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이해

문학, 교양, 방통대, 국문학 등 문학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 문학이란 무엇인가

공갱! 2022. 9. 10. 06:42
반응형

제1부 문학이란 무엇인가

1장 총론

1. 문학의 기원(교재 5)

1) 문학의 매체 : 문학의 매체는 언어임. 문학은 언어예술이다.”

2) 에이브럼즈(M. H. Abrams)의 이론

(1) 󰡔거울과 램프󰡕에서 문학의 예술의 형식으로서 정의하는 방법을 제시함

(2) 우주, 독자, 작가, 작품 모방론, 표현론, 효용론, 존재론(객관론)으로 명명함

3) 문학의 기원설

(1) 심리적 욕구설 : 예술의 창작심리, 즉 예술본능을 중심으로 예술의 기원을 고찰하는 경우임

모방충동설 :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유래됨. 충동이 예술을 낳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는 것으로, 그리스 시대 이래 칸트의 유희충동설이 나오기까지 가장 권위 있는 견해였음

유희충동설 : 인간에게는 본디 유희본능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 유희본능에서 예술이 나온다는 것. 칸트의 무목적성의 목적’, 스펜서의 주장 등이 있음

자기과시설 : 허드슨(W. H. Hudson)이 주장한 학설로, 예술은 자기를 과시하려는 본능에 의하여 창작된다는 것

(2) 사회적 욕구설

(Y. Hirn)과 그로세(E. Grosse)발생론적 기원설이 이에 해당함

유희충동설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출발함

예술의 기원이 심미성이 아니라 실용성에 의하여 발생하였음을 밝혀 주는 것임

 

2. 문학의 어원과 속성

1) 문학의 어원(교재 9)

(1) 문학의 어원

문학(literature)은 원래 라틴어 litera에서 왔는데, 그 뜻은 언어로 된 모든 글을 의미하는 letter와 같은 개념이었음

예술적인 글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글도 모두 포괄하는 것이 문학의 원초적 개념임

최근의 문학의 개념은 예술적인 의장이 포함되어 있는 글, 즉 상상력에 바탕을 둔 미적인 범주의 글만을 포괄함

(2) 문학의 장르 : 문학은 예술의 하위 장르로, ‘언어예술

 

2) 문학의 속성(교재 11)

(1) 예술의 어원

예술(art, kunst) : 라틴어 ‘ars’로서 조립하다, 궁리하다의 뜻인데, 어려운 과제를 솜씨 있게 해결할 수 있는 특수하게 숙련된 기술을 가리킴

아리스토텔레스 : ‘테크네(techne)’생활상의 필요에 의한 기술기분전환과 쾌락을 위한 기술로 나누어 후자를 예술로 간주함(‘테크네는 학문과 경험의 중간 형태)

(2) 언어의 두 종류

과학적 언어 : 대상과 언어의 관계가 11의 대응관계에 있음

예술적(문학적) 언어 : ‘내포를 통한 언어의 사용

    과학적 언어 예술적(문학적) 언어
  개념 외연적 언어, 지시적 사용 함축적 의미
  과학적 진술이나 법적 진술 시의 비유나 상징, 소설의 아이러니나 새타이어(풍자)
리처즈 진술이라고 명명함 가진술이라고 명명함
  쿤즈 논증이라고 함
필연성과 타당성으로 연결됨
표현이라고 함
- 공감각과 언어행위임

 

3) 미를 둘러싼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 차이(교재 15)

(1) 플라톤

순수한 최고의 미는 이데아 자체임 그중에도 최고는 선의 이데아를 미의 극치로 꼽음

감각적·현상적 세계에 있는 것은 미의 이데아의 불완전한 반영일 때 비로소 아름다운 것

사랑은 미를 향유하려고 하는 정신의 강렬한 파토스적 충동이며, 일종의 광기라고 함

예술을 일종의 기술(특히 모방적 기술)로 파악함 : 이데아의 모방인 침대를 또다시 모방하여 묘사한 화가가 침대를 만든 직공보다도 낮은 위치에 놓임

