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해충학
001. 곤충의 특성 및 형태
01. 곤충 일반
1. 곤충의 특성
(1) 곤충의 진화
- 알려진 동물의 종류는 120여 만종에 이르며 동물계는 몇 개의 문으로 나뉠 수 있는데 이들 중 3/4을 차지하는 곤충류는 마디 동물문에 속하는 자연군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곤충은 종수나 개체수에 있어서나 동물중에서 가장 번성한 부류라고 볼 수 있다.
중생대 | 쥐라기 | 최초의 조류 출현 |
삽첩기 | 포유류 | |
고생대 | 이첩기 | 근대곤충 출현(화석곤충소멸) |
석탄기 | 유시곤충 | |
데본기 | 무시곤충 | |
실루리아기 | 유서동물 | |
오르도비스기 | 척추동물 | |
캄브리아기 | 절지동물(삼엽충) |
# 고생대 석탄기에 최초의 유시곤충 출현
(2)곤충의 번성원인
① 외골격이 발달하여 몸을 보호
② 날개가 발달하여 생존 및 종족의 분산에 커다란 힘이 됨
③ 몸의 크기가 작아 소량의 먹이에도 활동에 지장을 받지 않게 되었고 적을 피하는데도 유리한 조건이 되었다.
④ 몸의 구조적인 적응력이 좋다.
⑤ 변태를 하여 불량 환경에 적응을 한다.
⑥ 종의 증가 현상을 나타낸다.
# 날개는 곤충의 진화와 번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함
02. 곤충의 형태 및 기능
1. 외부형태
- 머리가슴배 3부분, 다리3쌍, 5마디(기절,전절,퇴절,경절,부절)
(1) 체벽(피부)
- 크게 표피 ㆍ 진피 ㆍ 기저막으로 구성
- 배자발육에서 외배엽이 발달된 것이다
- 곤충의 피부를 외골격이라고도 함
- 곤충을 물리적으로 보호
- 운동 근육이 부착하는 부위가 된다.
- 크기에 비해 표면적이 크다
① 체벽(피부)구조
표피 | 외표피 | 시멘트층/왁스층(지질층)/단백성 외표피 |
원표피 | 외원표피층/중원표피층/내원표피층/슈미트층 | |
진피 | 상피세포 | |
피부선 | ||
특수세포 | 감각세포/인편/모생세포/와생세포/편도세포 | |
기저막 |
# 표피층(큐티클)이 체벽의 최외각에 위치한다
② 외표피: 단백질+지질, 최벽 체외각에 위치, 유기용매에 안정한 고분자물질로 구성, 수분증발억제
- 시멘트층: 표피층의 최외각에 위치, 수분조절에 관여하는 수공성과 호흡성 기능함
- 왁스층(지질층): 표피통한 투과성, 곤충내부의 수분증발조절 , 짝수 탄수화물을 가진 지방산과 알코올의 에스테르화합물
- 단백성 외표피층: 중합지질로 구성
# 외표피는 시멘트층-왁스층-단백성 외표피층 순으로 구성
③ 원표피: 진피세포에서 분비되어 생성,체벽의 대부분을 차지
- 외원표피층: 곤충의 체색을 나타내는 색소 함유
- 중원표피층: 외원표피와 내원표피의 사이
- 내원표피층: 미세섬유의 배열에 의한 박막층 구조
- 슈미트층: 섬유없지만 과립성인 무형의 층 (아큐티클층)
④ 진피층 : 단층세포조직, 표면에 미세한 융모, 단백질+지질+키틴화합물 등을 합성 분비, 공관을 통하여 키틴질을 분비하여 표피를 형성하게 함
- 상피세포: 체벽 구성물질 및 탈피용액 분비, 키틴분해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 분비하여 재활용, 표피조직 파괴시 재생기능
# 곤충의 탈피는 표피세포가 표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 피부선: 외표피의 시멘트층 형성
- 특수세포: 표피 외각의 각종 부속기관이나 체표돌기의 기능에 관여하는 각종 생성물 분비작용
⑤ 기저막: 진피층 및 구조없는 얇은 막, 근육이 부착되는 곳과 연결, 혈구에서 분비한 점액성 다당류 함유
# 곤충 표피는 외표피-원표피(외원표피-내원표피)-진피순이다
(2) 머리
- 입틀, 겹눈, 홑눈, 촉각 등으로 구성
① 입틀
- 윗입술, 아랫입술, 큰턱, 작은턱, 혀로 구성
- 입틀이 밖에 고정되어 있다.
- 침샘은 입틀 속의 혀와 아랫입술 사이에 있다.
- 음식물 냄새와 맛을 보는 감각기관 많다.
- 큰턱은 식물조직을 뜯어서 부수는 자르는 역할
하구식 | 나비목의 유충 |
전구식 | 딱정벌레(유충먹이를 쫓거나 땅을 파는데 적합). |
후구식 | 매미목, 노린재류의 흡입성 구기(아래,뒤로 움직임) |
- 섭취방법에 따른 분류
저작구형 | 메뚜기, 풍뎅이, 나비류 유충 큰턱이 기주식물을 잘게 부수는 역할한다 |
저작 핥는형 | 꿀벌, 말벌 큰턱은 먹이를 자르거나 씹기에 편리하게, 작은턱과 아랫입술은 긴 주둥이 모양으로 변형 |
흡취형 핥아먹는형 |
집파리 |
여과구형 | 물속에 사는 곤충(미생물 여과) |
절단흡취형 | 모기, 벼룩, 등애 |
자흡구형 찔러서빨아먹음 |
진딧물,멸구,매미충류,깍지벌레류,모기,벼룩 윗입술, 큰턱, 작은턱들이 하나의 바늘모양으로 가늘고 길게 변형 |
흡관구형 빨아먹는형 |
나비,나방 큰턱의 기능은 별로없고, 작은턱의 외엽이 융합하여 대롱모양의 긴 주둥리로 변형 |
# 저작구에는 독제, 흡취구에는 접촉제를 하용한다
② 눈
- 1쌍의 겹눈, 1~3개의 홑눈(홑눈 없는 것도 있다.)
홑눈 | 수정체없고 구조가 원시적, 빛,어둠,움직임 등만 판단 |
겹눈 | 렌즈와 수정체를 가진 작은 낱눈이 이루어진 복합눈 자외선과 같은 색 볼 수 있다. |
③ 더듬이
자루(기부)마디 | |
흔들(팔굽)마디 | 존스턴씨기관으로 소리듣거나, 바람속도 측정 |
채찍마디 | 여러 마디, 냄새맡음 |
- 더듬이 모양 분류
실모양 | 딱정벌레 귀뚜라미 | 둥근막대 | 딱정벌레 일종 |
빗살 | 잎벌, 나방 | 무릎 | 수중다리좀벌 |
깃털 | 모기수컷 | 곤봉 | 나비 |
잎 | 풍뎅이 | 톱니 | 비단벌레 |
채찍 | 바퀴벌레, 뽕하늘소 | 염주 | 흰개미, 잎벌 |
(3) 가슴
- 키틴질, 털이 多
- 앞ㆍ가운데ㆍ뒷가슴 3구분, 날개, 다리, 기문 등의 부속기관있다.
① 날개
- 대개 2쌍, 앞날개 가운데가슴에, 뒷날개 뒷가슴에 달려있다
- 파리목에 속하는 곤충은 날개가 가운데가슴에 부착되어 있다.
- 날개형상으로 곤충 목(目) 명칭 구분 많이 함
- 날개 변형
파리목 | 앞날개 발달, 뒷날개는 평균곤으로 변형되어 몸의 균형유지, 감각기능 |
노린재목 | 앞날개는 변형된 반초시로 반은 딱딱하고 끝부분은 막질로 구성 |
딱정벌레목 | 앞날개 변형되어 경화된 딱지날개(시초,elytra) |
귀뚜라미 | 앞날개의 주맥을 변형시킨 비빔대로 소리냄 |
② 다리
- 앞가슴, 가운데가슴, 뒷가슴에 하나씩 붙어 있다.
