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용문화사 81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3. 고려의 문화 4

73. 고려의 문화 4 ■ 고려 복식 1. 남성 복식 • 머리에 조건(검은 두건)을 쓰고 바지, 저고리, 포를 착장함 • 홍색포를 입고 양옆이 무릎 높이 아래로 트여 있고, 그 사이로 청색 속옷이 보이며, 가는 홍색띠를 매고 있음 2. 여성 복식 • 치마 위에 저고리를 착장하거나 또는 통일신라시대 복식과 같이 저고리 먼저 입고 그 위에 치마를 입기도 함 • 치마저고리 위에 흰색 모시로 만든 백저포를 입으며 이것은 남자의 포와 비슷함 • 평상시 포 착용하지 않고, 주로 치마저고리 차림이었으며 향료 주머니를 찼음 3. 고려 복식 • 이제현(1287-1367)의 초상화를 통해 유추 가능함 • 이조년(1269-1343)의 초상화를 통해 유추 가능함 • 수월관음도, 조반(1341-1401) 부인 초상화, 둔마리 ..

미용문화사 2024.02.15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2. 고려의 문화 3

72. 고려의 문화 3 ■ 고려 예술가 1. 고려 회화 – 도화서를 설치하여 화가를 양성함 • 이영 와 이광필 • 공민왕 • 혜허 • 이성류 • 고연휘 • 일반 그림과 불교화로 구분하고 있음 • 섬세한 필력과 자연스러운 조형, 정교한 문양 등으로 우수성과 독창성이 있었음 2. 글과 쓰기 예술 : 배운 사람들의 기본적 교양으로 자리잡음 • 대감국사 탄연 - 단아하고 깊이 있는 글로 유명함 - 고려 후기까지 서예에서 탄연체의 영향이 지속되었음 • 이암 - 고려 말 최고의 명필로 해동명적 전집 만들었음 - 단군세기의 저자 - 원과의 교섭 통해 조맹부의 송설체 들어오면서 시대적 유행으로 이암과 같은 글 잘쓰는 사람이 만들어짐 3. 고려청자 • 고려인들의 예술적 재능과 창의력으로 제작되었음 • 형태가 지니는 선의..

미용문화사 2024.02.14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1. 고려의 문화 2

71. 고려의 문화 2 1. 일반적 특징 • 음식 - 불교의 영향으로 고기 대신 유밀과를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었음 -육식문화가 쇠퇴한 것으로 아주 먹지 않은 것은 아님 - 젓갈의 경우 신분의 귀천과 상관없이 좋아했음 - 술안주는 어포, 육포, 생선, 채소가 있었음 - 고려시대 양수척은 고리짝 제작/판매 외에 사냥, 도축업을 생업으로 삼음 - 국수를 식용한 기록이 있음 - “국수를 먹는다/팔았다”는 기록이 있음 - 은 고려에서 밀이 귀하다보니 국수도 귀한 음식으로 특별행사가 있을 때 주로 먹었고, 에서 사찰에서 면을 만들어 팔았다는 기록있음 - 만두를 파는 쌍화점이라는 것이 생겼음 • 문학 - 시조가 처음으로 등장한 시기 - 청산별곡, 가시리 등의 고려가요 등장함 -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위..

미용문화사 2024.02.13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0. 고려의 문화

70. 고려의 문화 ■ 고려 문화 1. 일반적 특징 • 918년~1392년까지 약 474년간 한반도에 위치했던 전제군주정 불교 국가임 • 918년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였고, 한반도의 대부분 지역을 지배하였음 • 통일신라를 이어 불교 문화가 크게 발달하였고, 현재 대한민국 불교신자 수에 영향을 미침 • 국호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의미임 • 화려한 귀족문화 - 앞서간 기술력 +아름다움 예술품 = 귀족의 집권기 때 가장 번영했음 - 한반도 국가를 “고려”라 칭할 만큼 강한 인상을 줬음 - 일본의 경우 고려는 명품 프리미엄을 의미하는 고유명사로 사용하기도 하였음 - 조선의 배타적 문화에 대비되는 개방적 문화를 지니고 있음 • 귀족 - 문무양반을 중심으로 국가에서 과전, 공음전 등의 토지를 받고 국학..

미용문화사 2024.02.12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8.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8

68.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8 ■ 발해·통일신라 남성 의복 2. 통일신라 의복의 종류별 특징 1) 남성 의복 • 관리들과 마찬가지로 둥근 깃의 단령을 입고 머리에는 복두나 변(弁)자 모양의 삼각뿔 모자를 썼음 • 일반인의 경우는 복두보다는 변(弁)자 형태의 삼각뿔 모자를 많이 쓰고 있으며, 복두의 형태도 관리들의 복두와는 달리 비교적 간략한 형태를 갖고 있음 • 삼각뿔 모양의 모자는 삼한시대부터 사용되어 통일신라시대에도 계속 착용된 우리 나라 고유의 모자로, 갑이라고도 불렀음 • 모자는 변(弁)이라는 글자 모양과 같이 뿔 모양으로, 모자에 달린 끈으로 턱 밑에서 고정시켜 착용함 • 단령은 관리들의 단령과 마찬가지로 둥근 깃이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음 예를 들면 옷길이가 종아리 중간 정도까지 오며, 옷..

