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의 이해

영화학과, 방통대 등 대비 영화로 생각하기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3. 민족 분단의 배경과 좌우의 갈등- 태백산맥

반응형

 

□ 13장 민족 분단의 배경과 좌우의 갈등- 태백산맥

주제 및 영화소개

- 영화 <태백산맥>은 소설가 조정래의 <태백산맥>을 원작으로 한 임권택 감독의 영화이다.

- 영화 <태백산맥>1980년대까지의 공산체제의 비인간성과 만행을 묘사한 반공영화의 금기를 깬 영화이다.

- 임권택 감독은 <개벽>, <취하선> 등의 역사물과 <깃발 없는 기수>, <짝코>, <길소뜸> 등의 영화로 한국전쟁이후

분단이 가져온 역사적 비극을 조명했다.

- 한국 영화사에서 <태백산맥>은 분단과 전쟁을 상업적인 차원에서 되돌아보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데서

의의를 지닌다.

- 영화 <태백산맥>의 특징

1) <태백산맥>은 이념을 떠나 관조자의 태도를 유지하여 시대의 평가는 관객에게 맡겨 놓는다.

2) 연출기법에서 영화는 같은 구도의 숏들이 일정 시간마다 반복되는 특징을 지닌다.

3) 영화의 끝은 무당 소화의 씻김굿으로 감독의 자신의 시대를 위한 씻김굿을 상징한다.

*조정래의 소설 <태백산맥>
-집필기간:19839~19899
-주제: 194810월 여순사건~ 19537월 휴전직후
-당시 우리 사회의 좌우대립과 분단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룸
-제대로 조명되지 않았던 좌익의 활동에 대해 우호적인 시선으로 접근하여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태백산맥>의 전개방식
-어떤 이념에도 손들지 않는 관조자적 입장 견지
-같은 구도의 쇼트를 일정시간 마다 반복
-임권택 감독 특유의 한국적 화면 구성
-임권택 감독은 무당 소화의 씻김굿을 대중의 삶을 보듬어주는 생명의 뿌리로 설정하고 있다->시대를 위한 씻김굿

 

영화로 생각하기, 생각하며 영화 보기

1. 땅을 둘러싼 농민과 지주의 갈등

- 영화 <태백산맥>의 주요 무대는 벌교로 땅을 둘러싼 이념의 대립과 갈등이 심화된 곳이다.

영화상에서는 김범우의 입을 통해서 땅을 둘러싼 갈등이 관객에게 설명된다.

- 토지를 둘러싼 갈등은 좌우익의 대립과 갈등으로 구체화되고 벌교는 땅을 둘러싼 민족사의 격변과

분단의 비극이 총체적으로 압축된 공간이자 장소이다.

- 영화 <태백산맥>의 좌우대립을 경제적 대립으로 보는 시각의 한계

1) 토지문제는 좌우대립의 배경이 되지만 결정적 요인은 아니다.

2) 토지에 대한 농민의 열망과 좌익의 입장 사이에 차이가 있다.

3) 실제로 농민들의 입장을 제대로 묘사하지 못했다.

(*벌교-일제시대 교통의 요지로 전라남도 동부지역의 물자를 실어 나르는 창구 역할을 했던 곳

-벌교 지역 주민은 해방 이후 농지 개혁에 대해 불만이 많았던 곳이다.

-영화<태백산맥>은 해방 후 이념 대립이 토지를 둘러싼 지주와 농민간의 대립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

2. 좌우의 이념 대립과 광기: 서로 다른 세상을 향한 이념과 광기

- 이념에 따른 원한과 증오, 복수 등의 광기는 주인공들의 일상생활과 행동으로 드러난다. 염상구는 자본주의=우익을,

염상진은 사회주의=좌익을, 김범우는 민족주의=중도라는 노선을 대표한다. 감독은 이 세 인물을 통해 개인적 삶과 집단적 삶의 관계를 표현하는 데 힘쓴다.

- 영화 <태백산맥>은 이 세 인물의 삼각구도에서 좌익과 우익의 갈등이 심화되는 과정을 그린다. 이 갈등은 특히

한 가족이면서 좌우로 대립하는 염상진과 염상구의 대립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 염상진과 염상구의 불신과 증오는 자신들이 지향하는 세계의 이념을 대리한다. 염상진은 이상주의자로서 평등한

세상을 지향한다. 이에 반해 염상구는 지극히 현실주의자이다. 두 형제의 갈등을 통해 고통받는 인간을 구원하겠다는

사상이 인간을 증오하는 도구로 전환되는 시대임을 역설한다.

- 감독은 근현대사를 어떤 이데올로기에도 동조하지 않는 냉철한 감성을 유지하여 좌익이든 우익이든 광인의 집단으로 바라본다.

- 이념대립을 개인적인 신념이나 취향 미움과 복수로 바라보는 영화 <태백산맥>의 한계

1) 거시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를 보는 데 한계를 지닌다.

2) 영화 <태백산맥>의 제삼자적 태도는 반공의 벽을 넘어서지 못하는 한계를 반영하고 이념은 필요없다는 허무주의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김범우: 좌우 대립의 완충지대 역할
-과격한 폭력에 격분하고 이념의 광기를 해결할 인본주의를 대표
*염상진, 염상구 형제의 대립은 이념이나 사상에 사로잡힌 인간의 광기가 얼마나 비인간적인가를 보여준다.
*감독은 영화에서 어떤 이데올로기에도 동조하지 않는 냉철한 감성을 유지하고 있고 이러한 이념에 의한 광기를
씻김굿을 통해 해소하려고 한다.

 

3. 가족의 역사와 민족의 역사

- 영화 <태백산맥>은 가족의 역사가 출발점을 이루는데 이는 작가의 경험을 반영한다. 가족의 애정과 갈등을 중심으로 민족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즉 영화는 지방의 역사로부터 중앙의 역사를 바라보는 아래로부터의 역사를 추구한다.

- 영화의 배경이 되는 한국 근현대 시기는 전통적인 가부장적 가족제도와 근대가 공존하는 시대이다. 그러나 영화에서 이런 시대상황은 모순적이다. 이념의 틀에서 근대적인 것들이 요구되지만 가족 내부 갈등문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여전히 시대상황에 순응하는 남성상과 여성상을 보여준다.

- 영화 <태백산맥>의 가족의 역사로부터 민족의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의 한계가족을 중심으로 하는 설명은 역사적

구조나 흐름, 모순을 외면할 가능성을 지닌다.

*영화 <택백산맥>은 지방이나 농촌에서 전개된 혈연과 가문, 가족단위의 애정과 갈등을 중심으로 민족의 거대한 격동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영화의 시대배경이 되는 한국의 근현대 시기는 식민시대, 분단, 전쟁을 겪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시기에 사회의 개인들이 의지할 곳은 국가라는 공적영역이 아니라 혈연이나 가족, 지연이나 학연과 같은
사적영역이었다.
*역사는 미시적인 접근을 통해서도 거시적인 사회변동을 읽어 낼 수 있다.

 

- (3)에 대한 반론

1) 인간의 사회적 의미는 구조의 영향과 더불어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할 때 온전하게 이해할 수 있다.

2) 가족이나 여성을 통한 역사읽기(아래로부터의 역사)는 지배적 문화에 대비되는 다른 반문화의 존재를 복원할 수 있다. ) 린 헌트의 <프랑스 혁명의 가족 로망스>,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