- 다리 마디 순서
기절(밑마디)-전절(도래마디)-퇴절(넓적다리마디)-경절(종아리마디)-부절(발목마디)
#곤충은 다시 3쌍 거미는 다리 4쌍
- 다리 변형
물매미 | 뒷다리가 헤엄치기에 편리한 모양으로 변형 |
사마귀 | 앞다리가 포획하기에 편리하게 변형, 다세포성 돌기 |
기생곤충 | 날카로운 발톱 |
메뚜기 | 도약하게에 편하도록 뒷다리 변형 |
땅강아지 | 땅파기에 편하도록 앞다리가 굴착형 |
꿀벌 | 앞다리 종아리마디(경절)에 더듬이청소기 있고, 뒷다리경절에 화분통 |
(4) 배
- 보통10개 내외의 마디로 되어있고 기문ㆍ항문ㆍ생식기 등 있다.ㆍ
- 기문: 기체가 출입하는 곳, 공기호흡, 약제가 이곳 통해 침투
- 항문: 소화기관의 끝, 보통 배 끝에 있다.
- 외부생식기: 수컷은 9복절의 부속지가 변형되어 파악기로 발달, 암컷은 8~9복절의 부속지가 산란관으로 변형
2. 내부형태
(1) 소화계
- 소화관과 부속기관으로 구성
- 타액선, 장 및 말피기씨관(배설기관)이 중요
- 소화관 구분
전장 | 음식물 임시저장, 기계적 소화, 식도,모이주머니(소낭),전위 등으로 구성, 입과 식도사이를 인두라함, *전위는 전장과 중장사이에서 먹이의 역류를 막는 역할 |
중장 | 표피없는 대신 점액성 단백질의 위식막으로 음식물 감싸고 효소 분비, 소화ㆍ흡수작용, 보통 위의 기능을 한다, |
후장 | 전소장과 직장 및 항문으로 구성 표피로 덮여있어서 탈피할 때마다 새로운 표피로 대체 *직장에서 염류와 수분의 흡수작용(흰개미의 경우 직장에 공생미생물있어 목재섬유인 셀룰로오스 분해할 수 있다.) |
# 소화기 배열
입-인두-모이주머니(소낭)-위맹낭-중장-직장
- 전장, 후장: 외배엽의 함입에 의하여 생김
중장: 내배엽에서 생김
- 타액선: 식도ㆍ 인두 및 구강 내에서 타액분비 하는 곳, 나비목과 벌목의 유충은 이곳에서 견사 분비하여 집만들고, 흡혈성인 파리목의 곤충은 피를 빨 때 혈액응고를 막는 액 분비
- 말피씨기관: 중장과 후장 사이에 위치, pH나 무기이온농도 조절(삼투압조절)하면서 비틀림운동으로 배설작용, 끝은 막혀있다.
- 침샘: 대부분 곤충 가슴에 1쌍있다.
# 지상곤충은 주로 질소대사산물인 요산의 형태로 배설한다.
(2) 순환계
- 소화관의 배면에 있는 배관으로 되어있다.
- 개방순환계를 갖고 있으므로 피는 배관을 제외하고는 일정한 혈관 내를 지나지 않는다
- 등쪽에 대동맥이 있다
- 혈액은 혈림프(혈장)과 혈구로 구성, 산소운반하지 않아 헤모글로빈이 없어 투명한 색을 띤다. 혈림프는 투명한 점액이고, 녹색, 황색, 갈색, 호박색의 색소 함유
혈림프 | 혈액과 림프의 두 가지 작용 |
혈구 | 식균작용, 상처치유, 해독작용 |
- 곤충의 심실은 보통 9개로 각 심실 양쪽에 1쌍의 심문이 있다.
# 혈림프로 방출되는 탄수화물의 저장태는 트레할로스(비환원성 이당류)
(3) 호흡계
- 기관, 기문, 기관주간, 기관소지, 기관지, 모세기관 등의 구성
- 절족동물에서 볼 수 있는 특유한 기관계로 되어 있다.
기문 | 기체출입, 가슴에 2쌍 배에 8쌍 원칙이나 종에 따라 다르다. 양측면(옆판)에 존재 |
기관 | 기체통로, 내벽에는 기관의 압력이 낮을 때 기관의 위축을 방지하는 나선사가 있다. 외배옆의 함입에 의해 발생 |
- 기문은 기관통해 주관과 연결되며 기관으로부터 많은 기관소지가 몸속에 있는 각 기관의 조직으로 뻗어있다.
- 기관계는 산소를 여러조직으로 운반하고 조직에서 생긴 이산화탄소 운반역할 함. 대부분의 가스교관이 여기서 이루어짐
- 기문의 기능에 따른 분류
개구식 | 기문이 열려있는 기능적인 기관계 -쌍기문식: 파리목 유충 -전기문식: 파리목 번데기 -후기문식: 모기 유충 |
폐쇄식 | 기문이 없거나 그 기능이 없는 기관계 -무기문식: 물방개, 강도래, 실잠자리, 기생벌 |
(4) 신경계
- 중추 ㆍ 전장(내장) ㆍ 말초신경계
① 중추신경계
# 뇌와 배신경절로 이루어진 신경계
# 곤충의 감각기관은 중추신경계에 속하는 뇌의 지배를 받는다
전대뇌 | 복잡한행동 조절하는 중추신경계 중심부, 시감각담당 |
중대뇌 | 더듬이로부터 감각 및 운동축색 받으며 촉감각담당 |
후대뇌 | 이마신경절 통해 뇌,위장신경계를 연결시 운동에 관여 |
- 뇌는 일반적으로 식도신경환에 의해 식도하신경절에 연결, 큰턱,작은턱,아랫입술을 나타내는 세개의 융합된 신경절로 구성
# 식도하신경절은 큰턱,작은턱,아랫입술의 운동을 촉진시키거나 억제시키는 작용
② 전장신경계(내장신경계): 곤충의 교감신경계. 전장, 타액, 대동맥, 입의 근육 등을 지배, 주로 소화기관 주위를 감싸고 있는 근육에 작용하는 신경계
③ 말초신경계: 중추신경계와 전장신경계에서 나온 모든 신경들
운동신경 | 근육이나 분비샘 등의 반응 기관등에 자극전달 |
감각신경 | 감각수용기들에서 중추신경절로 들어가는 신경 |
(5) 생식계
- 뱃속에서 발달, 원칙적으로 양성생식계의 자웅이체이나 이세리아깍지벌레처럼 자웅동체도 있다.
- 자성생식계: 암컷생식기관으로 난소ㆍ수란관ㆍ수정란으로 구성, 난소의 몸의 좌우에 1개씩있고 수란관의 배벽에 연결된 수정난에는 정자가 저장
- 웅성생식계: 수컷생식기관, 고환(정집)ㆍ수정관ㆍ사정관으로 구성, 고환은 정자생산. 수정관의 일부가 커져 저장낭으로 변한것도O, 파악기는 교미시 음컷을 붙잡는 기관으로 음경옆에 붙어 있다.
