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개론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5. 사회학의 형성 배경

공갱! 2024. 2. 29. 09:46
반응형

5. 사회학의 형성 배경

 

1) 사회학 형성의 역사적(정치-경제적) 배경


서양의 중세 봉건제 사회는 종교가 신앙생활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제반 영
역에서 지배적인 원리로 작용하여 인간들의 이성을 기반으로 역사와 사회를 설명하려는 사
회학은 출현하기 어려웠음
○  봉건사회의 전근대적 질서가 무너지고 근대사회의 새로운 사회질서가 형성되는 이행의 과정에서 등장


(1) 도시의 발달과 부르주아계급의 형성
○  서구의 봉건사회는 봉건적 토지 소유와 신분제에 기반 한 농업사회. 왕족과 귀족, 성직자 등
토지를 소유한 귀족층이 기사와 군대를 동원하여 농노와 자유농민, 도시의 상공업자 등 평민
층을 지배한 신분사회
○  16세기부터 봉건적 사회질서가 흔들림. 상품 생산 및 교환이 확산되어 시장과 화폐가 발달,
자연과학과 기술의 발달, 계몽주의 사고에 따른 합리주의와 개인주의 사고가 확산 등이 원인
○  도시를 거점으로 부르주아계급 형성
- 부르주아지(bourgeoisie)라는 말은 원래 성으로 둘러싸인 도시를 뜻하는 부르그(bourg)에
서 생김. 도시를 중심으로 상공업과 시장이 발달하고 교역의 중심이 되면서 상공업자들이
도시를 기반으로 부를 축적하고 살았기 때문에 도시민, 부르주아지라 부름


(2) 부르주아 혁명
○  귀족이나 성직자와는 달리 국가에 많은 세금을 납부함에도 정치적 권리는 주어지지 않던 부
르주아지들이 봉건 지배에 저항하면서 정치적 권리와 사유 재산의 보호를 요구
○  1640~1660년 영국의 청교도혁명과 1688년의 명예혁명, 1774년 미국의 독립혁명, 1789년
프랑스의 대혁명은 부르주아지가 시민사회사상의 영향을 받아 봉건왕조에 도전해서 성공한
사례. 아래는 프랑스 혁명의 신분구조

(3) 산업혁명과 자본주의 사회의 발달
○  18세기 중엽에 동력기관과 기계들이 발명되고 이를 통해 대규모 공장제 공업 발달
○  이런 산업혁명으로 부르주아의 자본이 축적되었고 동시에 임금노동을 하는 노동자 계급 성장
○  사회학은 부르주아혁명과 산업혁명에 따른 새로운 사회현상, 사회구성과 변동의 원리를 새로
운 개념과 이론, 방법을 통해 현실적이고 객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태어난 시대적 요구의 산물


2) 계몽사상과 과학주의


(1) 계몽의 정의
○  ‘암흑’이라고 지칭되는 신 중심의 중세에서, 어둠에 가려있었던 인간과 세계와 역사를 이성
의 빛으로 밝게 비추어 새로운 진실을 탐구하고 이성에 어긋난 ‘불합리한’ 정치와 사회질서
를 비판하고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려 함
○  신학적 세계관 및 그에 따른 각종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
○  인간의 이성에 따라 합리적이며 새로운 사회 건설이 가능하다고 보는 인류 역사의 진보에 대한 신뢰


(2) 과학주의
○  신의 조화로 주어진 자연에 순응하는 중세적 사고와는 달리 과학적 지식과 기술의 진보에
의해 이상사회가 실현될 것으로 예측
○  과학의 진보가 인류의 진보를 이룩할 것이라는 과학주의 진보관은 사회학을 창시한 콩트에
게 연결됨
○  다윈의 ‘종의 기원’이 출간되어 당시 신 중심적인 사고를 부인하고 합리적 사고를 추구하던
새로운 시대의 학자들에게 영향을 줌
○  특히 사회학자 스펜서는 다윈의 진화론 중 ‘적자생존’에서 영감을 받아 이론을 정립


3) 사회계약 이론


(1) 홉스 (T. Hobbes)
○  인간에게 가장 본질적인 욕구는 생명체로서의 자기 보전 및 자기 확장에 대한 욕구라 보고
이로부터 자연 상태에서 인간이 누려야 할 권리로서 생명·자유·평등의 자연법사상을 연역함
○  그러나 인간은 자연 상태에서 그런 천부적 권리를 행사하려고 할 때, 이기심으로 서로 대립
하고 적대하여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의 상태로 공포만이 남게 됨
○  자연 상태의 공포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개인들이 이성을 발휘해 자신들의 주권을 한 인격체
에게 양도하여 생명과 안전을 보장받는데 합의해야 함. 이런 합의는 ‘법에 대한 합의’가 아
니라 ‘법을 만드는 인격체에 대한 합의’로서 주권을 한 번에 전적으로 군주에게 양도하는 계
약이고 이때 주권은 분할할 수 없고 절대적인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
○  영국의 크롬웰(O. Cromwell)의 신생공화국에 기대를 걸었던 홉스는 이런 논리를 통해 왕권
신수설에 의존하지 않고 ‘개인들의 동의에 기초하여’ 군주의 주권을 정당화함. 그러나 개인은 ‘신민’으로서 주권자인 군주에게 절대 복종해야 한다는 절대군주제를 옹호


