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이해

영화학과, 방통대 등 대비 영화로 생각하기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1. 파이트 클럽, 욕망과 폭력

공갱! 2022. 5. 7. 09:21
반응형

 

□ 11장 파이트 클럽, 욕망과 폭력

주제 및 영화 소개

(1) 파이트 클럽은 척 팔라닉(Chuck Palahniuk)의 동명소설을 핀처(David Pincher)가 영화화한 작품임

(2) 파이트 클럽을 이성적이고 평화적인 문명에 대비하여 비이성적이고 폭력적인 자연의 저항을 그린

영화로 이해하고 폭력을 긍정한 영화로 해석하기도 한다.

*문명: 이성적, 평화적, 개인주의적, 기만적
자연: 폭력적, 비이성적, 감성적
*폭력의 미학은 문명과 자연의 관계를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의 관계로 대치시킨다.
-자연의 저항->지배계급에 대한 피지배계급의 저항
*<파이트 클럽>은 폭력의 미학뿐만 아니라 정신분석학적 개념까지 같이 이해해야 한다.

(3) 파이트 클럽에서 여주인공 말리와 나눈 사랑을 주목한다면 라캉의 정신분석학적인 해석이 잘 어울린다.

 

영화 줄거리 : 발단, 분신과의 만남, 폭력화하는 파이트 클럽, 파국과 사랑의 자각

 

영화로 생각하기, 생각하며 영화 보기

1. 소비사회

- 소비사회 : 보드리야르가 만들어낸 개념으로 풍요한 소비가 실제적 필요성 때문에 이루어지지 않는 사회를 말한다.

- 기호 : 그 자체로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타자와 연관되어 있어서 그 타자를 자신의 의미로 삼는 것을 말한다. : 분노의 포도

- 기호적 소비 : 어떤 상품을 그 자체의 성질 때문에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본래 어떤 것을 목표로 하는데, 그 상품이

그것과 일정한 정도 연관되어 있어 그 상품을 소비하는 경우를 말한다. 쉽게 말하자면 대리만족이다. : 청바지

-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호적 소비는 욕망을 대신해 상품을 소비하는 현상이므로 욕망을 진정으로 충족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충족되지 못한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계속해서 기호적 소비가 일어난다. 보드리야르는 이를

*소비사회
-실제적 필요성을 넘어서 소비가 이루어지는 기호적 소비
-상품 자체의 성질 때문이 아니라 대리적 만족을 위해 소비
-기호적 소비는 감춰진 욕망을 그 상품이 대신하는 것이므로 근원적으로 욕망을 충족시키지는 못한다.
*욕망의 유동성-충족하지 못한 욕망 때문에 끊임없이 다른 상품을 구입하여 욕망을 충족시키려 하는 것.

욕망의 유동성이라 부른다. : 귀부인의 사치

 

2. 근친상간적 욕망

- 상품을 통해서 만족되는 근원적 욕망을 프로이드는 성적 욕망, 근친상간적인 욕망이라고 말한다. 영화에서 주인공 잭의 근원적 욕망은 근친상간적 욕망으로 여주인공 말라에 대한 잭의 이중적인 태도 (잭 분신인 타일러는 말라와 섹스에

빠지나 잭에게는 말라는 아주 강한 금기의 대상이다)는 이를 보여준다.

- 잭은 말라를 만나기 전 상품소비를 통해 근친상간적 욕망을 충족시키고자 했으나 이루어지지 않자 불면증으로 방어

기제가 나타났다. 환자들의 모임은 상품소비로 충족되지 못한 욕망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이었으나 말라의 출현으로

(*정신분석학에서 어머니는 욕망의 대상이면서 동시에 금기의 대상이다.
-영화에서 잭은 말라를 통해 어머니의 모습을 느끼고 있다.
*잭이 말라를 의식적으로 기피할 때 잭과 타일러와의 분열은 심화되고, 타일러의 폭력성(반사회성)도 심화된다.
*잭이 말라에게 사랑을 느끼게 됐을 때 잭은 자기 자신이 타일러임을 깨닫고 폭력을 방지하기 위해 희생까지 하게
된다.
*결국 이 영화는 어머니에 대한 근원적인 욕망을 어떻게 인간이 충족시킬 수 있는가라는 방식에 대한 물음으로
이어진다.

그 욕망은 더욱 강하게 활성화된다.

 

3. 분신과 상상계

- 라캉은 상징계와 상상계를 욕망의 충족방식에 따라 구분한다.

. 상징계 : 근원적인 근친상간적인 욕망을 대체적인 방식으로 만족시키는 것(영화에서는 상품소비나

환자들의 모임으로 드러난다)을 말한다.

