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삼국시대
<가야연맹>
고대국가로 발전하지 못함.
낙동강 서쪽에 중요세력인 6가야가 위치. 금관가야(본가야) ➜ 대가야(김해에 위치)
고령가야는 진주에 위치. 고령에는 대가야가 위치.
임나일본부설~일본➜일본이 우리나라에 위치한 일본관청이다.(광개토 대왕릉비, 일본서기)
우리나라➜상관에 불과하다.
가야의 역사서로는 개황록이 있었다고 전한다.
<백제 초기 왕들의 업적>
부여족의 한 갈래가 남하하여 건국, 토착세력과 대립하면서 발전.
고이왕(3C) ~ 6좌평 16관등. 율령반포.
근초고왕(4C) ~ 중앙집권적 귀족국가 체제 확립. 마한 멸망시킴. 고국원왕 패사시킴.
동진, 왜와 교류하는 등 고대 상업 세력권 형성. 부자상속제 시작.
진씨 왕비시대. 고흥의 서기를 펴내게 함.
아직기와 왕인 파견. 일본에 칠지도 하사.
동성왕(5C) ~ 신라의 소지마립간과 결혼동맹 120년간.
나제동맹 - 비류왕 눌지왕, 결혼동맹 - 동성왕 소지마립간
나제동맹결렬 - 성왕과 진흥왕
무녕왕(6C) ~ 중국 남조의 양과 통교. 한강유역에 쌍현성을 쌓아 국방 튼튼.
22담로제 실시(웅진시대, 왕자 왕족 파견)
※무령왕릉~1971년 공주 송산리에서 처녀 발굴. 전탑의 돔양식. 남조양식.
석수. 연화문 전분. 양의 동전...
성왕(6C) ~ 사비천도(남부여라 칭함). 22부의 중앙관제 성립. 5부 5방의 지방제도 정비.
일본에 불교(노리사치계)전파. 한강 유역 회복을 위해 신라와 관계 개선.
※ 4~5C 백제의 세력권 - 요서일대, 산동반도, 규슈.
<신라 왕들의 업적>
통일이전 왕~ 지법진 ➜ 평선덕
통일신라 왕~ 무문신 ➜ 성경혜
내물마립간(4C) ~ 김씨 왕위세습권 확립(이사금 ➜ 마립간)
400년 광개토대왕의 도움으로 왜구 격퇴
눌지마립간(5C) ~ 부자상속제 확립, 사로 6촌을 6부 개편 ➜ 중앙집권화(6부5주2소경)
433년 나제동맹을 체결
소지마립간(5C) ~ 백제의 동성왕과 결혼동맹, 중앙집권화 ➜ 우역설치, 지방순행,
경주에 시장개설.
지증왕(6C) ~ 우경시작, 국호를 신라로, 동시전 설치 우산국 정벌(512년 이사부),
순장금지(상복입음)
법흥왕(6C) ~ 병부, 상대등을 두어 관제 정비, 공복제정, 불교 공인, 율령제정, 본가야 정복
건원 독자연호 사용
진흥왕(6C) <진흥대황 한국비품>
대가야 정복, 황룡사 건립, 국사편찬(거칠부), 비열홀주 설치, 품주 설치,
한강유역 확보(신주 설치), 순수비, 당항성 확보(중국과 활발히 교류, 이때의 최대 무역항은 당항성이 아닌 울산)
진평왕(6C) ~ 수에 원광법사를 보내 걸사표 바침, 건복이라는 연호 사용, 위화부·승부·조부·예부·영객부 설치
선덕여왕(7C) ~ 적극적 친당책으로 영토 확장, 황룡사 9층탑 건립(황룡사 자체는 진흥왕때 건립)
진덕여왕(7C) ~ 진골의 마지막 왕, 품주 ➜ 집사부+창부로 분리, 집사부의 시중
좌이방부를 두어 중앙관제 정비(우이방부는 문무왕), 당에 태평송을 지어 올림
통일신라 <문무신 ➜ 정경혜>
무열왕(7C) ~ 사정부
문무왕(7C) ~ 우이방부, 사록관, 선부, 문무왕릉 ➜ 감은사