(2) 로크 (J. Locke)
○  로크에게 자연 상태는 자유롭게 평화로운 상태지만 공통의 법률, 권위 있는 심판관, 집행하
는 권력이 없어서 개인 간 분쟁을 해결하기 어려운 상태
○  개인들이 자신의 안전과 재산을 보호받기 위해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시민사회(또는 정치사
회)를 구성하고 재산을 보호해줄 권력(정부)을 형성하는데 동의해야 하고 주장
○  개인들이 구성한 이 권력은 법을 통해서만 행사되어야 하며 이런 권력이 재산을 보호해주지
못하거나 위임의 목적에 위배될 때 저항권이나 소환권을 가진다고 봄
→ 홉스의 절대군주제에 반대하여 입헌군주제나 민주정 지지
○  민주주의적 법치국가의 논리를 보여주었지만 사유재산제도를 정당화하면서 보호받을 재산이
있는 부르주아지의 이해를 옹호하고 경제적 자유주의를 옹호하는 사상이 됨


(3) 루소 (J.J. Rousseau)
○  원래 자연 상태는 자유롭고 평등한 상태였지만 사유재산이 늘어나면서 사회 상태로 넘어 가
고 이기심, 사유재산, 불평등이 한층 늘어 싸움과 전쟁이 발생하게 되었다고 봄
○  초기에는 “자연 상태로 돌아가야 한다.”고 역설했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을 인식하고 사회
계약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함
○  사회계약을 통해 개인은 자연 상태에서 누리던 자연적 자유와 무제한의 권리를 잃는 대신
시민적 자유와 소유권을 얻게 됨
○  주권은 개개인의 결합으로 인민에게 있으며, 주권은 일반의지(general will)의 행사로서 분할
하거나 양도될 수 없음.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일반의지 사상에 입각해 부의 불평등한 분
배를 법으로 통제하고 불평등과 빈곤을 방지할 수 있다고 봄
→ 인민주권론과 공화주의 사상의 토대가 됨


4) 프랑스혁명과 유토피아 사회주의 사상


(1) 계급의 폐지를 추구한 사회주의자들은 자유주의자들이 옹호하는 토지와 재산의
사적 소유가 부의 불평등을 초래한다고 보고, 토지와 재산을 공동 소유하는 공동
체를 건설하려 함


(2) 바뵈프(G. Babeuf), 블랑키(L. A. Blanqui) 등은 정치권력의 장악을 통한 사회변
혁을 추구한 반면 생시몽(C. H. de Saint-Simon), 푸리에(C. Fourier) 등은 시민
사회와 공업사회의 재조직을 통해 공업의 공동체화를 이루는데 중점. 푸르동(P. J.
Proudhon)은 국가권력 자체가 착취와 지배를 낳으므로 자유로운 소생산자들의
협동조합이 중심이 된 지방분권적 연합사회를 건설하려 함


(3) 특히 생시몽은 역사발전의 중심원리를 정치나 권력이 아닌 ‘공업’과 실증과학에서 찾으려 함. 비생산적계급이 아닌 공장주, 수공업자, 상인, 학자 등 공업계급 또는
생산계급의 손에 정치권력을 위임해야 한다고 봄. 자본가와 노동자의 대립보다 비
생산 계급과 생산계급의 대립에 주목


5) 국민국가와 국민주의(민족주의)


(1) 구교와 신교 간의 30년 전쟁 이후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을 통해 가톨릭 제국
으로서의 신성로마제국이 붕괴하고 현대적 국경의 틀이 갖춰지면서 근대적 주권
국가 체계로서 국제관계가 형성됨
○  ‘제국’에 대한 추구를 공식적으로 포기하고 국가 간 힘의 균형을 이루려 함


(2) 군주들은 영토 내 통치권 강화와 중앙집권화 추구. 중앙집권적 통치를 위해 영토
내 국민의 일체감 주입 필요가 있었지만 국민감정 형성은 쉽지 않음
(3) 국민주의 혹은 민족주의가 적극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프랑스 혁명을 통해서임


(4) 프랑스혁명을 통해서 국민주의(nationalism)가 적극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함. 혁명
을 주도한 프랑스의 부르주아는 자신들이 국민(nation)이라면서 국민이 모두 참여
해 동등한 권리를 누리는 정치공동체 건설을 주장하고 이를 통해 국민이 정치공
동체에 대한 소속감과 일체감을 갖게 됨


(5) 유럽왕조들이 프랑스혁명에 간섭하자 프랑스인의 대외적 국민감정이 변화하여 국
민주의가 대내적 일체감을 통한 대외적 공격의 수단이 되기도 함


(6) 국민주의 이념은 계급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
○  피지배대중인 프롤레타리아(노동자) 계급
- 입헌적 민주주의, 공화주의 질서를 확립하는 해방
○  부르주아(자본가)
- 대내적 결속을 위해 피지배층을 동원하고 지배를 공고히 하는 수단


(7) 국민국가와 국민주의의 형성은 맑스, 베버, 뒤르켐 등 초기 사회학자들이 국가와
권력의 성격,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 등을 규명하는 이론과 사상을 전개하는 데
큰 영향을 줌


6) 자유시장경제 사상


(1) 이기적인 욕구에 기초한 개인들의 투자나 생산 활동이 자유로운 시장의 교환을
통해 조절되어 사회 전체적인 부를 낳게 된다고 생각으로 자유시장경제 옹호
→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


(2) 스미스의 자유시장경제 사상은 당시 사람들이 시장경제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크
게 기여했지만 시장경제에서 이기심의 원리가 어떻게 독점과 불공정 경쟁을 낳게

되는지, 국가권력이 어떻게 자본가계급의 이익을 옹호하는지, 자본의 사적 소유가
어떻게 공정한 분배가 아닌 노동자에 대한 착취로 나타는지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않음. 이는 맑스를 비롯한 사회과학자들이 자본주의와 국가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출발점이 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