회화는 모든 예술 중에서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평가, 연극·조각·건축 등은 회화보다 높이 평가됨. 음악과 시는 가장 창작적인 예술로 포이에시스(poiesis)로 불림

예술가는 미의 이데아로부터 오는 영감이나 신적 광기에 의해서, 향수자는 예술로부터의 쾌락에 의해서 참된 예술적 쾌락을 받아들일 수 있음

(2) 아리스토텔레스

미는 선과 함께 목적인으로서 인식과 운동의 원리이고, 그 주된 형식이 질서와 균제와 한정이므로, 수학적 학문의 대상으로 될 수 있는 것임(󰡔형이상학󰡕)

미는 크기와 질서에 있다”(󰡔시학󰡕) : 예술미 성립의 통일원리를 가리킴

예술이 표현하는 미를 엄숙하고 숭고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골계미와 우아미 등 비속한 것의 아름다움도 인정함

예술에서는 미적 효과로서의 카타르시스(배설·정화)’를 들고 있음. 또 비극은 연민과 공포를 불러일으킴으로써 정서의 카타르시스를 완수한다고 함

 

3. 문학의 네 가지 관점

1) 모방론(교재 20)

(1) 문학을 바라보는 가장 기본적인 관점이자 가장 오래된 입장으로, 문학을 삶의 현실(세계 및 대상)과 연관시켜 정의를 내리는 입장을 말함

(2) 플라톤 󰡔공화국(이상국)󰡕에서 문학은 복사의 재복사라고 비방함 - ‘시인추방론주장, 문학검열제도의 도입 제시

(3)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방을 인간이 지닌 속성으로 파악함 : ‘개연성의 법칙’(의미 있는 허구)

 

2) 효용론(교재 23)

(1) 문학작품과 독자의 관계를 설명해 주는 이론(독자들이 예술작품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 효용론의 분류

공리설(교훈설) : 톨스토이의 예술감화론, 근대 계몽주의자들의 작품 등 - 현실적 효용성 강조(나아가 마르크스주의자들이 문학작품을 계급투쟁의 도구로 사용하려고 함)

쾌락설(오락설) :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충동설, 조선조 양반사대부들의 감인(感人)이나 파한(破閑)이 여기에 해당함(서포 김만중의 구운몽), 호이징가의 호모 루덴스 이론

최재서의 세 가지 쾌락유형 : 관능적 쾌락, 감각적 쾌락(혹은 미적 쾌락), 지적 쾌락 문학에서 요구하는 쾌락은 이 세 가지 유형이 종합된 총체적인 쾌락임

 

3) 표현론(교재 25)

(1) 문학작품이 작가의 창조력에 의해 완성되는 작품이라는 점에 관심을 보이는 관점

(2) 위즈워스 : ‘시는 격정적 감정의 자발적 범람이라고 함

(3) 표현론의 분류

영감설(靈感說) : 낭만주의 예술관(18세기 말~19세기 초), 플라톤의 입장, 뮤즈에 의해 광기가 주입된 것이 시인임, ‘엑스터시(ecstasy)’의 상태, 개성이나 감성 중시

장인설(匠人說) : 고전주의의 견해(17세기 초~18세기 중), 냉철한 이성과 치밀한 계산, 예술작품은 작가의 후천적인 노력이나 조형생리’, ‘상상력의 발로라고 함, 합리성과 이성 존중

 

4) 존재론(교재 27)

(1) 문학작품 자체의 존재가치를 규명하는 관점 : 텍스트의 생명력

(2) 문학텍스트는 동적인 구조’, 즉 유기체임 - ‘문학유기체설’(하나의 문학작품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총체적인 생명체를 이룸)

(3) 기호학에서는 문학텍스트를 자율적인 기호자율적인 실체로 파악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