신문왕(7C) ~ 국학, 녹읍폐지(관료전 지급), 예작부, 공장부, 김흠돌의 모반사건,
중앙집권 ➜ 중앙군(9서당) 정비, 지방제도 정비(9주 5소경)
※ 9서당(통일이 되면서 호족을 흡수하기 위해)
녹·자·비 ~ 신라, 청·백 ~ 백제, 적·벽 ~ 보덕국인, 황금서당 ~ 고구려, 흑금서당 ~ 말갈
성덕왕(8C) ~ 상원사종, 일본과 친교, 누각전(물시계의 시간측정소)
경덕왕(8C) ~ 불국사 건립, 만불산(목과 옥으로 만든 인조산), 녹읍부활, 태학감
혜공왕(8C) ~ 신행이 선종 전래, 봉덕사종, 5조제
원성왕(8C) ~ 독서 3품과, 원성왕릉 호석(김유신 묘)
<공통사항 비교>
기초 마련 ~ 고구려 태조왕 2C, 백제 고이왕 3C, 신라 내물왕 4C
한강 유역 차지 ~ 백제 고이왕 3C, 고구려 장수왕 5C, 신라 진흥왕 6C
고대 국가 완성 ~ 백제 근초고왕 4C, 고구려 소수림왕 4C, 신라 법흥왕 6C
부자 상속제 ~ 고구려 고국천왕 2C, 백제 근초고왕 4C, 신라 눌지왕 5C
국사 편찬 ~ 백제 근초고왕(서기·고흥), 신라 진흥왕(국사·거칠부), 고구려 영양왕(신집5권·이문진) ➜ 고구려가 국사 편찬에서는 뒤쳐짐.
※이것 들은 부전하는데 이런 국사가 쓰여 졌다는 것은 삼국사기에 전한다.
<불교 전파 정리>
고구려 ~ 보덕(열반종), 혜자(일본 쇼오토쿠 태자의 스승), 담징(일본 호류사 벽화·먹·붓·맷돌·5경·종이 전함), 혜관(삼론종), 도현(일본세기) ※일본서기는 일본인이 저술
백제 ~ 겸익(성왕·율부 72권 번역), 관륵(일본에 천문·역본·불교 전함), 왕인(근초고왕때·일본에 논어 천자문등 한학 전함), 아직기(근초고왕때· 토도치랑의 스승), 노리사치계(성왕때·일본에 불교를 전함)
아좌태자가 쇼오토쿠태자의 초상을 그렸다. (아 쇼 초)
신라 ~ 원광(수에서 열반종, 세속5계, 걸사표), 자장(당에서 계율종 전함), 의상(해동 화엄종)
<한국문화의 일본전파>
일본의 미륵보살반가사우상은 신라의 그것과 흡사. 백제 아님.
조선시대 일본과의 관계정리.
쓰시마섬 정벌 ➜ 삼포개항 ➜ 계해약조 ➜ 삼포왜란 ➜ 임신약조 ➜ 사량진왜변 ➜ 정미약조 ➜ 을묘왜변 ➜ 임진왜란 ➜ 통신사 파견 ➜ 기유약조
<(돈을) 쓰시게 삼포 임신 사정을 왜 (모르나) 기>
삼포왜란때 비변사 설치, 을묘왜변때 비변사의 상설기구화, 임진왜란 비변사의 기능 강화
시간이 지날 수록 억압적인 약조, 세견선과 세사미두가 줄어듬...
(임신약죠 때에는 계해약조 때의 조건을 반감하여 규정하였다.)
무역소 ~ 여진(북평관), 중국(태평관), 일본(동평관)
<백제와 고구려의 부흥운동과 나당정쟁>
멸망 ➜ 부흥운동 ➜ 부흥운동을 저기하기 위해 도호부·도독부 설치 ➜ 소부리주·마전·적성·매소성전투·기벌포전투 (소마매기) ➜ 당군철수 ➜ 삼국통일
백제부흥운동 ~ 복신과 도침 (주류성) 도복풍, 지수신·흑치상지(임존성) 지흑임
고구려 부흥운동 ~ 검모잠, 고연무, 고연모, 안승 안검고
삼국통일의 의의와 한계 ~ 외세와 연결, 대동강과 원산만(고려: 청천강~영흥만) 이남의 영토축소
<후삼국의 혼란과 각국의 흥망성쇠>
10C 였고 중국 5대 10국의 혼란기 였다.
