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개론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21. 보편적 성숙과 사회통합 과정으로서의 사회화

공갱! 2024. 3. 12. 22:24
반응형

21. 보편적 성숙과 사회통합 과정으로서의 사회화

◆ 사회화에 대한 이론의 두 가지 경향


사회화 이론들은 관점에 따라 ‘사회화의 보편적 기제’에 관심을 기울이기도 하고, ‘사회화의
차별적
특수적 내용’에 관심을 기울이기도 함. 이는 각각 ‘인간의 성숙’ 또는 ‘사회통합’의
시각에서 바라보기도 하고, ‘억압과 지배’ 또는 ‘사회갈등’의 시각에서 바라보기도 함
■  전통적인 사회화에 대한 이론들은 갓난아이들이 기존 사회의 행동 양식, 규범, 가치관을 습
득하면서 사회에 적응해 가는 과정이나 신체적
정신적 지적 성숙을 통해 사회규범과 질서
에 통합되어 가는 보편적 과정에 주목
→ 이런 관점에서는 기존의 규범이나 질서에 어긋나는 사고나 행동을 하는 사람들은 비정상
적이거나 일탈적인 사람으로 규정하고 사회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봄
■  개인이 속한 가정, 집단, 세대, 계급 등의 상황에 따라 행동 양식과 가치관 등 사회화 내용
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차별적이고 특수한 과정이기도 함
■  사회화의 내용이 차별적이라면 어떤 가치관이나 규범을 보편적이라 규정하고 어떤 내용으로
개인을 사회화할 것인지가 한 사회의 지배와 통제를 둘러싼 갈등과 투쟁의 중요한 요소가
됨.
■  예시 : 음란물 규제, 청소년들의 성에 대한 억압, 결혼 미 이혼에 대한 법적 규정, 투표권의
연령적 제한, 불로소득 과세
■  위와 같은 예들이 보편적인 것처럼 사회화되면 사회의 지배 세력이 지배를 정당화하는 수단
이 될 수 있음


1) 쿨리(C.H. Cooley)의 영상자아(looking glass self) 이론


(1) 개인이 사회 환경 속의 다른 대상들처럼 자신을 대상으로 보는 과정을 통해 자아
를 형성한다는 것


(2) 개인들이 상호작용을 할 때 서로의 몸짓을 해석하고 이 과정에서 자신의 몸짓이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해석되는지 상상하고 평가하며 이로부터 자신의 이미지,
자아감정, 태도를 끌어냄


(3) 자신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생각이나 판단을 거울삼아 자아관념을 형성해가는 자
아를 ‘영상자아(looking-glass self)라 불렀는데 이는 자신을 대상화하여 평가하
는 자기 성찰성을 강조함


2) 미드(G.H. Mead)의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


(1) 사회를 개인들 간의 적응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조직체로 봄


(2) 개인들이 서로 이해하고 의사소통 할 수 있는 매체로서 ‘의미 있는 상징(symbol)'
을 중요시함. 개인 간의 상징적 상호작용은 사회적 상황 속에서 몸짓(gestures)이
나 언어를 통한 의미 교환, 즉 의사소통으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공유된 경

험의 세계가 형성됨


(3) 사람들이 상호작용 과정에서 자신을 타자의 입장에서 보게 된다는 점 강조.
■  I 와 me의 구분
- 자아를 ‘자신의 눈으로 바라보는 나’인 주체적 자아 (I)
- ‘타자의 눈으로 바라보는 나’인 대상적 자아(me)
- 주체적 자아는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자아, 대상적 자아는 자신의 행위를 대상화하고 그
결과를 성찰함으로써 생겨나는 자아
→ 어린 시절 상징적 몸짓을 통해 발달하는 자기 성찰성이 ‘주체적 자아와 대상적 자아의
통합체’로서 자아의 인성을 형성하게 됨


(4) 놀이(play)-게임(game)-일반화된 타자(generalized others) 단계
■  유기체가 성숙하면서 거치는 자아발달 단계
① 놀이 (play)
- 의미 없는 흉내나 모방을 넘어 자아상이 도출될 수 있는 최초의 역할취득 단계인 놀이
- 다른 사람의 역할이 지니는 의미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그 역할을 흉내
- 제한된 수의 타자의 시각만을 생각하며 단순한 ‘타자의 역할 취하기’ 단계
- 예시 : 엄마, 아빠, 아이의 역할 흉내 내기 놀이
② 게임 (game)
- 자신이 참여하는 조직된 활동에서 대부분의 타자의 역할을 취하는 단계
- 게임에 참여하는 개인을 규칙을 이해하고 각 구성원의 역할과 태도를 취함
③ 일반화된 타자(generalized others) 또는 ‘태도들의 공동체’의 역할을 취하는 단계
- 게임에서 개인이 타자의 역할을 취할 때 궁극적으로 사회적 과정 전체의 통일성을 표상
하는 타자의 역할을 개인에게 제공한다는 것인데 이런 타자가 바로 ‘일반화된 타자’
- 이 단계에서 개인은 공동체의 전반적인 관점, 일반적인 신념 가치 규범을 취해 내면화함


3) 뒤르켐과 파슨스의 사회통합 이론


(1) 뒤르켐의 사회통합이론
■  19세기 초 공업사회의 발달에 따른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사회통합을 위한 보편적인 규범,
도덕, 가치관의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사회화를 강조함
■ 개인주의화로 인해 아노미 현상이 출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사회통합을 위해 과거의 집합
주의적 규범과 다른 새로운 규범이 필요하다고 봄. 도덕교육을 통해 유기적 연대와 사회통합
을 추구하려 함
→ ‘도덕적 개인주의’를 새로운 규범으로 주창
각 개인의 고유성이 아니라 보편적 인간성에 호소하는 개인주의
‘선한 의지를 지닌 모든 인간의 공동체’를 성취하는 길이라고 말함


(2) 파슨스의 사회통합이론
■  사회화를 통해 사회의 구성원들이 사회체계가 요구하는 보편적 가치나 규범에 통합되어가는

과정에 주목. ‘사회화 기제’를 문화유형(가치, 신념, 언어와 여타의 상징)이 인성 체계로 내면
화되어 인성체계의 욕구구조를 한계 짓는 수단이 된다고 봄
■ 개인이 사회규범의 내면화를 통해 본능적 욕구의 억제와 초자아의 획득을 할 수 있으며, 이
를 통해 사회통합이 이루어진다고 강조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