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이해

영화학과, 방통대 등 대비 영화로 생각하기 핵심 요점 요약 정리 7. 인간의 본성과 삶의 증층성-하워즈 엔드

공갱! 2022. 5. 3. 12:10
반응형

 

□ 7장 인간의 본성과 삶의 증층성-하워즈 엔드

주제 및 영화소개

- 영화는 영국 소설가 포스터의 '하워즈 엔드(Howards End)를 영화화한 작품으로 1993년 아카데미상 및 오스카상

수상작이다.

- 소설가 포스터의 문학적 경향 : 정서적으로는 에드워드시대의 특징(자기만족감과 유복함)을 지니면서 작품 성향은

모더니즘 성격을 지닌다. 사실주의에서 모더니즘으로 넘어가는 길목에서 20세기의 급격한 변화를 모더니즘시각에서 사

실주의를 지켜본다.

- 제임스 아이보리 감독의 시각. 포스터의 사회적 경향성을 자신의 개인주의적 관점으로 영화에서 재구성한다.

사실주의적 관점에서 포스터 소설속에 등장하는 갈등관계를 사회적 문제로 바라보지 않고 '가족'이라는 영역에서

발생하는 일상적 문제로 간주한다. , 포스터의 소설을 서정성 있는 멜로드라마로 재편하고 있다.

- 소설 또는 영화 '하워즈 엔드'의 특징: 20세기 초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영국 중산층 계급의 소시민적 자유주의적 현실인식을 반영한다.

*영국의 소설가 에드워드 모간 포스터(1879~1970)가 쓴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
*에드워드 모간 포스터
-보통 사람들이 갖는 생각의 차이와 내적 심리 및 갈등을 소재로 인간의 본성과 일상적 삶의 현실을 통찰력 있게 그려 낸 작가
-여성의 심리 묘사에 뛰어남
*<하워즈 앤드>
-20세기 초 영국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영국 보통사람들의 소시민적인 삶의 모습과 갈등, 그리고 그것을 헤쳐 나가는 모습을 섬세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배경: 두 가문의 당면해있는 시대적 정황, 20세기 초 영국의 급격한 사회적 변화상을 담고 있다.
자연과 문명, 인간의 본성에 관한 철학적 문제에서부터 부와 빈곤, 계층간의 갈등 등 사회적 문제까지 다루고 있다.)

 

영화로 생각하기, 생각하며 영화보기

1. 사회적 삶의 이중 구조

- '하워즈 엔드'의 부제는 '단지 연결짓기만 하라(Only Connect!)'로 차가우며 오만한 물질주의를 대표하는 윌콕스 집안과 따뜻하고 인간적이나 세상물정에 어두운 슐레겔 집안을 화해와 사랑으로 연결시킨다는 상징성을 지닌다.

- 영화속 가장 두드러진 대비는 사회계층사이에서 드러나는 정신문화와 물질주의의 대비이다.

. 슐레겔가 : 문화적인 지식인층을 대변하며 예술이나 사회적 쟁점에 관심을 가지나 비현실적이다.

. 윌콕스가 : 무감각하게 인간을 대하고 세속적이며 신분이 낮은 사람과 여성을 하대한다.

*1910년대 영국 사회는 빈부차이의 심화, 시골 농본적 생활의 파괴와 더불어 새로운 도시 질서의 대두로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던 시기였다. 그 중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대비 중 하나가 사회계층간의 차이에서 드러나는 세속적 물질주의와 정신문화 간의 대비이다.
그러한 대비가 영화 속에서 예술과 문화를 아끼는 슐레겔 가문, 실리와 재산을 중시하는 윌콕스 가문의 사이의 대비로
나타나고 있다.
*윌콕스 가문: 사회적 억압과 가난을 인정, 세속적 현실에 주목하면서 재산과 명성을 추구
*슐레겔 가문: 세속적 현실보다는 예술이나 사회적 쟁점들에 대해 관심을 갖는 인테리 계층을 대변
이상주의적 낭만과 내적인 삶의 우월성을 확신하며 자유분방한 생활을 추구)

 

2. 생각의 차이들과 양면성

영화는 개인들간의 관계를 드러내면서 일방적인 비난을 가하거나 폄하하지 않는다. 인물들이 지닌 양면성을

균형감있게 보여준다. 특히, 현실적 균형감각의 소유자 마가렛을 내세워 관용의 태도를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영화는

두 집안의 장점과 단점 모두를 관계를 구성하는 요소로 제시하고 그 연결을 강조한다.

*이 영화는 개인들이 갖는 양면적 특성을 있는 그대로의 현실로 보고 인정하면서 그들 간의 화해를 다루고자 하는
원작자 포스터의 의도를 반영한다.
*Only Connect(단지 연결짓기만 하라)
-대비적 특성들을 유지하면서 그것들이 어떻게 화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지를 그리고자 하는 이 영화의 주제
*영화는 사회적 배경이 서로 다른 등장인물들 각각을 통해 그들조차 의식하고 있지 않는 이면적 특성들을 또 다른 시선에서 들여다보고 있다.
*영화는 인물들의 양면적 특성을 비하하거나 펌하하지 않고 그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그들 행동의 동기와
명분을 모두 인정한다. 그러한 인정이야말로 서로 다른 것들의 연결과 조화를 위한 이 영화의 주제.

