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사회교육

유아교육학과, 보육교사 필수과목 유아사회교육 요점 정리 11. 도덕성의 발달과 지도 2

공갱! 2022. 12. 30. 15:23
반응형

11강 도덕성 발달과 지도 2

1. 도덕성 발달이론

 

1) 인지발달이론

 

피아제의 도덕적 판단능력에 관한 연구

과실과 훔치기

<> 이기적인 동기로 훔치게 된 행동과 좋은 의도로 한 행동을 비교

- 7세경 까지의 아동: 객관적인 책임을 바탕으로 평가, 즉 물질적인 결과는 동기와 독립적으로 판단됨 의도는 고려되지 않았음

- 7세 이후의 아동: 객관적인책임에 의한 판단이 나타나지 않음. 좋은 의도를 가진 행위자가 덜 나쁜 것으로 판단함

거짓말

- 5세 이하의 아동: 거짓말이란 버릇없는 말이나 나쁜 말로 봄

- 6-8세 정도의 아동: 거짓말이란 사실이 아닌 것을 의미

- 8세경의 아동: 거짓말이란 진실이 아닌 것이며, 실수는 거짓말에 포함시키지 않게 됨

- 10세경 아동: 거짓말은 상호신뢰의 갈등에 빠지므로 나쁘다고 생각하게 됨

자신의 사회적 경험을 통해서야 비로소 자율적으로 선택하게 됨

도덕적 개념발달

- 전 도덕적 단계: 사회규칙에 대해 거의 관심이 없는 시기

- 타율적 도덕성 단계: 규칙이란 전능한 권위자에 의하여 규정된 것이며, 신성하고 불변한 것으로 여김 -> 자아중심성에 기인

- 자율적 도덕성 단계: 규칙이란 사회집단 관계의 유지를 위해 필요한 것임을 알고, 스스로에게 내면화된 도덕적 판단을 갖게 됨

 

콜버그의 도덕발달 단계

기본적으로 정의의 개념과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합리적 사고의 근거를 바탕으로 형성

(1) Level 1: 전관습의 단계

- 옳고 그름의 의미(옳은것: 벌을 피하고 보상을 가져오는 것, 그른 것: 자신이 좋아하지 않는 것)가 자신의 주관적 감정의 측면에서 규정됨

Stage 1- 벌과 복종 중심: 복종이 강조되며 권위자의 위력을 인지하고 그것이 벌을 면하게 해 줌을 인식

Stage 2- 자기욕구와의 교환: 다른 사람이 자신이 필요로 하고 원하는 것을 줄 때 그것이 옳다고 생각함

(2) Level 2: 관습의 단계

- 부모나 사회의 기대, 법 등과 같은 권위에 의해 인정되는 것을 옳은 것으로 생각

- 복종의 개념은 사회집단의 규칙과 기준에 의하게 되며, 확인과 집단의사를 중시하게 됨

Stage 3- 좋은 인간관계의 유지 :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좋은 사람, 선한 사람으로 보아 주기를 바람, , 부모, 친구들과의 신뢰와 존중, 감사의 관계를 유지하기를 원함

Stage 4- 법과 질서의 도덕성: 권위사회체제와 규범의 존중사회체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사회적 의무나 규범에 대해 복종, 법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

(3) Level 3: 후인습 단계

- 옳고 그름의 판단은 객관적인 원리에 의해 이루어짐

- 개인이 공감하는 인류 공유의 기준, 정의, 기본적 권리, 인간존중의 측면에서 판단됨

- 사회정의, 공정성, 기본권 등의 개념이 존중됨

Stage 5- 사회적 관계와 개인의 권리가 존중되며, 사회적 법률이란 상호합의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것으로 봄

Stage 6- 일반적인 윤리적 원리를 기본으로 함: 인간의 삶의 권리, 최대한의 자유, 이러한 기본원리에 대한 진지한 책임 등이 강조됨

 

2) 정신분석이론

 

도덕성의 정의적 측면은 어떻게 발달되는지에 초점을 둠

도덕성 발달을 설명하는 주요요인: 죄의식, 심리 내적인 정서, 동일시 과정

프로이트와 호프만: 사회화의 과정을 반사회적인 충동을 통제해 가는 과정으로 설명

프로이트의 도덕성 발달

- 아동의 본래 상태가 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통해 전환되어 가는 과정

-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중 초자아의 발달과 더불어 이루어짐

- 본능적 충동에 대한 규제: 외적인 억압을 통해 유지됨

효율화를 위해서 성과 공격성에 관한 제약의 내면화과정은 아동기에 시작되어야 함

- 아동기를 통해 외적인 억압이 내적 통제기능으로 전환됨

- 개인내부에서의 통제능력과 기능을 하는 것이 초자아 임

초자아의 형성

- 초자아는 남근기(3-6)에 발달됨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갈등의 해소와 관련됨

- 양심: 행동과 자아의 의도에 대한 내면적 통제를 받는 초자아 기능을 하며, 자아의 의도와 활동을 지켜보고 비판하고 벌줌으로써 통제함

- 양심에 의한 통제는 죄의식으로 경험함

 

3) 사회학습이론

 

도덕 판단보다는 도덕 행동을 더 중요시하며 이러한 행동은 사회적 학습에 의해서 발달된다고 봄

반두라(Bandura)

- 도덕적 행위가 자기 강화적이며, 수단적인 반응인 동시에 사회적으로 인정된 반응이라고 생각

- 특정한 도덕적 행동이나 습관이 다른 사회적 행동과 마찬가지로 직접적 지도와 관찰학습을 통해 습득하게 된다고 주장

아동의 도덕행동에 미치는 요인

강화

- 많은 행동이 강화에 의해서 증가되듯이 도덕적 행동을 증가시키는데 역시 강화가 영향을 미침

처벌

- 나쁜 행동을 억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나 이는 일시적인 억제 효과가 있을 뿐 오히려 분노나 적개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음

- 너무 심하지 않은 처벌: 아동에게 자신의 행위가 그릇되었음을 깨닫게 해준다면 도덕적 통제력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았음

사회적 모델

- 아동의 도덕성 발달에 두 가지 역할을 함

첫째, 유혹을 저항하도록 하여 도덕적 행위를 하도록 함

둘째, 부적절한 행위를 따라하도록 나쁜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