(6) 근육계
- 근육 분포에 따라 내장근육, 환절근육, 부속지근육
종주근 | 배면과 복면, 이 근육의 수축에 의해 몸전체가 수축되고 배면이나 복면으로 구부러지기도 함 |
배복근 | 몸마디의 배판과 복판을 연결, 측근과의 공동작업에 의해 몸마디를 압축시킴으로써 호흡작용 돕는다 |
측근 | 배판과 측판, 측판또는 기문과 복판 연결 |
익근 | 배관에 부관하여 배관의 수축과 팽창에 관여 |
# 근육섬유를 수축시키는 무기이온은 Ca2+로 근육이 수축할 때 농도가 높아지고 이완 될 때 농도가 낮아진다.
(7) 감각기관
시각 | 겹눈, 홑눈이 작용 |
후각 | 촉각또는 입틀에 있는 감각기 작용 |
미각 | 입틀 각부분과 감각모작용, 다리감각기(파리ㆍ네발나비류) |
청각 | 감각모, 고막기관(메뚜기목), 존스톤기관(모기ㆍ모기붙이 수컷의 촉각경절)이작용 |
촉각 | 각 부분에 분포하는 감각와 감각돌기가 작용 |
(8) 분비계
- 체벽의 각종 물질과 체내대사를 위해 혈액분비
① 외분비선: 외배엽성의 기원, 분비물을 체외나 내장에 보내고 곤충 체표면에 두루 퍼져있다
침샘 | 전장의 양쪽에 위치 |
표피샘 | 꿀벌에서 왁스 분비하여 벌집 짓는데 사용 |
악취선 | 노린재류에서 불쾌한 냄새 탄화수소 유도체분비 |
이마샘 | 흰개미류에서 끈적한 방어용 물질 분비 |
배끝마디샘 | 딱정벌레에서 불쾌한 물질 분비 |
여왕물질 | 여왕벌 큰턱마디 샘에서 분비, 일벌들의 여왕벌 생성억제 |
페로몬 | 냄새로 의사를 전달하는 신호물질 |
- 페로몬: 같은종의 다른성, 같은종의 다른개체에 정보전달목적으로 분비, 개체간에 특이한 반응이나 행동을 유발시키며, 자연적으로 발생하고 무독하며 환경오염 없다,
- 페로몬 종류
성페로몬 | 같은 곤충 종간 상대 성 개체유인 |
집합 | 나무좀,저곡해충,톡토기류 등이 먹이, 서식지 찾았을 때 알리기 위해 |
경보 | 사회생활(벌,개미),집단생활(진딧물,노린재류)하는 곤충이 위험을 알리기 위해분비, 휘발성 강해 빠르게 전파되고 빠르게 사라짐 |
길잡이 | 사회성 곤충(개미,흰개미)이 서식지로 이동하기 위한 길표지 분비로 효과가 지속됨 |
분산 | 같은 곤충 종 개체들의 과밀현상 막기위해 분비, 다리의 감각기에 접촉하여 감지 |
계급 | 사회성 곤충에서 각각의 계급질서 유지위해 분비 |
- 성페로몬: 여러 성분의 복합체로 미량으로 먼거리까지 작용, 보통 더듬이에 분포하는 화학수용기관에서 받아들여진다. 주로 나비목의 곤충 多, 대부분 암컷이 분비, 최초 성페로몬은 1959년 누에나방 암컷에서 분리 동정된 봄비콜
- 페로몬 트랩종류
깔대기형 | 담배거세미나방, 파밤나방 |
끈끈이트랙 | 굴나방, 잎말이나방 |
수반트랙 | 진딧물, 파밤나방 |
Pet병트랩 | 농가에서 간이제작하여 담배거세미나방, 파밤나방 등의 예찰용으로 이용 |
- 성페로몬의 이용분야와 목적
이용분야 | 목적 |
발생예찰 | 해충발생시기에 페로몬트랩 설치하여 죽은성충의 밀도를 보고 대상해충 발생예측하여 약제살포결정 |
대량유살 | 페로몬트랩에 의한 대상 해충의 대량포획으로 차세대 밀도 감소, 암컷을 유인하지 못하는 결점 |
교미교란 | 성페로몬 대상 해충의 교미를 교란 |
생물자극제 | 대상 해충의 활력을 조장하여 살충제에 접촉할 수 있는 가능성 높임 |
- 기타 통신용 화합물질: 같은 종 개체간 정보전달 목적의 분비물질은 페로몬이라 하고, 다른 종 개체간 정보전달 목적의 분비물질은 타감물질이라한다.
- 타감물질 구분
알로몬 | 생산자에게 유리, 수용자에게 불리한 방어물질 |
카이로몬 | 생산자에게 불리, 수용자에게 유리한 방어물질 |
시노몬 | 생산자 수용자 모두에게 유리 |
# 곤충의 방어물질은 총칭 알로몬이다.
② 내분비선: 외분비선의 독립작용과는 달리 서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호르몬 분비하여 혈액에 방출. 카디아카체, 알라타체, 앞가슴선(전흉선), 전대뇌, 식도하신경절, 환상선, 신경분비세포 등에서 분비, 해단 표적기관이나 조직에서만 작용
카디아카체 | 심장박동 조절에 관여 |
알라타체 | 성충으로서는 발육억제하는 유충호르몬(유약호르몬, 변태조절호르몬)생성, 성충기에 가까워짐에 따라 분비량이 줄어든다. 뇌신경 분지세포의 호르몬과 관계 있다. |
앞가슴선 | 번데기 촉진에 관여, 탈피호르몬(MH)엑디손과 허물벗기호르몬(EH), 경화호르몬분비 |
환상선 | 파리류 유충에서 작은 환상 조직이 기관으로 지지 |
신경분비세포 | 누에의 휴면호르몬 분비 |
(9) 특수조직
- 지방체: 노숙유충에서 많이 볼수 있는 백색조직, 곤충의 중간대사에 관여, 체강 안의 각 기관 사이에 가득 차 있다, 척추동물의 간에 해당하는 영양분의 저장, 단백질의 합성, 해동작용, 배설작용 등의 역할
- 편도세포: 탈피할 때 표피의 어떤 생성물질을 합성하는 특수작용에 관여하는 황갈색 띤 대형의 세포
002 - 곤충의 분류
01. 곤충의 분류
1. 곤충의 분류
(1) 분류의 목적
- 현재 지구상에 살고 있는 곤충과 예전에 살고 있었던 종 상호간의 유연 관계를 연구하여 곤충 전체의 계통을 조사하고 곤충과 다른 동물 과의 유연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2) 분류의 단위
- 분류학상의 기본단위는 종에 두고 있다.
- 강, 아강, 목, 아목, 과, 아과, 속, 아속, 종, 아종, 변종 순
- 곤충의 목분류는 일반적으로 입과 날개의 진화정도, 날개 의 모양, 변태의 방식 및 진화정도에 의하여 이루어짐.
2. 각 목의 형태 특성
무시아강 (원래 날개 없다) |
톡토기목-알톡토기 낫발이목-일본 낫발이 좀붙이목-좀붙이, 집게좀붙이 좀목-좀, 돌좀 |
||
유시아강 (날개퇴화되어 없는 것도있다) |
고시류 (날개 접을수 없다) |
하루살이목-하루살이 잠자리목-잠자리 |
|
신시류 (접을수 O) |
외 시 류 불완전변태 |
털이목-닭털이, 소턹이 바퀴목-바퀴 강도래목-강도래 민벌레목-민벌레 이목-몸이, 사면발이 다듬이벌레목-민다듬이벌레 노린재목-육서,반수서,진수서군 집게벌레목-집게벌레 사마귀목-사마귀 총채벌레목-벼총채벌레 대벌레목-대벌레 매미목-진딧물,깍지벌레, 멸구,매미충 메뚜기목-메뚜기, 여치, 귀뚜라미, 땅강아지 흰개미목-일흰개미, 병정흰개미 흰개미붙이목-흰개미붙이 갈르와벌레목-갈르와벌레 |
|
내 시 류 완전 변태 |
딱정벌레목-딱정벌레, 바구미, 소나무좀 풀잠자리목-풀잠자리, 개미귀신 뱀잠자리목-뱀잠자리 약대벌레목-약대벌레 벌목-벌, 말벌, 개미, 잎벌, 밤나무순혹벌 밑들이목-밑들이 부채벌레목-부채벌레 날도래목-날도래 파리목-모기, 파리, 각다귀, 등에, 혹파리 벼룩목-벼룩 나방목-나비, 나방 |
1. 무시아강
- 대개 기관 없고 변태하지 않고, 날개 발견 X
- 종류
톡토기목-알톡토기
낫발이목-일본 낫발이
좀붙이목-좀붙이, 집게좀붙이
좀목-좀, 돌좀
(1) 톡토기목
- 겹눈은 홑눈 모양으로 배열
- 저작구 입틀이 머리통 안에 들어 있다..
- 촉각은 짧고 5∼6절이다. 날개는 없으며 배는 6절이내인데 제1배마디에 복관있고 제4절에는 도약기가 1쌍 있다.
- 더듬이의 모든 마디에 근육이 있다.