. 상상계 : 유아기의 거울 단계나 도착증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욕망 충족 방식을 말한다. 즉 스스로를

어머니의 욕망 대상이라고 봄으로써 그 자신에 대해서 스스로를 쾌락을 얻는 것을 말한다.

- 상상적 단계에서는 자신과 어머니 사이에 또 하나의 자기, 즉 분신이 나타난다. 상상계적 단계에서

성적 쾌감과 실제적 단절이 일어나는데 이 단절이 외부에 투사되면서 분신이 만들어진다. 분신은 어머니의 욕망의

대상이 되므로 자신은 분신에 대해 증오감을 지니게 된다. 영화에서는 타일러와 말라 그리고 잭의 삼각관계로 나타난다

- 상상계에서 분신에 대한 자아의 태도는 애증과 증오의 관계로 이중적이다.

*라캉-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 철학자
*상징계: 근원적인 욕망을 대체적인 방식으로 만족시키는 것
-소비사회의 기호적 소비도 상징계적 용망충족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상징계적 욕망충족방식은 근원적으로 욕망을 충족시키는 것이 아니므로 한계가 있다.
*상상계: 유아기의 거울 단계나 도착증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욕망 충족 방식(나르시즘)
-거울 단계에서 아이는 어머니가 자기를 안고 있는 모습이 거울에 비추어지자, 자기가 어머니의 욕망대상이라고
착각한다
-어머니로부터 인정받고 사랑받는 것으로부터 인간은 즐거움과 쾌락을 느낌->상상계적 욕망충족 방식
-상상적 단계에서는 자신과 어머니 사이에 분신이 나타남
-분신에 대해서 아이는 사랑과 증오의 이중적 관계를 나타낸다.
-라캉은 분신에 대한 증오감은 동생이 엄마의 사랑을 빼앗아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타일러와 말러와의 사랑은 상상계의 욕망충족방식과 일치한다.
-타일러의 분신에 대한 증오감은 잭과 타일러 사이의 폭력시합으로 나타난다.

 

4. 파이트 클럽과 폭력기계

- 폭력은 영화에서 단계적으로 발전한다. 처음에 일정한 규칙하에서 폭력이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폭력은 영화가 진행되면서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사이의 투쟁으로 발전한다. 그리고 마침내 지배계급이 상징적 폭력에 반성하지 않자

실제적 폭력으로 발전한다. 실제적 폭력을 위해 폭력의 조직화가 이루어지고 폭력을 위한 폭력이 미화된다.

*영화 속 폭력의 출발->문명에 대한 자연의 저항/ 상상계에서 분신에 대한 증오감
*친구들 사이의 시합형태로 행해지던 폭력이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의 투쟁으로 전개->폭력의 사회화
-피지배계급의 상징적 폭력에 대해 지배계급이 강압적인 수단으로 이를 억압하려 하자 폭력은 점차 조직적이고
실제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조직적인 폭력의 모습은 전형적인 나치의 모습과 닮아 있다.

 

5. 사랑의 힘

- 영화에서 폭력이 미화되자 잭은 근본적인 반성을 하는데 이 반성의 자각은 말라에 대한 사랑 때문이다. 잭은 말라에 대한 금기에서 벗어나자 헌신적인 사랑으로 근친상간적 욕망을 승화시킨다. 헌신적인 사랑에 대한 인식은 라캉적인 상상계에서

설명될 수 없고 작가가 제시하는 설명이다.

- 잭의 변화는 잭의 분신인 타일러의 변화를 이끈다. 잭이 헌신적인 사랑을 상징한다면 타일러는 절대적인 파괴성을 상징한다. 이 둘의 관계는 애증의 이중적인 관계에서 절대적인 대립의 관계로 바뀐다. 이 관계변화는 라캉적인 해석하에서 설명될 수 없고 작가가 제시하는 설명이다.

- 절대악에 대하여 절대선의 투쟁은 자기희생으로 나타난다. 영화에서 잭은 자살하고 그를 말라가 잡고 있다.

기독교적 구원의 의미로 영화는 끝맺는다.

(*잭이 폭력에 대한 회의와 반성이 일어난 결정적 계기는 말라에 대한 사랑의 자각이다.

*잭은 자기 자신을 희생함으로써 말라와 세계를 구원하고, 이는 기독교적 이념을 통한 인간의 구원을 제시하고 있다.)

6. 토론과 쟁점

- 폭력의 원인에 대해서 프로이트는 인간에게 폭력적 본성이 내재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소렐은 폭력성을 문명의 기만을 치유하는 원시적 본성으로 제시한다.

- 폭력성을 인간본성에 내재되어 있지 않고 왜곡된 현상으로 바라보기도 있다. 마르크스는 계급적 억압을 위해 폭력을 요청하고 계몽주의는 이성의 한계 내지 결여된 경우에 폭력이 나타난다고 생각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