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

임상심리사, 심리학과, 상담사 등 대비 교육심리학 핵심 요약 정리 15. 평가의 도구

공갱! 2022. 10. 9. 16:21
반응형

15강 평가의 도구

1. 인간이해의 방식

1) 인간이해의 세 수준

(1) 상식적 이해

어떤 사람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비추어 그 사람을 이해하는 것 (trait attribution)

그 사람이 속한 집단이나 지역에 비추어 이해하는 것 (stereotyping)

나와의 유사성을 가정하여 이해하는 것 (assumed similarity)

오류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인간이해 방식

(2) 과학적 이해

우리가 알고 있는 학문적 지식에 근거하여 인간을 이해하는 것

지능·적성·성격검사 등 각종 표준화된 심리검사를 통하여 이해하는 방법

오류의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인간을 이해한다는 점에서 상식적인 수준의 이해보다는 높은 수준의 이해 방식

(3) 공감적 이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내면의 심리세계를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서 이해하는 것

상담과정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요소

상대방의 관점에서 그의 감정·경험·생각·주관적 세계들을 이해하는 것뿐 아니라, 이해한 바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까지 포함

물론 이 방식도 오차가 있을 수 있음

 

2) 표준화 심리검사의 활용

(1) 표준화 심리검사 이외의 인간이해 방법

관찰법

자서전법

일화 기록법

질문지법

사회성측정법 등

교육 장면이나 상담 장면에서 학생이나 내담자를 이해하는 수단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방법은 표준화된 심리검사를 사용하는 것

(2) 표준화 심리검사의 의미

표준화된 조건하에서 피검사자들의 심리적 특성들을 측정하기 위한 관찰수단이나 도구

 

표준화 검사 실시상황이나 조건 및 검사의 내용과 자극을 모든 피검사자들에게 동일하게 함으로써 검사결과의 상대적 비교를 보다 타당하게 하도록 해주는 규준(norm)을 설정하는 것

(3) 표준화 심리검사의 제작과정

일반적으로 표준화검사의 제작과정은 대규모적이며 전문적

측정하고자 하는 특성에 관한 심리학적 이론에 바탕을 두고 제작

검사결과를 전국 수준에 비추어 해석할 수 있도록 전국적 규준을 설정

규준이란 평균과 표준편차에 비추어 피검사자들을 비교하는 일종의 잣대로서, 표준화 심리검사의 생명은 이 규준이 얼마나 신뢰할 만한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2. 지적 영역의 평가

1) 학력검사

교사가 출제하는 학급별 고사나 학업성취에 대한 진단용 검사들은 대개 표준화되어 있지 않은 것이 보통

표준화 학력검사나 전국학력평가(: 전국의 동일 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모의고사나 수학능력고사 등)는 표준화되어 있는 것이 보통

2) 지능검사

(1) 개인용 지능검사

검사자와 피검사자가 1:1로 검사

Binet-Simon 검사가 최초

 

Binet-Simon 지능검사
학습부진아를 판별하기 위하여 1905년에 제작됨
정신연령(mental age)이라는 개념을 도입함
정신연령 : 그 연령대에 있는 대부분의 아이들이 풀 수 있는 과제를 어는 연령대 문제까지 해결했는지에 따라 가늠됨

1916, Stanford대학의 TermanBinet 검사를 개정

Stanford-Binet 검사

 

Stanford-Binet 지능검사
비율 I.Q. 도입 : I.Q. = 정신연령 생활연령 x 100
1937에 두 개의 동형검사로 개정되었는데, 비율 I.Q. 대신 편차 I.Q.를 채택하고 있음
1986년 제 4판이 나왔는데, 5,000명을 대상으로 하여 표준화가 이루어짐

1960, 고려대학교의 전용신이 Binet 검사를 표준화함

고대-비네 검사

 

고대-비네 지능검사
1937년판을 모델로 한 것으로서, 4~15세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음
1971년에 개정되었는데, 내용은 초판과 동일하며 평균 100, 표준편차 16편차 I.Q.를 채택하고 있음

Wechsler 지능검사

 

Wechsler 지능검사
언어성 검사와 동작성 검사로 구성
편차 I.Q. 도입 : 편차 I.Q. = 100 + Z(표준점수) x 15
편차 I.Q. : 한 사람의 지능을 그와 같은 연령집단 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로 규정한 것으로서,
대개 평균이 100, 표준편차 15인 정상분포를 가정하고 산출한 I.Q.