- 외부생식기, 말피기씨관은 없다
(2) 낫발이목
- 백색, 더듬이, 겹눈 없다
- 입틀은 자흡구
- 12개의 마디가 뚜렷, 1∼3절에는 1쌍씩의 다리
- 기관은 퇴화되었거나 없다
- 증절변태
#톡토기목-저작형 입틀, 더듬이 있다
낫발이목-자흡구 입틀, 더듬이와 겹눈 없다
(3) 좀붙이목
- 겹눈, 홑눈 없고 발목마디는 1개, 대게 배마디에 배다리 있다.
- 저작구형 입틀이 머리 내부에 함입
- 더듬이는 여러 마디
(3) 좀목
- 저작형 입틀, 많은 마디의 더듬이
- 겹눈 있는 것과 없는 것 있다.
- 발목마디는 2~4마디, 배는 11마디, 배끝마디에 3개의 꼬리털
- 말피씨기관 있다
2. 유시아강
고시류 (날개 접을수 없다) | |
신시류 (날개 접을수 O) | 외시류 불완전변태 |
내시류 완전변태 |
(1) 고시류
① 하루살이목
- 저작형 입틀, 퇴화 혹은 없다
- 더듬이 2마디, 짧다
- 날개는 거의 삼각형, 날개맥 많고 꼬리털은 2~3개
- 뒷날개가 앞날개 보다 훨씬 작고 때로는 없다.
- 약충은 수중생활은 한다
- 약충기와 성충기 사이의 아성충기에도 날 수 있고, 그 후 한번더 탈피하여 완전한 성충이 된다.
- 불완전변태
② 잠자리목
- 저작형 입틀이며 식육성
- 겹눈 발달
- 아랫입술은 먹이를 잡기에 발달
- 불완전변태
(2) 신시류
1) 외시류 - 불완전 변태류
① 털이목
- 몸 납작 조류나 포유류의 외부에 기생하는 위생해충
- 입틀은 구조 변화 多, 더듬이는 3~5마디
- 겹눈은 작거나 없고, 홑눈은 없다
② 바퀴목
- 타원형 납작, 더듬이 매우 가늘며 길다.
- 입틀은 저작형, 겹눈 매우 발달
- 장티프스, 콜레라 옮기는 위생해충
③ 강도래목
- 저작형 입틀이나 성충에서 퇴화한 것도 多
- 더듬이는 길며 마디가 多
- 날개 2쌍, 뒷날개가 앞날개보다 크다
- 암컷은 산란관 없고 쌍꼬리는 길고 다수의 마디
- 발마디는 3마디, 약충은 물속에서 기관아가미로 호흡
④ 민벌레목
- 우리나라에서 발견 X
⑤ 이목
- 납작, 짐승, 사람에 기생
- 발진티프스 매개하는 위생해충
- 입틀은 자흡구형, 겹눈은 퇴화 혹은 없고, 홑눈 없다
- 더듬이는 3~5마디, 가슴은 한 덩어리로 뭉쳐있으며 날개 없다
- 배 9마디, 쌍꼬리 없다
- 가슴의 숨문은 등쪽에 있다
⑥ 다듬이벌레목
- 몸 길이 0.5~10mm , 저장식품, 표본 등에 피해
- 저작형 입틀
- 더듬이는 여러마디, 발목마디는 2~3마디
- 날개 있거나 없다.
- 앞날개와 날개무늬 크고 쉴때 지붕모양으로 배위에 놓으며
쌍꼬리 없다.
⑦ 노린재목
- 머리는 자유롭게 부착
- 입틀은 자흡구형, 전구식,하구식, 아랫입술 길게 발달, 그 속에 큰 턱과 작은 턱이 겹쳐져 주사침 모양
- 더듬이 2~10마디(25마디),
- 겹눈 크고, 홑눈 있거나 없다
- 날개 2쌍, 앞날개는 반초시로 밑부분은 두터운 혁질이고 끝부분은 막질로 구성되어 매미목과 구별, 뒷날개는 전체가 막질
- 초식성, 포식성
- 구분
육서군 | 노린재과, 방패벌레과, 빈대붙이과 |
반수서군 | 소금쟁이과, 갯노린재과 |
진수서군 | 송장헤엄치게과, 물벌레과 |
- 특수한 냄새샘으로 몸보호
- 식물병의 매개충 역할도 한다
# 노린재목에 속하는 진달래방패벌레는 불완전 변태
⑧ 집게벌레목
- 저작형 입틀
- 날개 두쌍이지만 없는것도 있다. 앞날개는 짧고 두터우며 날개맥이 없고, 뒷날개는 반달모양이며 날개맥이 방사형을 달린다
- 발목마디는 3마디, 한쌍의 꼬리털은 집게로 변형
- 식육성
⑨ 사마귀목
- 중형~대형 식충성
- 앞다리 길고 퇴절과 경절 사이에 가시돌기
- 입틀, 내부기관, 생식기 등은 바퀴와 흡사
- 입틀은 저작형, 겹눈 발달
- 종마다 특이한 모양의 알덩어리로 월동
- 유익한 곤충
⑩ 총채벌레목
- 몸길이 0.6~12mm
- 입틀 좌우가 같이 않다, 왼쪽 큰턱이 한 개만 발달하여 먹이의 즙액 빨아 먹는다(흡취구형)
- 주로 양성생식이고 단위생식도 한다.
- 더듬이는 6~10마디
- 2쌍의 날개 가늘고 길며, 날개맥 없고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긴털
- 아목에 따라 번데기의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⑪ 대벌레목
- 몸이 매우 가늘고 긴 막대기 모양, 나뭇잎 모양
- 3쌍의 다리는 크기가 거의 같고 행동 느리다
- 입틀은 저작형 날개 있는 것과 없는 것 있다.
- 식식성이어서 해충으로 간주
⑫ 매미목
- 0.3~8.0mm
- 머리는 후구식, 주둥이는 머리아래 또는 앞다리기절 사이에 나와있다.
- 입틀은 자흡구형, 겹눈 발달
- 앞가슴 등판은 작은편이고 밑도래마디는 대개 크고 다리의 부절은 1~3절
- 앞날개는 막질이거나 키틴화되어 있지만 전체적인 구조는 갖고 대개 쉬고 있을 때 날개를 지붕으로 접는다.
- 양성생식, 진딧물류와 같이 단위생식하는 것들 많고 번식력 ↑
- 깍지벌레 수컷은 1쌍의 앞날개만 발달하고 번데기 시기 갖고 있어 완전변태하나 암컷은 날개없고 불완전한 다리와 촉각 있다.
- 진딧물, 깍지벌레, 멸구, 매미충류, 온실가루이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구분
복문아문 | 나무이과, 가루이과, 진딧물과, 깍지벌레과 |
경문아문 | 멸구과, 매미과, 뿔매미과, 매미충과, 거품벌레과 |
- 농림작물의 중요 해충
⑬ 메뚜기목
- 입틀은 전형적인 저작형, 겹눈 발달, 광식성
- 날개는 두 쌍, 퇴화된 것도 있다. 앞날개는 두터운 가죽질의 복시, 뒷날개는 크고 날개맥 많으며 막질
- 암컷의 산란관은 잘 발달 되어 있고, 제7,8배마디에 숨겨져 있지 않고 수컷 생식기는 제9배마디 배판속에 숨겨져 있다.
- 쌍꼬리는 짧고 마디 없으며, 특별한 발음기관과 청각기관 발달
- 메뚜기, 여치, 귀뚜라미, 땅강아지 등 농림해충
⑭ 흰개미붙이목
- 우리나라에 거의 없다
- 제1발마디가 크고 넓적하며 그 아래부분에서 실을 토한다.
⑮ 흰개미목
- 사회생활을 하는 곤충
- 저작형 입틀
- 앞뒤 날개 모양과 크기 같고 쉴때는 등 위에 수평으로 놓는다.
- 발마디는 4마디 꼬리털은 한쌍
- 여왕ㆍ일흰개미ㆍ병정개미 등 여러 형 있다.