미용문화사 2024.02.11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7.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7

67.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7 ■ 발해·통일신라 남성 의복 1. 발해 의복의 종류별 특징 1) 단령 • 단령의 형태는 둥근 깃에 길이가 매우 긴 겉옷으로 관리는 물론 일반인들도 착용할 수 있었음 • 관리들이 착용하는 경우 계급에 따라 자색, 짙은 색, 연한 붉은색, 녹색으로 옷 색을 다르게 정하였음 • 단령의 길이는 매우 길어 발등을 충분히 덮었고, 지면에 닿을 정도로 길었음 • 양 옆이 트여 있는데 그 트임은 허벅지 정도까지 트여 안에 입은 바지 등의 옷 색을 볼 수 있었음 • 통일신라와는 달리 아랫단에 덧댄 단 장식인 란(欄)의 흔적을 볼 수 없어 통일신라와는 다른 형태의 단령이라 할 수 있음 • 반면 소매는 매우 길어서 손을 덮고도 남으며 소매통도 매우 풍성함 2) 반비 • 단령 외에 반비를 입고..

미용문화사 2024.02.10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6.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6

66.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6 ■ 발해·통일신라 복식 1. 발해 복식의 일반적 특징 • 지위에 따라 달랐고 방한용으로 담비나 표범 가죽으로 만든 가죽옷을 입었음 • 발해의 담비 가죽은 수출품으로도 유명하였고 용주의 면포와 옥주의 면, 현주의 포 등 직물도 유명했음 2. 통일신라 복식의 일반적 특징 • 기존 신라 복식을 바탕으로 중국의 당나라와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음 흥덕왕은 “다른 나라의 것을 진기하게 여기고 우리의 것을 소중히 여기지 않는 풍조가 가득하다”하여 이를 고치려 했음 • 각 계급의 남녀 별로 사용 가능 한 것과 사용 불가능 한 것을 구분하여 상세하게 규정하였고, 계급에 따라 재질의 품질을 결정하였음 • 다양한 공예 기술과 재질은 당시 생활상태를 추정할 수 있고, 다양한 계층의 수요를 충족시..

미용문화사 2024.02.09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5.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5

65.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5 ■ 발해·통일신라 예술가 2. 통일신라의 예술가 • 통일신라 대표적 화가 1) 솔거 : 분황사, 관음보살상 / 단속사,유마상 / 황룡사, 노송 2) 정화, 홍계 : 흥륜사 보현보살상을 그린 승려화가 3) 금박 유물 ‘선각단화쌍조문 금박’ : 통일신라 시대 금속공예의 정수를 보여 주며 현대 기술로 재현 불가함 ■ 발해 • 발해의 토기는 고구려계와 말갈계로 구분되며 고구려계는 흑색, 회색계의 높은 온도에서 구운 토기로 표면은 매끈하게 연마되어 있고, 말갈계는 적갈색이며 낮은 온도에서 구운 것으로 토기 입구에 덧띠무늬가 부착되어 있음 • 궁전과 관청, 집, 사원, 남아 있는 절터 등을 통해 건축 양식 유추가 가능하고 고구려의 건축 양식을 이어받아 고구려 특유의 난방시설 ‘구들’..

미용문화사 2024.02.08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4.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4

64.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4 ■ 발해·통일신라 건축 2. 통일신라의 건축 양식 3) 불사건축 • 금당이 가람의 중심이 되었으며 금당의 전면 양측에 2개의 탑을 세움 • 중기 이후 밀교, 선종의 성행으로 내적성찰을 중요시하게 되어 산지가람을 조영 불국사, 경북 경주, 536년(법흥왕 27년) 창건 김대성에 의해 건축 다보탑과 석가탑을 중심으로한 이탑식 가람배치 • 이탑식 가람배치 : 감은사지(경북 월성), 사천왕사지(경북 경주), 망덕사지(경북 경주), 천군리사지(경북 경주), 실상사지(전북 남원), 석굴암(경북 경주 토함산) 4) 주거건축 • 신라와 통일신라의 주거건축은 상호유사하며 시대적 구분이 명확하지 않음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당시의 주거양식에 관한 기록이 전래 - 건축규제와 가사제한 골품제..

미용문화사 2024.02.07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3.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3

63.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3 ■ 발해·통일신라 건축 1. 발해의 건축 양식 • 궁전, 관청, 집, 사원, 남아 있는 절터 등을 통해 건축 양식 유추가능 • 고구려의 건축 양식을 이어받아 고구려 특유의 난방시설 ‘구들’ 사용함 • 발해 건물터에서 잘 다듬은 주춧돌과 녹색유약을 발라 구운 주춧돌 장식, 용머리 상, 화려한 무늬와 기와 등 건축 부재에서 발해 특유의 특징을 알 수 있음 v 용머리 - 건물 기단에 끼워 넣어 장식했던 것으로 형태, 조각기법은 같음 - 귀밑까지 찢어진 입, 날카로운 이빨, 튀어나온 눈, 갈퀴 등 악귀를 물리칠 수 있는 상서로운 용의 모습을 나타냄 2. 통일신라의 건축 양식 1) 도성건축 • 신라시대 이래 경주를 지속적으로 도읍으로 함 • 695년(효소왕 4년) 황룡사를 중심으로..

미용문화사 2024.02.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