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인 최초 북아메리카 식민지 건설 시도
16세기 영국도 스페인같이 신대륙 아메리카에 관심을 갖게 된 첫 번째 이유가 금은보화였다.
Golden Age of Piracy - Wikipedia
대신 영국은 부를 얻기 위해 스페인인들보다 손쉬운 길을 택했는데,
그건 ㅈㅈㅂ일게이마냥 보물선을 중간에 가로채는 일이었어.
John Hawkins (naval commander) - WikipediaFrancis Drake - Wikipedia
특히 '바다의 개들'(The Sea Dogs)이라고 불렸던
존 호킨스(John Hawkins)랑 프랜시스 드레이크(Francis Drake)
같은 영국의 해적이 큰 명성 떨쳤었지.
Elizabeth I - Wikipedia
당시 여왕이었던 엘리자베스 1세(Elizabeth I of England)는
은밀하게 이들의 활동을 지원했다는 기록도 남아있어.
사실 영국도 16세기 후반에 북미 식민지를 건설을 해야겠다 맘을 먹었는데, 일이 잘 안 풀렸어.
이때 영국엔 북미 식민지화를 주도한 두 사람이 있는데,
Humphrey Gilbert (1539 — September 9, 1583), English adventurer ...Walter Raleigh - Wikipedia
바로 이복형제인
험프리 길버트 경(Sir Humphrey Gilbert)과 월터 롤리 경(Sir Walter Raleigh)이야.
롤리도 해적질 좀 했었던 사람이야.
Large detailed map of Newfoundland and Labrador with cities and towns
먼저 길버트 경은 오늘날 퀘벡 옆에 있는
뉴펀들랜드에 식민지를 건설하기 위해 떠났는데,
폭풍을 만나 실종이 되버려(1583).
Map of Roanoke Island, NC | Visit Outer Banks | OBX Vacation Guide
그 뒤를 이어 롤리는 1587년에
어른과 어른이를 포함한 117명을
오늘날 노스캐롤라이나 해안에 있는
로어노크 섬으로 보냈어.
(자기가 직접 간 건 아님)
Anglo-Spanish War (1585–1604) - Wikipedia
그런데 이듬해 영국과 스페인 사이에 전쟁이 나고(Spanish Armada:1588),
영국에서 로어노크 식민지에 보급선을 보내는 일이 늦춰졌어.
The push for answers to the mystery of the lost Roanoke colony of 1587
3년 뒤 보급선이 섬에 도착했을 때는
사람이 살았었나 싶을 정도로 아무런 흔적도 남아 있지 않았어.
그래서 나중에 사람들은 로어노크 식민지를
'사라진 식민지'(lost colony)라고 불러.
이렇게 엘리자베스 여왕의 별명인
'처녀 여왕'(The Virgin Queen)을 따서 지은
버지니아(Virginia) 식민지 건설은 물거품이 되버려.
때문에 영국은 수십년 간 북미 식민지 건설을 꺼려했어.
*영국의 북미 식민지 건설을 가능케한 유한회사
Note to risky investors: Prepare for the coming financial ...
식민지 건설은 엄청난 비용과 위험 부담이 따르기 때문에
한 두명의 자금으로는 일을 추진하는게 거의 불가능했어.
그래서 왕실이 적극적으로 밀어줘야 하는데,
로어노크 이후로 영국 왕실은 반대했지.
하지만 17세기 초에 새로운 사업 방식이 나타났어.
바로 주식회사 초기의 형태인 유한회사(joint-stock company)야.
지금은 흔하지만, 소규모 집단이 공동 출자를 해서
자신이 투자한 만큼 위험 부담을 지고 이윤을 나누어 갖는 형태는 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사업 형태였어.
Joint-Stock Companies [ushistory.org]
영국에는 유한회사가 런던(London)과 플리머스(Plymouth) 이 두 곳에 생겼는데,
이 회사들 이름이 똑같이 버지니아 회사였어.
James VI and I - Wikipedia
1606년에 영국 국왕 제임스 1세(King James of England)는
런던의 버지니아 회사에게 식민지를 건설할 권리를 부여해.
그 대가로 버지니아 회사는 금, 은, 구리 같은 광물을 발견하면 그 중 20%를 국왕한테 줘야했었어.