- 암컷은 변태하지 않고 수컷은 불완전 변태
16 갈르와벌레목
- 날개 없고, 겹눈 퇴화되었거나 없고, 홑눈 없다
- 더듬이는 긴편, 세쌍의 다리는 거의 같은 모양
- 암컷 산란관 발달, 수컷 생식기에 좌우가 다른 2개의 골편
2) 내시류 - 완전 변태류
① 딱정벌레목
- 저작형 입틀
- 머리는 전구식, 하구식
- 성충은 대개 외골격 발달
- 날개 있는 것 없는 것 있다.
- 크기, 식성, 서식장소, 가해특성, 더듬이 형태 등이 매우 다양
- 날개는 2쌍, 앞날개는 변형되어 경화된 딱지날개(시초,elyta)
- 번데기의 부속지는 몸에 꼭 붙지 않고 떨어져 있다(나용),
이런 나용이 때로는 고치속에 들어 있따.
- 딱정벌레, 풍뎅이, 나무좀, 바구미, 하늘소, 잎벌레, 무당벌레
- 곤충강의 40%차지, 가장 큰 목이다
② 풀잠자리목
- 저작형 입틀이지만 기능은 자흡구형, 큰턱이 길게 발달
- 여러개의 마디로 된 긴 더듬이
- 겹눈 크며 두쌍의 날개는 매우 얇다.
- 유충은 대개 육지에 살며 3쌍의 다리가 있고 배다리는 없다
- 유충과 성충이 모두 식충성
- 육서종은 짓딧물, 개미 등의 천적
③ 뱀잠자리목
- 대형곤충
- 저작형 입틀
- 겹눈 크고, 두쌍 날개는 그 질과 맥상이 비슷, 날개맥이 많다.
- 유충은 물에 살고 성충과 번데기는 육지에 산다
- 유충도 저작형 입틀, 더듬이 있고 6개의 작은눈으로 된 겹눈 있고, 다리가 발달, 배의 각 마디에 쌍으로 된 기관아가미 있다.
④ 약대벌레목
- 저작형 입틀, 겹눈은 크고 앞뒷날개는 매우 흡사
- 두쌍의 날개는 투명하고 날개맥 많고 뱀잠자리목과 흡사하지만 목이 매우 길어 구분된다
- 암컷에는 긴 산란관있다.
- 유충은 육지 생활을 하며 여러 마디로 된 더듬이와 겹눈 있고 다리는 발달되어 있으나 배다리는 없다
⑥ 벌목
- 저작형 또는 핥는 형 입틀
- 암컷에는 여러 가지 모양의 산란관 있다.
- 날개 있거나 없고, 앞뒤 날개는 모양 다르고 날개맥이 비교적 적고 막질로 구성
- 겹눈 발달, 다양한 모양의 촉각
- 잎벌아목과 벌아목으로 크게 구분
- 벌, 말벌, 개미, 잎벌
# 잎벌과에 속하는 잎벌, 흰개미 등의 더듬이는 염주모양
⑦ 밑들이목
- 소형~중형 곤충
- 앞뒷날개는 그 모양과 맥상이 비슷
- 저작형 입틀은 주둥이 모양으로 길게 뻗은 얼굴 끝에 위치
- 겹눈은 크고 더듬이 길고 쌍꼬리는 짧으며 식육성
- 수컷은 배 끝에 교미기가 발달
⑧ 부채벌레목
- 입틀은 퇴화 또는 없다
- 암컷은 날개와 다리가 없는 유충모양, 겹눈과 더듬이도 없다
- 수컷에만 날개있고 앞날개는 몽둥이 모양으로 퇴화되고 뒷날개는 큰 부채모양
- 유충에서 번데기에 이르는 사이에 번데기 같이 쉬는 시기가 있는 과변태
- 대부분 벌목 멸구류 등 곤충에 외부기생
⑨ 날도래목
- 퇴화된 저작형 입틀이고 큰턱이 없다.
- 날개의 털이 있어서 나비목과 구별
- 더듬이는 길고 기관아가미로 호흡
- 2쌍의 날개는 쉴 때 배위에 지붕모양으로 놓는다
- 유충은 물속에 살며 흔히 실을 토해 굴뚝 모양의 집을 만들고 그 속에 배를 넣고 이동할때는 이것을 끌고 다닌다.
⑩ 파리목
- 앞날개는 정상적이지만 뒷날개는 평균곤으로 변형되어 몸의 균형 및 감각기능 나타낸다
- 빠는 형, 핥는형의 입틀이나 자흡구형 입틀도 있다
- 앞날개가 있는 가운뎃가슴이 매우 발달하고 앞가슴은 작다
- 유충은 다리가 없는 구데기 모양 머리가 퇴화
- 번데기는 마지막 유충의 껍질속에 들어 있다(위용)
- 파리, 모기, 각다귀
⑪ 벼룩목
- 소형곤충, 날개 없고, 자흡구형 입틀, 겹눈 없고 홑눈2개
- 성충은 몸이 좌우로 납작, 다리의 밑마디가 매우크며 뒷다리가 커서 뛰는데 알맞다
- 짐승의 외부에 기생하여 피빨아 먹는다
- 유충은 몸이 길고 원통형, 눈과 다리가 없고 기생생활을 하지 않고 먼지를 먹고 산다
- 페스트, 발진열 매개
⑫ 나비목
- 성충의 입틀은 작은 턱이 길게 발달하여 관 형성
- 가슴에 3쌍의 다리와 2쌍의 날개
- 배안의 생식기관에는 교미를 하는 교미구와 산란을 하는 산란구 등 2개의 생식구 있다.
- 겹눈은 크고 몸에 털 多, 털이 변형한 가루도 덮여있다
- 날개는 잘 발달, 앞뒷 날개 모양 다르고 날개 없는 것도 있다
- 앞뒷 날개 사이에 비상시 서로 날개연결을 위한 특수장치
- 유충은 씹는 입틀 발달 몸은 원통형 다리가 3쌍, 배다리(복지) 2~5쌍, 다 자란 유충은 고치를 만들어 번데기가 되는 것 있다
- 번데기의 부속지는 몸에 꼭 붙어 있다(피용)
- 나비, 나방
- 딱정벌레목 다음으로 종수 많다
* 거미강
거미는 절졸동물문의 거미강에 속하므로 곤충을 보지않는다. 거미강에는 거미, 진드기, 응애, 전갈 등이 있다.
# 선충은 선형동물문에 속한다
Ⅱ. 곤충의 생태
1. 생활사 : 알에서 부화되어 성충이 교미 후 알을 낳게 되는데, 1회전을 생활환이라 한다.
1) 곤충의 변태 :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여러 차례 탈피를 거듭 한 후 성충으로 변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변태라고 한다.
― 완전 변태 ⇒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되는 것
― 과변태 ⇒ 가래과의 곤충에 있어서 유충이 다형인 경우
― 불완전 변태 ⇒ 알에서 부화하여 유충과 번데기라는 명백히 구분된 기간을 거치지 않고 곧 바로 성충이 되는 것. 이 때의 어린 벌레를 약충이라 한다.
① 부화 : 알껍질 속의 배자가 일정한 기간을 경과하여 완전히 발육하면 알껍질을 깨트리고 밖으로 나오게 되는데 이것을 부화라 함
② 유충의 성장
탈피 ⇒ 유충의 몸은 자라지만 몸을 덮고 있는 표피는 늘어 나지 않으므로 묶은 표피를 벗어야 하는데 이와 같 은 현상을 말함
령기 ⇒ 부화 유충이 탈피할 때까지의 기간, 탈피한 후 탈피 할 때까지의 기간, 마지막으로 탈피하여 번데기가 될 때까지의 기간
령충 ⇒ 각 기간의 유충
1령충 ⇒ 1회 탈피할 때까지,
2령충 ⇒ 1회 탈피한 것,
3령충 ⇒ 2회 탈피한 것
4령충 ⇒ 3회 탈피한 것
③ 용화 : 충분히 자란 유충은 먹는 것을 중지하고 유충시대의 껍질을 벗고 번데기가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용화
④ 우화 : 번데기(불완전 변태류의 경우에는 약충)가 탈피하여 성충이 되는 것
⑤ 교미 : 교미는 암컷의 생식기 속에 수컷의 정액을 주입하는 작용
⑥ 산란 : 곤충의 알은 암, 수의 교미에 의하여 수정작용이 이 루어진 다음에 산출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산란이라 함.