 

Wechsler 지능검사
WAIS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 성인용, 17 ~ 64세 대상
WISC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 아동용, 6 ~ 16세 대상
WPPSI (Wechsler Preschool &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 유아용, 4~6.5세 대상

(2) 집단용 지능검사

한 명의 검사자가 여러 명의 피검사자를 검사

Army α검사, Army β검사가 최초

 

Army α검사, Army β 지능검사
1차 대전시 미국에서 모병을 할 때 어느 정도의 지적인 능력이 있는 자원을 선발할 목적으로 제작
알파 검사는 언어성 검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베타 검사는 글을 모르는 피검사자들을 위하여 비언어성 검사로 구성 되어 있음

국내에는 1954년 정범모 박사의 간편지능검사 이후 많은 집단용 지능검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집단용 지능검사는 대부분 Thurstone7PMA 중에서 일부 능력만 측정하고 있으며,

편차 I.Q.를 적용하고 있음

 

3) 적성검사

 

적성(aptitude) 어떤 과제나 임무를 수행하는데 개인에게 요구되는 특수한 능력이나 잠재능력
개인의 일반적인 지적 능력을 가리키는 지능과는 구분됨

일반적으로 적성은 타고난 능력이나 소질이라고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유전적인 성향이 강하나, 학습 경험이나 훈련에

의해 계발될 수 있음

적성을 파악하는 주요 방법

 

관찰법 개인의 특성이나 능력을 어떤 분야의 전문가인 관찰자가 직접 살펴봄으로써 개인의 적성을 파악하는 방법
자연적 관찰법, 실험적 관찰법
표준화검사 가장 일반적인 방법
일반적성검사, 특수적성검사

일반적성검사 : GATB (General Aptitude Test Battery)

 

GATB 적성검사
미국 노동부에서 개발
일반학습능력, 언어적성, 수리적성, 공간적성, 형식지각, 사무적 지각, 운동협응, 손가락 기능, 수공 능력의 9개 요인으로 구성

 

 

특수적성검사

정신운동기능을 측정하는 Crawford 소부품 기능검사(Small Parts Dexterity Test)

미술적 감수성 을 측정하는 Meier 미술판단검사 (Art Judgement Test)

음악적 이해력과 판단력을 측정하는 Gorden의 음악적성검사 (Musical Aptitude Profile)

집단적 음악적성검사인 Seashore 음악재능척도(Measures of Musical Talents)

적성검사의 분류

검사내용에 따른 분류 : 직업적성검사, 적성분류검사

검사목적에 따른 분류 : 진학적성검사, 직업적성검사

국내에는 정범모(1967)가 제작한 일반적성 분류검사를 비롯해서 여러 종류의 적성검사가 개발되어 있음

 

3. 정의적 영역의 평가

1) 성격검사

(1) 자기 보고형 검사

검사지의 문항을 읽고 또는 아니오로 응답

미네소타 다면인성검사(MMPI)

 

MMPI 성격검사
1938, McKinley & Hathaway가 개발 일차적으로 정신과적 진단을 목적으로 함
4개의 타당성 척도와 10개의 임상척도로 구성 full form (566문항), short form (383문항)

캘리포니아 인성검사(CPI)

 

CPI 성격검사
1956Gough가 개발한 480문항의 검사
MMPI를 기초로 만들었지만 (1/3 이상의 문항을 따옴) 정상적인 개인의 사회적 적응과 내부적 적응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검사
학업이나 직업 영역에서 성공을 예언하는데 유용하게 활용
4개 척도군과 18개 척도로 구성

16PF(16 Personality Factor Questionnaire)

 

16PF 성격검사
1949Cattell과 그 동료들이 개발
사전을 통해 인간에게 적용되는 모든 형용사 목록을 추려서 4,500개의 성격 특성 목록을 작성한 후,
이 중 인간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낸다고 생각되는 171개 단어 목록을 선정함
대학생에게 선정된 단어 목록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 평정하게 하고 요인 분석하여 16개 요인을 발견