 

3. 상호 지양과 통합

하워즈 엔드의 마지막 장면(윌콕스가 하워즈 엔드를 마가렛에게 넘겨주겠다고 가족들에게 공표하는 장면)은 다음과

같은 상징을 지닌다. 두 집안의 상호 지양되고 통합된 결과를 윌콕스 부인의 유언의 운명적인 구현과 연결시켜 극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 윌콕스 부인과 마가렛은 두 가지 대비가 그들의 만남을 통해 연결되고 통합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마가렛: 영화에서 조화와 화해의 중심 역할을 시종일관 지속하고 있는 인물

-갈등해결을 위한 마가렛의 태도는 서로 대비되는 것들을 뭉뚱그리는 것이 아니라 양쪽 모두를 수용하면서 조화로운 탐색을 추구하는 관영의 태도로 발전한다.

 

4. 삶과 운명

(1) '하워즈 엔드'라는 집의 상징

상류층과 하류층, 정신과 물질, 세속과 비세속, 도시와 시골, 과거와 미래가 변증법적으로 상호지양되고 통합된 장소이다. 인간과 인간을 연결하는 장소, 전체를 파악하기 위한 부분, 과거와 미래가 이어지는 정신으로서 '하워즈 엔드'라는 집을

선택했다.

*영화 결말에서 두 집안의 차이들이 <하워즈 앤드>라는 집을 통해 궁극적으로 상호 지양 통합되고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정신과 물질,자연과 문명,상류층과 하류층,세속과 비세속,도시와 시골,과거와 미래가 변증법적으로 통합되는 것을 상징
*인간과 인간을 연결하는 장소, 인간과 문명을 연결하는 방향, 과거가 미래로 이어지는 정신으로서 영국의 농본적
전통을 상징

 

(2) 윌콕스 부인의 상징

삶과 죽음을 초월하여 하워즈 엔드 정원을 지키는 느릅나무처럼 운명과도 같은 힘을 상징한다.

*농본적 전통으로 하워즈 엔드를 지켜가고 이끌어 가는 운명같은 힘을 상징.
*윌콕스 부인은 마가렛을 대행자로 삼아 초월적인 힘으로 이 영화를 전체적으로 끌고 가는 운명의 힘을 나타냄
*마가렛이 윌콕스 부인과의 만남에서 느끼는 상호 일체감과 연대감은 윌콕스 부인이 죽고 윌콕스의 아내가 되는
마가렛의 운명을 상징하면서 두 가문의 차이를 극복하고 인간적 삶의 터전으로서 하워즈 앤드를 지켜내고 미래에까지 이어가게 하는 마가렛의 운명과도 연결된다.
*헬렌과 레오나드의 아기: 슐레겔가의 정신문화적 가치와 레오나드의 노동자적 삶의 내적인 연대를 상징하고 미래를
살아갈 그 아이는 이제까지의 모든 갈등 고리의 최정적인 연결체이다.

 

5. 토론과 쟁점

(1) 공리주의적 사고방식

- 절대적이고 선천적인 선의 존재를 부정하는 경험론에 바탕을 둔 사회사상이다. 대륙철학과 달리 인간성은 살아가는 구체적인 환경과 습관에 따라 후천적으로 획득된 것으로 여긴다. 따라서 선 또한 절대적인 기준은 없고 현실적으로 비슷한 성향을 지닌 사람들의 관계에서 최대한 많은 사람에게 최대한 행복을 가져다 주는 것이 선이라고 주장한다.

*공리주의
-벤담에 의해서 제시되고 밀에 의해 정립된 19세기 중반 영국에서 나타난 사회사상
-인간의 본성은 현실적 삶의 테두리 안에서 경험적인 삶의 정황을 통한 그들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는 견해
-절대적인 선의 존재를 부정하며 선천적인 인간의 본성 거부
-인간성은 오로지 구체적인 환경적 요소와 습관에 의해 형성되며 그 형성된 내용 또한 환경의 복잡성만큼이나 중층적이다.
-공리주의는 결국 그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의 관계를 통해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목표로 하는 인간관이라고
할 수 있다.

 

(2) 영화속 공리주의적 사고

- 영화 속 인물들은 전적으로 선하거나 악하지 않다. 영화는 연결과 조화를 강조하여 인간들 사이의 이해를 중요시

여기는 공리주의적 인간관을 반영한다.

(3) 공리주의의 한계

- 인간삶속에서 다중의 지지여부와 상관없이 옳고 그른 것이 있다(예를 들어, 노예제도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조건을 만족시키나 인간존엄성이라는 가치를 침해한다)

(4) 공리주의는 현실적 삶의 개혁에 보수적이다.

(5) 영화의 변증법적 해결방식

- 대립적인 것들 사이의 정체성이 보존되면서 동시에 발전적으로 상호 지양되고 새롭게 통합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마가렛을 통해 현실적인 변화과정이 보여주고 윌콕스부인의 뜻이 헤겔의 절대정신처럼 초월적인 운명의 힘으로 작용하고 있다.

*영화 속 등장인물 개개인의 성격들은 어떤 특징 하나로 환원할 수 없는 매우 복합적이고도 중층적인 성향을 갖고 있다.
->영화는 이 중층적 성향의 어느 쪽도 비난하거나 칭송하지 않고 모두 현실 그대로의 모습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공리주의는 영국의 풍요로운 삶을 바탕으로 형성된 귀족주의적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공리주의는 중산층 안에서의 화해를 이룰 수는 있어도 중산층과 하류층의 갈등에는 어떠한 기여도 하지 않는다.
중산층에게는 현재의 다수가 행복한 한, 그로 인해 생기는 소수의 가난 내지 불행은 어쩔 수 없는 삶의 실상이자 사회적 실패인 것이다.
-마가렛의 조율은 각각의 정체성이 보존되면서도 발전적으로 상호 지양되고 새롭게 통합되는 변증법적인 측면이 나타남
-슈레겔가의 독일 철학적 관점과 윌콕스가의 공리주의적 관점이 윌콕스 부인의 헤겔적 변증법으로 맞물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