2) 곤충의 경과
① 세대 : 알에서 유충 번데기(또는 유충)를 거쳐 성충이 된 다 음 다시 알을 낳게 될 때까지를 1세대라고 하는데 이와 같은 변화를 생활사라고 한다.
② 산란 전기 : 암컷은 성장하면 교미하고 알을 낳게 되는데 우 화 후 알을 낳게 될 때까지의 기간
③ 난기 : 낳은 알이 부화할 때까지의 기간을 난기라고 한다.
④ 유충기 :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번데기가 될 때까지의 기간 을 유충기라고 한다.
⑤ 용기 : 번데기가 된 후 우화할 때까지의 기간을 용기
⑥ 성충기 : 번데기가 우화 되어 나온 성충의 시기
* 생식
㉠ 양성생식 : 암수 교미로 생김. 배추흰나비등 대부분의 곤충
㉡ 단위생식 : 암컷만으로 생식.
밤나무 순혹벌, 민다듬이벌레, 진딧물류(여름)
㉢ 다배생식 : 수정 된 난핵이 분얼하여 각각의 개체로 발육
1개의 정핵난에서 여러개의 유충발생, 송충알좀벌
㉣ 유생생식 : 유충이나 번데기가 생식하는 것으로서 체파리
2. 곤충의 특성
1) 서식 장소 : 육서, 수서
2) 식성
(1) 식물질을 먹는 것
① 식식성―식물에서 영양을 섭취하는 것
② 균식성―균류를 먹이로 하는 것
③ 미식성―미생물을 먹는 것
(2) 동물질을 먹는 것
① 포식성―살아있는 곤충을 잡아먹는 것
② 기생성―다른 곤충에 기생생활을 하는 것
③ 육식성―다른 동물을 직접 먹는 것
④ 시식성―다른 동물의 시체를 먹는 것
3) 주성 : 동물이 어떤 자극을 받고 몸이 자극이 미치는 방향으 로 움직이는 성질 및 물러나는 성질
① 주광성
곤충도 종류에 따라서 양성과 음성의 주광성을 가진다.
양성 주광성을 가진 것 ― 나비, 나방
음성 주광성을 가진 것―구더기, 바퀴류
② 주화성(走化性) : 곤충은 종류에 따라서 특수한 식물에다 알을 낳고 유충이 특수한 식물만 먹는 것은 그 식물이 가
지고 있는 화학 물질에 유인되기 때문이다.
③ 주수성 : 수서곤충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즉, 수서곤충을 잡아다가 땅 위에 놓아두면 언제나 물이 있는 방향으로 도 망치려 한다.
④ 주촉성 : 다른 물건에 접촉하려는 주성을 말한다.
⑤ 주류성 : 물고기가 물이 흘러오는 방향으로 거슬러 올라가 는 것과 마찬가지 곤충도 물이 흘러오는 쪽을 향해서 운동
⑥ 주풍성 : 바람에 의한 영향을 받는 성질
⑦ 주지성(走地性) : 곤충이 앉을 때 머리쪽이 땅을 향하거나 반대로 앉는 성질
⑧ 주열성 : 주온성 이라고도 한다.
Ⅲ. 곤충의 형태
1. 외부구조
1) 피부
① 표피층
㉮ 외표피 : 단백질과 지질로 구성된 매우 얇은 층으로서 수 분의 증발을 억제하는기능
㉯ 원표피 : 성충 표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서 단백 질과 Chitin으로 만들어 진다.
― 외원표피 ⇒ quinone 등에 의하여 단단하게 되고, 일반 적으로 빛깔도 어둡게 된다.
― 내원표피 ⇒ 안쪽의 그대로 남게 되는 대부분
내원표피는 다음번의 탈피과정 초기에 모두 소화 흡수되 어 재활용되며 벗어 던져버린 껍질은 외원표피와 외표피 로 전체표피의 약 1/3 이하만 소실한다.
② 진피세포 : 표피를 이루는 단백질, 지질, Chitin 화합물 등 을 합성, 분해 해주는 한 층의 세포군으로서 탈피 시에는 내원표피를 소화시키는 탈피액을 분비한다.
2) 머리
① 입
㉮ 저작구 ― 먹이를 씹어 먹는 형으로서 메뚜기, 바퀴, 딱정 벌레, 나비, 나방류
㉯ 흡수구 ― 액체성의 음식물을 빨아들이는 곤충들
액체를 빨아들이기 위한 펌프 발달
② 눈 : 대개 1쌍의 겹눈과 1∼3개의 홑눈이 있지만 종류에 따라 홑눈이 없는 것도 있다.
③ 촉각(더듬이)
* 촉각은 많은 마디로 되어 있으며 1쌍이다.
제1절은 병절(자루마디), 제2절은 경절(팔굽마디),
제3절은 편절(채찍마디)
* 촉각의 여러 가지형 : 사상(실꼴), 편상(채찍꼴), 염주상(염 주꼴), 거치상(톱니꼴), 즐치상, 곤봉상, 구간상, 새염상 등
3) 가슴 : 앞가슴, 가운데가슴, 뒷가슴의 3부분으로 되어 있다.
㉮ 날개―대개 2쌍이며 앞날개는 가운데 가슴에 뒷날개는 뒷 가슴에 달려있다. 나비, 나방 따위는 앞날개의 폭이 넓고 연약하며 보통 삼각형으로 되어 있어 앞쪽을 정연, 바깥쪽 을 외연. 파리목에 있어서는 뒷날개가 퇴화되어 평균곤을 이루고 있고 부채벌레목에서는 앞날개가 퇴화하여 작대기 모양의 의평균곤을 이룬다. 날개는 얇은 각질이며 날개 속 의 기관이 번화하여 시맥이 된다. 메뚜기와 딱정벌레류는 뒷날개만이 나는데 이용되고 앞날개는 시초(초시)로 변형 되어 뒷날개를 보호하는 역할
㉯ 기문 : 가운데 가슴과 뒷가슴에 1쌍씩 있는 것이 많다.
㉰ 다리 : 다리는 앞가슴, 가운데가슴, 뒷가슴에 1쌍씩 붙어 있는데 5마디로 되어있다. 기절(밑마디), 전절(도래마디), 뒤절(넙적다리) 경절(종아리 마디) 부절(발마디)
4) 배 : 보통 10개 내외의 마디로 되어 있다. 피부는 연약하지 만 단단한 시초 또는 많은 털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① 외부 생식기 「썩은 ㆍㆍㆍㆍ」
② 쌍고리 : 배의 제일 끝마디의 부속기로 공기의 흐름을 탐 지하는 감각털이 모여있다.
2. 내부의 형태
1) 소화계
소화계는 체강의 중앙을 세로 뻗은 소화관 및 이것과 직접, 간접으로 연락되어 있는 부속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요한 것은 타액선, 장 및 말피기씨관 등이다. 소화관은 전장, 중장 및 후장의 3부분이 주체가 되며 앞쪽은 입으로 끝나고 뒤쪽은 항문으로 끝난다. 전장과 중장 사이에는 분문판이 있으며 중 장과 후장 사이에는 유문판이 있다.
2) 순환계
개방 순환계이며 심실은 보통 9개로 각 심실 양쪽에는 1쌍의 심문이 있다.
식세포 ⇒ 미생물, 기생성 생물 침입 시 제거
포낭세포 ⇒ 혈액 응고에 관여
3) 호흡계
(1) 기문 ⇒ 기문은 보통 가슴에 2쌍 배에 8쌍 도합 10쌍 있는 것이 원칙이다.
(2) 기관 ⇒ 표피를 덮고 있고 기관내부에는 나언사가 융기를 형성하여 기관에의 압력이 낮을 때 기관이 위축됨 위험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3) 모세기관
산소는 모세기관의 벽을 통하여 확산되어 근육 등 여러 조 직들에 공급되며 곤충의 탈피 시에도 모세기관의 표피는 그 대로 남지만 그 밖의 모든 기관은 벗겨져 새로운 표피로 바 뀐다.