Colonial Life in America – Cultural Studies
그렇게 1607년에
104명의 남자들은 버지니아의 제임스 강 어귀(제임스 타운)에 도착했는데.
10 Things You May Not Know About the Jamestown Colony - HISTORY
제임스타운의 자연 환경은 사람이 살기 적합하지 않았어.
U1: Colonial Era
제임스타운의 여름은 온도와 슾도는 높고
늪지대로 둘러싸여 있어서 말라리아 같은 질병들이 들끊고
수질마저 별로여서 이주민들은 고생을 많이 했어
심지어 땅은 모래같아서 물을 잘 흡수하지 못했고,
이주민들이 농작물을 심는 족족 죽어나갔어.
설상가상으로 이 때 심한 가뭄도 와서
식량이 매우 부족했지.
Artist's illustration of the winter of 1607-08.
도착 한 후 첫 겨울에는 이주민 중
38명만 살아남았어.
Starving Time, The
그리고 다음해 겨울은 식량이 더 없어져서
'굶주림의 시기'(The Starving Time)이라고 불렸는데
일부 정착민들은 죽은 사람의 살을 먹으며 연명했다고도 해.
이후에도 어려운 생활은 계속되서 1624년까지
버지니아로 이주한 8000명 중
1300명만 살아남았어.
*존 스미스의 수완과 담배 재배로 살아남은 버지니아
Jamestown Colony - The Starving Time and near abandonment (1609–11 ...
처음에 이주민들은 코르테스와 피자로처럼
원주민들을 착취해 금과 노동력을 얻어내려 했어.
스스로 땀 흘려 일 할 생각은 안했지.
신세계 정복자에 안 어울린다 생각해서 그래.
John Smith - Explorer, Pocahontas & Jamestown - HISTORY
하지만 존 스미스(John Smith) 대위는
원주민들로부터 얻어내는 식량으로는 버티기 어렵다는 것을 알아냈어.
스미스는 코르테스나 피자로가 효과를 봤던 식민지 모형이 안 통하고
식민지가 살아남으려면 직접 일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은거야.
또 잉카와 아즈텍과는 다르게 원주민들에게 금이 없다는 다는 사실에 주목했어.
그래서 스미스는 금세공인(gold smith)들을 불필요한 자원으로 여기고
목수, 어부, 대장장이, 석공을 데려왔지.
John Smith quote: He who does not work, will not eat
그리고 이 스미스가 "일하지 않는 자, 먹지도 못한다" 라는 말을 한거야.
애가 얼마나 단호했는지 알 수 있게 해주는 것 같아.
덕분에 버지니아는 원주민들과 거래를 할 수 있게 되었고,
적어도 망하지않고 계속 살아남았어.
하지만 버지니아는 금을 대체할 자원이 필요했어.
다행히 포카혼타스(Pocahontas)랑 결혼한 존 롤프(John Rolfe)는
버지니아의 기후가 담배 재배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아내고,
바로 담배 종자를 수입해 심고 수확 후에는 영국으로 수출을 해.
ᐈ Cash crop stock pictures, Royalty Free cash crops images ...
이걸로 버지니아 식민지는 떼돈을 벌게되었지.
그래서 버지니아에서는 담배를 cash crop이라고 했어.
담배 재배는 식민지인들에게는 행운이였지만,
원주민들에게는 불행이었어.
Jamestown Colony - HISTORY
담배 재배는 토양의 영양분을 빨리 흡수해서,
많은 담배를 수확하기 위해선 영토를 확대했어야 했는데,
그러기 위해 이주민들은
새로운 땅을 찾아 원주민들의 땅을 침범했어.
때문에 비교적 우호적이었던 둘의 충돌은 불가피해진거지.
원주민들 중 처음 위협을 느낀 사람은
포카혼타스 애비(Powhatan)의 동생,
오페칸카누(Opechancanough)였어.
Jamestown Massacre - 1622 | Devastating Disasters
애가 1622년 부족 연합을 이끌고 제임스타운에
선빵을 날리고싸움이 시작돼.
선빵이라 그런지 제임스타운 시민들은 학살을 당했어.
이걸 명분으로 빡친 양남들은 10년 동안 끈질기게
원주민들을 괴롭히고 결국 멸망까지 시켜.
