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9.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9

반응형

69.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9

 

■ 발해·통일신라 장식문화


1. 발해 장식문화


2) 허리띠
남성들이 허리에 차던 대가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가죽 등으로 만들어 찼으나, 왕
등의 특수 계층에서는 금제 허리띠를 했으며 여기에 금을 아주 작은 원형으로
만들어 붙이고 터키석과 수정을 금판에 물려 장식하여 매우 호화롭게 만들어 사용했음

 

3) 장신구
태환식 귀걸이가 있고, 장식 부분이 굵은 원형으로 만들어져 있음
머리에 장식하던 핀이 있었고, 핀은 U자 모양이었음
핀 머리에는 꽃봉오리 모양이 장식되고 벌어진 부분으로 머리에 꽂아 장식함
귀이개 장식이 있는데, 한끝은 귀이개, 다른 한끝은 족집게로 되어 두 가지
기능으로 사용함
중간에 둥근 구멍이 있어 이 구멍으로 끈을 엮어 패용했을 가능성 추측 가능

원뿔형 모자가 있는데, 통일신라의 변자형 모자보다 훨씬 둥글고 투박한 재질로
만든 것으로, 호모(胡帽)의 일종임
같은 벽화에서 이렇게 다양한 모자를 볼 수 있는 것은 발해 복식의 풍부한 면을 알
수 있는 것으로 신분과 관계된 복식 체제 외에도 같은 신분 내에서도 복식이
다양했음을 알 수 있음
남성들은 검은색 가죽신과 삼신을 신고 있는데 모두 신코가 도드라져 있지 않음

 

발해의 허리띠

 

삼채향로
쌍봉백동경과 신선문팔릉동경

2. 통일신라의 장식문화


1) 여성 머리장식
머리를 위로 모아 빗어 하나로 틀어올렸고, 이런 머리는 고계의 일종으로, 머리를
높게 올릴 때 고정시키는 핀 종류가 다양했음
머리를 핀으로 고정시키고 여기에 터키석으로 꾸민 슬슬전(瑟瑟鈿) 빗을 꽂아
장식하여 그 아름다움을 더하고자 하였음
머리는 앞중심에서 뒤쪽으로 빗어 쪽머리같이 틀어 올렸는데, 이는 당시에 유행한
동심계의 일종
v 슬슬전(瑟瑟鈿) : 실크로드 지역에서도 착용되던 고급쓰개로 주로 왕비와 같은
최고 지위 여성들만 사용하던 것임

2. 통일신라의 장식문화
1) 여성 머리장식
머리를 위로 모아 빗어 하나로 틀어올렸고, 이런 머리는 고계의 일종으로, 머리를
높게 올릴 때 고정시키는 핀 종류가 다양했음
머리를 핀으로 고정시키고 여기에 터키석으로 꾸민 슬슬전(瑟瑟鈿) 빗을 꽂아
장식하여 그 아름다움을 더하고자 하였음
머리는 앞중심에서 뒤쪽으로 빗어 쪽머리같이 틀어 올렸는데, 이는 당시에 유행한
동심계의 일종
v 슬슬전(瑟瑟鈿) : 실크로드 지역에서도 착용되던 고급쓰개로 주로 왕비와 같은
최고 지위 여성들만 사용하던 것임

쪽진머리를 한 토용
높은 머리를 한 토용

흙으로 빚은 인형 : 황성동 석실 고분, 용강동 석실 고분을 통해 남녀의 복식과 장식
등을 알 수 있음
홀(笏)은 신라시대 진골과 6두품 남성들만이 관복 착용 때 손에 드는 것이고, 홀을
들지 않은 관리들은 단순히 손을 나란히 잡고 있었음
발에는 신코가 뭉툭하게 살짝 들어 올려 있는 고리(高履)나 육합화(六合靴)라고
하는 장화같이 생긴 신을 신고 있는 것으로 추정함

통일신라시대의 남성 토우에서 수염을 기르고 있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외국인을 표시했다기보다는 성인 남성을 나타내는 표식으로 사용된 것으로 알려짐
수염을 기르는 습관은 고구려에서 제작된 벽화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성인들만 가능했던 것으로 추정함

 

<요약>


■ 발해

발해의 단령은 통일신라의 단령과는 달리 란의 흔적이 없어 다른 형태의 단령이라
할 수 있음
관리들이 단령을 착용하는 경우 계급에 따라 자색, 짙은색, 연한 붉은색, 녹색으로
옷 색을 다르게 정하였음
쌍상투와 같은 머리 모양은 미성년자들이 하는 것이었으나, 발해에서는 쌍상투
형식 머리 모양을 성인 여성들도 즐겨 하였음

 

■ 통일신라
통일신라의 단령은 상의와 하의로 나누어진 것 같아 보이지만, 허리에 대를 두르고
대 위로 옷을 빼내어 그렇게 보일 뿐 상, 하로 나뉜 것은 아님
여성 복장의 기본은 상의와 하의이며, 여기에 표라고 하는 숄과 겉옷인 표의를 더해
입었음
‘표’는 지금의 숄과 같이 어깨 등에 걸쳐 입던 것으로 표는 일반 여성들은 두를 수
없었지만, 4두품 여성까지는 사용할 수 있었고, 허리띠가 겉으로 드러나면서
허리띠 장식에 많은 정성을 기울였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