기관새 ⇒ 수서곤충의 유충은 기관새라는 호흡기관이 발달 되어 물속에 녹은 산소 흡수
(4) 개구식 기관계(완기문식 기관계) ⇒ 쌍기문식, 전기문식, 후 기문식
(5) 폐쇄식 기관계 ⇒ 저장기관새
4) 신경계
(1) 중추신경계
뇌와 복신경색(배신경줄)으로 구성되며 몸의 각 마디에는 원칙적으로 1개의 신경구 및 다른 마디의 신경구와 이것을 연결하는 1쌍의 신경색이 있다.
식도상신경구 ⇒ 뇌가 식도 위에 위치하기 때문
막신경계 ⇒ 각신경구는 쌍으로 된 신경색에 의하여 연결되 어 있으며 앞 가슴에서 나와 소화관 밑을 세로 뻗어 있다.
(2) 말초신경계
ㆍ 운동신경 ― 근육이나 분비샘의 반응기관에 자극을 전달
ㆍ 감각신경 ― 감각수용기에서 중추신경절로 들어가는 신경
(3) 내장신경계(전장신경계)
주로 소화기관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근육에 작용하는 신경계
5) 생식계
암ㆍ수의 생식기관의 비교
암 컷 | 수 컷 |
1쌍의 난소(알집) | 1쌍의 고환(정집) |
1쌍의 옆 수란관 | 1쌍의 수정관과 저정관 |
중앙 수란관과 질 | 중앙 사정관 |
부속샘 | 부속샘 |
수정난과 부속샘 | ― |
교미낭 | ― |
산란관 | 교미기 |
(1) 암 생식계
① 무영양실형(단순형) : 전문적인 영양세포가 없고, 각 알세포 무리를 감싸고 있는 난포세포 만이 관여한다.
② 단영양실형(단자양형) : 알집소관 끝에 영양세포들이 긴 세 포질관을 통하여 각 알세포에 영양분을 공급한다.
③ 교호영양실형(교호자양형) : 각 알세포가 몇 개의 영양세포 들을 독립적으로 가지고 있는 형태이다.
6) 근육계
근육의 구조는 근육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인 골격근 육에서는 1개의 근육이 여러 개의 길고 다핵세포인 근육세포 로 이루어지는데 근육섬유의 세포는 에너지를 생성하는 mito-chondria와 근육섬유로 채워져 있다.
① 종주근 : 이 근육의 수축에 의하여 몸 전체가 수축도 되고 또한 배면이나 복면으로 구부러지기도 한다.
② 배복근 : 각각 소속된 몸마디의 배판과 복판을 연결하며 측 근과의 공동 작업에 의해서 몸마디를 압축시킴으로서 호흡작 용을 돕는다.
③ 측근 : 배판과 측판, 측판 또는 기문과 복판을 연결하는 근 육이다.
④ 의근 : 배관에 부착하여 배관의 수축과 팽창에 관여한다.
7) 감각기관
① 촉각 : 감각모 존스톤씨기관(모기와 모기붙이(수컷))
② 미각 : 입, 다리의 감각 기관(파리)
③ 후각 : 촉각 또는 입을 형성하는 기관에 있는 감각기
④ 청각 : 감각모, 고막기관, 존스톤씨기관
⑤ 시각 : 겹눈(복안) ⇒ 개안(個眼)의 집합체, 홑눈(單眼)
8) 특수조직
① 지방체 : 지방체의 주요기능은 영양물질의 저장 및 배설작 용을 돕는다.
② 편도세포 : 탈피할 때 표피의 어떤 생성물질을 합성하는 특 수작용에 관여
③ 알라타체 : 머리속에 있는 1쌍의 신경구 모양의 조직이며 변태호르몬을 분비
④ 페로몬 : 같은 종 내의 다른 개체간의 통신을 목적으로 사 용되는 휘발성 화합물
Ⅴ. 병충의 방제
2. 해충의 방제법
1) 농약사용
(1) 살충제의 종류
① 소화 중독제
해충이 먹었을 때 독제가 입을 통하여 먹이와 함께 소화관 에 들어가 살충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즙액을 빠는 입 들을 가진 유충에는 사용불가
*사용방법 :
ⓐ 작물의 잎, 줄기에 뿌려 해충이 먹을 때 입으로 들어가게 하는 방법
ⓑ 독먹이를 만들어 유실하는 방법
ⓒ 잔효성을 이용하여 해충이 지나는 곳에 뿌려두는 방법
② 접촉제 : 해충의 몸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약제가 닿게 하여 숨구멍이나 표피를 통해 해충의 체내로 침투하여 죽게 하는 것.
ㆍ 직접접촉제 - 살포할 때 해충의 몸에 직접 닿았을 때 작용
ㆍ 간접접촉제 - 작물체에 남아 있는 것이 지나던 해충에 닿 아서 죽게 됨.
ㆍ 직접접촉제 - 제충국제, 데리스제, 니코틴제
ㆍ 잔효성접촉제 - DDT, BHC, 유기염소제
③ 침투성 살충제 : 식물체의 뿌리, 줄기 또는 잎을 통하여 약 제가 식물체 전체에 침투함으로써 흡수하는 멸구나 진딧물 을 죽게 하는데 사용
ㆍ 식물성 침투제 - Systox, Curater
ㆍ 동물성 침투제 - Ronnel, Coral
④ 훈증제 : 약제가 가스체로 되어 해충의 숨구멍을 통하여 들 어가 질식하여 죽게 하는데 사용
― Chloropicrin, methylbromide, 시안화 칼륨
⑤ 유인제 : 해충을 유인하는 물질로써 독먹이나 포충기와 같 이 사용되며 방향성물질과 성유인 물질이 있다.
방향성 물질 - 효소 과즙, 당밀, Eugenol
성유인 물질 - 짚시 나방에 대한 Gyplure, 지중해 왕대파리 에 대한 Medlure
⑥ 기피제 : 해충이 작물이나 인축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
― nuphthaleun, dimethyl phthalate, 장뇌
⑦ 불임제 : 해충의 생식세포 형성에 장해를 주거나 난자나 정 자의 생식력을 잃게하여 알을 무정란으로 만드는 데 사용
― Apholate, Tepa, Metapa
⑧ 보조제 : 살충제의 효력을 충분히 발휘시킬 목적으로 사용
ㆍ 전착성 증가 ― 비누, 카제인석회, 비해리성 계면활성제
ㆍ 효력증대 ― piperonyl butoxide, piperonyl cyclonene,
황산아연
(2) 농약의 부작용
① 자연계의 평형 파괴 ② 약제 저항성 해충의 출현
③ 잠재적 곤충의 해충화 ④ 동물상의 단순화 ⑤ 잔류 독성
2) 천적 이용
(1) 척추동물 : 물고기, 개구리, 도마뱀, 새
(2) 무척추동물 : 선충, 거미류
(3) 병원미생물
① 곤충의 세균병 ② 곤충의 균병
③ 곤충의 바이러스병 ④ 곤충의 원생동물병
3) 내충성 이용
(1) 내충성 원인 및 기작
① 조생, 만생과 같은 시기에 관계있는 품종으로써 해충의 발 생기를 회피하여 피해를 경감시킨다.
② 작물의 성상이 관계되어 산란을 방지한다.
③ 산란수는 반드시 적지 않지만 부화한 유충의 생육 또는 활 동이 부진하다.
④ 해충의 발생 가능기는 반드시 적지 않지만 품종에 따라 가 해 방법이 다르거나 보상작용이 현저하게 다르다.
4) 생태적 방제법 : 해충의 생태를 고려하여 발생 및 가해를 경감시키기 위해 환경조건을 변경하거나 숙주자체가 내충성 을 지니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
(1) 환경의 개변
① 윤작 : 방아벌레와 같은 토양 곤충에 대해서는 윤작을 하 는 것이 가장 적당한 방법이고 유연관계가 먼 작물을 윤작 대상 해충의 식성 고려
② 재배밀도의 조절 : 일반적으로 밀식 할 때보다 소식할 때 해충의 발생이 적다.