후백제 건국(900) ➜ 후고구려 건국 ➜ 마진 건국 ➜ 당멸망 ➜ 태봉건국 ➜고려 건국
➜ 발해 멸망 ➜ 신라 멸망 ➜ 후백제 멸망 ➜ 송건국
후고구려의 국정최고 기구는 광평성
후고구려가 고려로 변천되면서 썼던 연호의 순서 ~ 무태-성책-수덕만세-정개
<골품제도>
2골 6품
신라가 고대 국가로 발전하는 가운데 족장세력을 흡수, 편제 하기 위해.
9서당이 통일을 하면서 흡수 편제 하기 위한 것.
중위제 ~ 내부적 승진을 의미
6정을 비롯한 군대의 최고 지휘관인 장군은 급벌찬-이벌찬까지의 자격이 있지만 그 가운데 진골만이 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진골은 이벌찬까지, 6두품은 아찬까지, 5두품은 대나마까지, 4두품은 대사까지...
노비는 골품에 불포함.
<호국신앙>
인왕경 ~ 나라를 보호하는 내용인 인왕경이 널리 읽혀지고 인왕호를 통해 국가의 평안을 비는 의식이 자주 행해짐.
백고좌회 ~ 인왕백고좌도장 이라고도 하며 고려시대 호국신앙적 불교행사
왕흥사 ~ 백제 무왕이 건립
<신라의 대당활동>
신라소는 자치적 행정기관이다. 신라 정부가 세운것이 아님.
<민정문서>
보통 10-15호의 혈연집단의 촌에서 몇 개의 촌을 관할하는 촌주를 통해..
촌주에는 진촌주와 차촌주가 있으며 그 지방 유력자로서 5두품, 4두품의 대우.촌민의 신분.일본 정창원에서 서원경(청주)부근 4개 촌의 장적이 발견.
연수유답(정남에게 지급), 촌주위답(촌주), 내시령답(관료전), 관모전답(관청경비), 마전(공동경작지)
자연촌마다 촌주가 있었던 것이 아니고 행정촌마다 촌주가 있음.
통일신라시대의 정전 ~ 정남에게 지급, 국가의 농민에 대한 직접지배형태를 의미, 당의 균전제 모방. 성덕왕 21년에 최초로 지급.
<원효에 대하여>
6두품 출신. 법성종 개창. 금강삼매경론, 대승기신론소, 화엄경소 저술,
종파간의 융화를 위해 십문화쟁론을 저술. 정토교 보급하여 불교의 대중화에 기여.
화엄경을 최고의 경전으로 보아 화엄승으로 간주. 일즉다 다즉일.
정토신앙 ~ 내세신앙, 평등사상, 통일전에 이미 발생.
불교의 대중화를 위해 점찰법회, 관음신앙, 밀교 전래.
원효의 화쟁사상 ~ 교종불교의 제학설을 한 단계 높은 차원에서 통합하려는 사상.
화쟁국사로 칭호 되었을 뿐, 화쟁국사에 임명된것은 아니었다.
<5교와 9산>
법상종 ~ 미륵사상.
의천 ~ 성상겸학, 균여 ~ 성상융회
9산 : 가지산파 ~ 도의, 보림사, 장흥 (최초), 수미산파 ~ 이엄, 광조사, 해주(최후)
최치원의 사산비문중 지리 도참설을 소개하고 있는 것은 ~ 숭복사창건비문
<도교와 도참사상>
도교 ~ 무위자연, 현세구복, 불노장생의 사상
조선 초기 도교의 마니산 초제는 민간신앙과 연결되어 민족의식을 높이는 기능
후기는 조선왕조를 부정하는 비기, 민화, 동학의 형태로 발달
최치원의 사산비문중 유·불·선 복합을 알 수 있는 것은 ~ 진감선사비문
<발해사 연구>
이승휴 ~ 제왕운기(최초의 발해사 연구)
유득공 ~ 발해고(신라와 발해를 남,북국으로 주장), 발해사 만을 다룬 최초의 사서
주민구성 ~ 지배층 고구려인 +피지배층 말갈인
문화구성 ~ 고구려 문화 +당문화 ... 이런 이유로 발해를 우리 역사에서 제외시켰음.
조선후기 실학자 들에 의해서 우리나라 역사로 편입됨.
발해는 돌궐과 일본과는 친교, 교류.. 당 ~ 초기 적대, 후기 친교
왕이라 하지 않고 가독부라 함..