그리고 원주민들은 서쪽 내륙 지방으로 도망가.
Your Options When You Don't Qualify for Bankruptcy
이 전쟁은 버지니아에게도 큰 타격을 줬어.
담배 재배를 원활히 할 수 없었던 제임스타운은
런던의 버지니아 회사를 파산 직전까지 몰아넣었지.
In 1624 Jamestown became a royal colony. | Sutori
그래서 1624년엔 국왕 제임스 1세는
회사에 대한 특허장을 취소하고, 버지니아를 왕령 식민지로 만들어.
즉 국왕이 임명한 관리, 총독이 통치하는 식민지가 된거지.
The Headright System: APUSH Topics to Study for Test Day - Magoosh ...
그런데도 버지니아에서는 회사 식민지 때부터
실시한 제도들이 유지됐는데,
하나는 1618년 인두권 제도(Headright System)로
회사의 주식을 사는 사람과 가족에게
그리고 일을 열심히 하는 일꾼들에게
50에이커의 땅을 주는 것이고,
First Legislature in the New World, 1619, The General Assembly of ...
다른 하나는 1619년 식민지 의회(General Assembly)인데
식민지 통치, 법안 발안, 그리고 제도 수립 과정에서
모든 장년 남성들에게 발언권을 주는거야.
이건 나중에 대의제 정부 형태(representative system)로 발전하고,
식민지의 민주주의적 자치 전통의 하나로 자리 잡게돼.
미국 민주주의의 시발점이라고도 볼 수 있지.
Flag of Virginia | United States state flag | Britannica
*메릴랜드 식민지 건설
The Governor's Office of Community Initiatives has translated ...
버지니아가 돈 좀 벌자
북쪽에 새로운 식민지가 자리 잡아.
바로 메릴랜드(Maryland) 식민지야.
Charles I of England - WikipediaGeorge Calvert, 1st Baron Baltimore | British statesman | Britannica
1635년 영국 국왕 찰스 1세(Charles I of England)는
자기 아버지의 비서관이였던,
조지 캘버트(George Calvert)와 그의 후손들에게
식민지를 관리할 권리를 줘.
(조지 캘버트는 1632년에 죽었어)
Henrietta Maria of France - Wikipedia
File:British - Henry IV - Google Art Project.jpg - Wikimedia CommonsMarie de' Medici - Wikipedia
메릴랜드라는 이름은 찰스 1세의 프렌치 아내였던
헨리에타 마리아(Henrietta Maria)에서 왔어.
프랑스의 왕 헨리 4세(Henry IV)와
메디치 가문의 마리 드 메디시스(Marie de' Medici)의
딸년이야.
그냥 추가해보자면
찰스와 마리아의 결혼은 서로의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로
논란이 많았어.
(찰스: 영국 국교회 Church of England)
(마리아: 로마 카톨릭 Roman Catholics)
Baron Baltimore - Wikipedia
캘버트 가문은 메릴랜드 식민지를
영국에서 박해받는 로마 카톨릭교도들에게
종교적 피난처로 제공했는데
나중에는 모든 천주교인들에게 종교의 자유를 허용했어.
메릴랜드는 이 점만 영국 국교회만을 허용한 버지니아랑 다른데
정치, 경제, 사회 제도는 버지니와 매우 비슷하게 발전했어.
Lot 267: Johann Baptist Homann map of Virginia, Maryland, and ...
이렇게 이 두 식민지를 묶어 부르는
남부 체서피크 만 (Chesapeake Bay) 식민지가 형성된거야.
※ 혹시 부족하지만 저의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었다면, 단 1초만 투자해 주세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에서 혼자 하기 힘든 더위를 날려버릴 공포게임 엄선 추천 (0) | 2020.08.02 |
---|---|
어른들도 재밌어하는 짱구는못말려 극장판 추천작 모음 (0) | 2020.07.28 |
취준생들을 위한 전현무의 지극히 현실적인 조언 (0) | 2020.07.26 |
바다속 생물들의 기막힌 생존전략 정리 2벉재 (0) | 2020.07.25 |
초등 고학년 n년 해보고 느낀 초등교실의 생태계 정리 1번째 (0) | 2020.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