 위해서는 차이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정체성의 혼란이라는 디아스포라 특유의 상황을 이해해야 한다.

- 연대에서는 이질감의 해소가 중심된 문제로 관용의 형태로 제시된다. 그러나 진정한 연대를 이루기 위해서 서로의

이질감에 대한 수행적 태도를 유지해야 하며 이때 서로에 대한 대칭적 평가가 가능해진다.

*진정한 의미의 연대는 단순히 민족적 동질감의 차원에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낯선 경험에도 불구하고 연대를 형
성하는 차원으로 가야한다.
*response(응답하다)+ibility = responsibility(응답가능성, 책임)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서로의 이질감에 대해 적극적으로 응답 가능성을 타진하면서 상호 이해의 책임을 수행하는
자세이며 이를 통해 연대의 길에 가까워질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