<발해의 위대한 왕들>
고왕(대조영) ~ 고천진동( 고왕, 천통, 진, 동모산)
무왕 ~ 무인장발확장( 인안, 장문휴, 발해관세움, 영토확장)
문왕 ~ 문대상담주자( 대흥, 상경 용천부로 수도 이동, 당으로부터 독립국가 인정, 주자감), 문왕이후 친당외교를 수립.
선왕 ~ 선건신지해( 건흥, 신라와 몇 차례 교섭-쟁장사건, 등재서열사건, 지방제도 정비, 해동성국)
※발해 문화는 고려에 이어 지지 못하였다.
<지방세력의 대두>
대공의 난(770) ~ 혜공왕 4년, 96각간의 난, 왕위 쟁탈전의 시초,
신라 하대의 시작, 귀족연립적 정권, 상대등 재득세, 원성계 시작.
김헌창의 난(882) ~ 김헌창은 헌덕왕때 국호를 장안 연호를 건운이라 하여 반란.
원성왕계의 즉위에 대한 불만, 그 후 그의 아들 범문도 반란,
왕족의 반란.
장보고의 난(846) ~ 신무왕을 즉위하게 하였으며 문성왕에게 그의 딸을 왕비로 삼게 하려 다 실패 하자 난을 일으킴.
새로운 세력의 성장
해상세력
지방호족세력 ~ 관반제 실시( 중앙의 행정 조직을 모방하여 자신의 독립된 영역에 적용)
6두품 세력의 반발 ~ 왕거인, 최치원
농민의 반란 ~ 초적, 농민 무장도적이라 함( 원종과 애노, 양길, 기훤, 궁예, 견훤)
<교육제도>
삼국시대 ~ 공통점( 귀족중심, 문무일치, 수도 중심)
고구려 ~ 태학, 경당(지방 사립학교, 장수왕, 평민자제 입학가능)
고려시대 ~ 국자감의 설치는 성종때이고 경사육학은 인종때.
※경사육학 ~ 3학은 신분별로 국자학, 태학, 사문학 (9년간 수학)
잡학은 전공별로 율학, 산학, 서학 (6년수학, 서민입학 가능)
고려 중기 사학의 발달 ~ 최충의 9재 학당(문헌공도)
조선 성균관은 유생이 입학하는 최고 교육기관으로 정원은 200명이나 미달의 경우 사학의 생도중에서 보충하였다.
기술교육은 해당관청에서 교육, 초시는 해당관청에서 뽑았고 복시는 예조에서 관장
잡과-역과(사역관), 음양과(관상감), 의과(전의감), 율과(형조)
취재-산학(호조), 도학(소격서), 화학(도화서), 악학(장악원)
조선시대 향교는 지방에 설치한 관학으로 중등교육기관이었다.
사학(四學)은 서울의 고등교육기관이다.
<시대별차이>
신석기➜청동기
혈족사회➜지연사회, 평등사회➜계급사회, 원시공동체➜재산사회
청동기➜철기
철제농기구의 사용으로 농업이 산업의 중심이 되었다.
친족공동체 성립, 초기국가의 성립, 무덤양식의 변화
신라➜통일신라
신라 | 통일신라 | |
지방제도 | 6부 5주 2소경 | 9주 5소경 |
군사제도 | 서당 6정 | 9서당 10정 |
고분 | 적석총 | 횡혈식 석실분 |
갈문왕제도 | 발달 | 사라짐 |
불교 | 2교(열반종,계율종) | 5교 9산 |
건축물 | 황룡사9층탑, 분황사모전탑, 첨성대 | 법주사석연지, 성덕대왕신종, 화엄사 각황전, 석등, 석굴암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직 및 지방직 공무원 필기 시험 대비 한국사(한능검) 등 시험 볼 때 확인해야 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0) | 2021.10.07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및 공무원 시험 대비 흐름이 잡히는 한국사 핵심 요약 정리 3. 조선시대 2 ~ 근현대 (1) | 2021.09.30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및 공무원 시험 대비 흐름이 잡히는 한국사 핵심 요약 정리 3. 조선시대 1 (1) | 2021.09.29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및 공무원 시험 대비 흐름이 잡히는 한국사 핵심 요약 정리 2. 고려시대 (0) | 2021.09.28 |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한능검) 등 외우기 어려운 한국사를 외우는 알기쉬운 법을 소개드려요 (1) | 2021.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