NEO-PI-R(NEO Personality Inventory-Revised)

 

NEO-PI-R 성격검사
1992Costa & McCrae가 개발(240문항)
CPI, MMPI, MBTI 등의 성격검사들을 결합요인분석 (joint factor analysis)하여 공통적으로 추출되는 요인을 발견
처음에는 신경증(N), 외향성(E), 개방성(O)에 초점을 맞추어서 새 성격검사”(NEO-PI) 라고 하였다가, Big Five 모델을 취하여 수용성(A), 성실성(C)을 추가하여 NEO-PI-R(개정판)을 제작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성격유형검사
Jung의 성격유형이론을 차용하여 제작된 검사
1920년대 Briggs에 의해 연구 시작
네 개 선호축의 조합에 따라 16가지 성격유형 분류
MBTI의 선호 축 : 외향(E)-내향(I), 감각(S)-직관(N), 사고(T)-감정(F), 판단(J)-인식(P)
한국판 Form Q의 경우 총 144문항으로 구성

 

(2) 투사형 검사

, 그림, 이야기 속에 한 사람의 성격이 투사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그것을 분석함

모호한 자극에 대한 반응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그것을 실시해석하는 데 많은 훈련과 경험이 필요

채점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주관적인 측면이 있어서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비판이 있음

 

RorschachInk-blot test

 

Rorschach 검사
1921에 처음 소개되었는데, 잉크반점에 대한 정신분열증 환자의 반응이 정상인의 반응과 차이가 있다는 점을 우연히 발견하고 그것을 검증하기 위해 출발한 검사
10장의 대칭형 그림이 있는 카드 사용
일반적으로 로샤 검사의 해석에 대한 신뢰도나 타당도는 높지 않은 편

주제통각검사(TAT: Thematic Apperception Test)

 

TAT
1935, Murray & Morgan에 의해 개발
모두 20매의 그림을 제시
여러 가지 해석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욕구-압력 관계 분석법이 가장 많이 사용됨
검사자들 사이에 의견 차이가 많아 심리측정학적 근거가 명확하지 않음
아동용 (CAT: Children's Apperception Test)

BGT (Bender Gestalt Test)

 

BGT
1938, L. Bender가 개발한 것으로서 본래 Bender Visual-Motor Gestalt Test이던 것을 1940년에 BGT로 개칭함
Wertheimer가 형태지각 실험에 사용한 여러 기하학적 도형 중 9개를 선택
지시: “9개의 도형을 보여줄 테니 가능한 한 그림과 똑같이 그려보세요.”

 

2) 흥미 검사

 

흥미 (interest) 개인이 어떤 활동이나 과업에 대해 가지는 그 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어떤 종류의 활동에 끌리는 개인의 일반화된 행동 경향

흥미가 곧 그 일에서의 성공을 가져온다고 볼 수는 없음

하지만 흥미와 일에서의 성공 간에는 인과적인 관계는 아니지만 상당한 정도의 정적인 상관을 보임

미국의 경우 Strong의 직업흥미검사와 Kuder의 흥미검사가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데, 이 두 검사 모두 직업지도를 위해 만들어진 것

국내에서 최초로 표준화된 흥미검사는 정범모(1958)가 제작한 중·고교용 학문적 흥미검사로 직업지도보다는 주로 학습지도를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Kuder형 검사

이외에도 이상로·변창진(1972)의 직업흥미검사, 진위교(1979)의 표준화 직업흥미검사, 김정택 등(2001)Strong 직업흥미검사 등이 있음

 

4. 심리검사 활용의 유의점

1) 심리검사 활용의 유의점

검사를 활용하는 사람은 검사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함

피검자에게 검사의 목적, 용도, 내용, 실시방법, 활용방식 등에 대해 자세히 고지해야 함

적정수준의 자격을 갖춘 사람이 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피검자의 인격과 권리를 최대한 존중하고 보장해야 함

적정수준의 자격을 갖춘 사람이 검사결과를 해석해야 하며, 검사결과가 오남용되지 않도록 해야 함

검사결과는 피검자에 대한 부분적인 정보만을 제공할 뿐임을 명심해야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