③ 혼작 : 서로 다른 작물을 적당히 배합하여 충해를 방지
ex) 무우 사이에 밭벼
④ 미기상의 개변 : 해충이 서식하고 있는 포장내의 미기상을 개변함으로써 서식밀도를 낮추고 활동력을 저하
⑤ 잠복소의 제공 : 해충의 습성에 따라 번데기가 될 장소 또 는 활동장소를 마련해주어 유인하여 포살한다.
(2) 피해 회피 : 식물의 재배시기를 조정하면 해충의 발생최성기 를 피할 수 있다.
(3) 토성의 개량 : 주로 토양곤충(굼벵이류, 고자리파리)을 대상
5) 물리적 방제법 : 물리적 작용을 이용하여 방제하는 방법으로 서 기계적 방제법도 이에 포함되며, 약제의 화학적 작용을 이 용하는 화학적 방제법과 상대적인 방법이다.
(1) 포살 : 해충의 알, 유충, 번데기, 성충 등을 맨손이나 간단 한 기구를 사용하여 잡아 죽이는 방법
(2) 등화 유살 : 곤충의 주광성을 이용하여 유아 등에 모이게 하여 죽이는 방법
(3) 온도처리
① 가열법
ⓐ 태양열법 : 열대지방에서 효과적 우리나라 바구미 구제
ⓑ 온탕침법 : 잠두경바구미 구제 70℃ 3분, 60℃ 5분
ⓒ 증기열법 : 온실일 경우에는 51∼55℃에서 10∼12시간
ⓓ 화열법 : 토양 중의 해충구제 ⓔ 적외선법
② 냉각법 : 연속적으로 하는 것보다도 저온→고온→저온의 식 으로 처리하는 것이 사상률을 높임
(4) 기타방법 : 고주파법, 초음파법, 감입법, 침수법
6) 주화성 이용
(1) 유인물질 : 주성 중에서 화학물질에 대한 것을 주화성이라 고 하는데 그 물질에 향하는 반응을 양주화성 이것을 이용 한 것이 유인제 또는 기피하는 주성을 음주성이라 한다.
음주성 이용 기피제
① 먹이유인 물질 : 곤충의 먹이 식물을 발견하는 것을 숙주 선택이라 하는데 이때 관여하는 물질이다.
② 성유인 물질 ③ 집합물질(바퀴)
7) 호르몬 이용 : 곤충의 호르몬 중에서 유약호르몬은 곤충의 뇌 뒤쪽에 있는 1쌍의 샘인 알라타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며 곤충의 변태를 억제하는 구실을 한다.
(1) methopren : 상품명은 kabat이고 해충방제용 뿐만 아니라 그 작용기작의 특징으로 6령충 누에를 만들어 더 큰 고치 생산
(2) kinopren : 상품명은 Eustar이며 가류이류, 돌깍지 벌레 상 과, 진딧물, 버섯파리류에 적용
8) 페로몬 이용 : 페로몬이란 생물사회에서 정보매체가 되고 있 는 화학물질 중 종내 정보 전달에 관여하는 것을 말한다. 호 르몬과는 달리 체외로 분비되며 동일종의 다른 개체에 작용하 는 생리활동 물질을 말한다.
9) 곤충 생장조절제 이용
(1) 대사 저해제 :변태과정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해 하는 화합물 ex) 주론 수화제(Dimilin)
10) 불임법 이용 : 해충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생식능력을 잃게 한 수컷을 다량으로 야외에 방사하여 이들을 야외의 건전한 암컷과 교미시켜 무정란을 낳게 하여 다음 세대의 해충 밀 도를 경제적 피해수준 이하로 유지시키는데 그 목표
11) 유전학 이용
(1) 교잡불화합성의 이용 : 야외집단과 교잡하면 다음세대에서 불임이 되거나 또는 피사적 영향을 받는 유전인자를 지니고 있는 개체를 대량 생산하여 야외 방사함으로서 밀도를 낮추 는 방법이다. ex) 열대 집모기
(2) 생태적 적응성이 없는 인자를 이용
대개 기후적응성이 낮은 인자 도입하여 겨울에 동사케 함.
12) 법적방제
(1) 국제검역 : 모든 국가에서는 법을 정하여 새로운 해충의 침 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출입 식물과 흙을 검사, 처리함으 로써 국제간의 만연을 예방하고 있다.
(2) 국내검역 : 특정한 식물에 대하여 그 지역간 이동을 제약하 거나 특정 병 해충을 대상으로 그것의 만연을 방지하고 나 아가서는 완전한 제거를 위한 조치를 말한다.
3. 주요 해충의 방제
1) 수도의 해충
① 줄기 식입해충 : 이화명나방, 벼밤나방
② 식업성 해충 : 멸강나방, 벼잎벌레
③ 천업성 해충 : 혹명나방
④ 잠업성 해충 : 벼줄기굴파리, 벼애잎굴파리
⑤ 흡즙 및 virus병 매개 해충 : 벼멸구, 흰동멸구, 애멸구, 끝동 매미충, 벼총채벌레, 노린재
⑥ 근부 식해충 : 벼뿌리 잎벌레, 벼모기붙이
2) 맥류의 해충
① 식업성 해충 : 보리잎벌 ② 잠업성 해충 : 보리 굴파리
③ 흡즙성 해충 : 보리 수염진딧물
④ 식근성 해충 : 아이노각다구, 애우단풍뎅이
3) 산림
솔나방 - 노랑알벌
흰불나방 - 흰불나방 고치벌
솔잎혹파리 - 지구상에 새로이 출현 천적이 적다.
사과혹진딧물 : 잎을 뒤쪽으로 말고 피해
포도 유리나방 : 유충이 포도의 잎을 가해
배나무 방패벌레 : 배나무의 잎 뒷면에서 흡즙
조방아 벌레 : 토양전염 윤작으로 방제
산란에 의한 피해 : 국화하늘소
왕뒷박벌레 붙이 : 괴경형성기에 영향
배추흰나비 월동태 : 번데기
※ 수도의 주요해충
1. 애멸구 : 줄무늬잎마름병(호엽고병) 매개, 검은줄오갈병
2. 벼멸구 : 비래해충
3. 흰등멸구 : 비래해충
4. 끝동매미충 : 수도오갈병 매개
5. 이화명나방 : 유충이 벼의 줄기속을 가해
6. 혹명나방 : 비래해충, 벼의 잎을 말고 가해
7. 벼애나방 :
8. 벼잎벌레 : 성충으로 월동
9. 벼줄기굴파리 : 둑새풀에서 유충태로 월동
※ 보리와 조의 해충
1. 조명나방 : 비래해충
2. 멸강나방 : 비래해충
3. 보리잎벌
4. 보리굴파리
5. 보리수염진딧물 : 보리에서 알로
※ 콩과 팥의 해충
1. 콩나방 : 콩 꼬투내에서 콩알을 가해 , 당속에서 유충태로
2. 콩진딧물
※ 감자와 고구마
1. 감자나방 : 우리나라에서 새로 침입되어 발생
2. 왕무당벌레붙이
※ 채소의 해충
1. 도둑나방
2. 거세미나방 : 줄기를 자름
3, 고자리파리 : 유충은 마늘의 지하부를 가해
※ 과수의 해충 - 사과면충, 사과굴나방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식물보호(산업)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직 공무원, 9급, 지도사 가산점! 식물보호기사 시험 대비 핵심 이론 요점 요약 정리 2장 농약학 (0) | 2022.02.06 |
---|---|
농업직 공무원, 9급, 지도사 가산점! 식물보호기사 시험 대비 핵심 이론 요점 요약 정리 1. 재배학원론 (0) | 2022.02.05 |
식물보호산업기사 시험 볼 때 도움되는 알기쉽게 정리하는 핵심 요점 요약 정리 4. 농약학 (1) | 2021.09.08 |
식물보호산업기사 시험 볼 때 도움되는 알기쉽게 정리하는 핵심 요점 요약 정리 3. 잡초방제학 (0) | 2021.09.07 |
식물보호산업기사 시험 볼 때 도움되는 알기쉽게 정리하는 핵심 요점 요약 정리 노트 1. 식물병리학 (2) | 2021.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