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이해

영화학과, 방통대 등 대비 영화로 생각하기 핵심 요점 요약 정리 6. 자연, 삶, 사랑, 아웃 오브 아프리카

공갱! 2022. 5. 2. 14:00
반응형

 

6장 자연, , 사랑, 아웃 오브 아프리카

주제 및 영화소개

- 감독 시드니 폴락의 영화로 1985년 아카데미 최우수 작품상을 비롯하여 7개 부분을 수상

자연에 대한 인간의 태도를 영화속 카렌, 데니스, 브로, 버클리를 통해 전달

*<아웃오브아프리카>
-1943년 아이작 디넨센의 소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이다.
-자연에 대한 인간의 태도를 철학적으로 다루고 있는 영화
*영화에서의 자연
-신적인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자연
-인간을 파괴하는 무서운 자연

 

영화로 생각하기, 생각하며 영화 보기

영화 속 네 명의 주인공은 자연이나 원주민 그리고 사랑에 대한 태도가 대조적이다.

1. 브로 : (1) 자연이나 흑인은 모험을 즐기는 수단적 가치만 지닌다.

(2) 사랑 또한 하룻밤 즐거움의 수단적 가치만 지닌다.

(*사냥꾼. 모험을 즐김.

-모험적이고 행동적인 인물, 쾌락적이고 무계획적인 인물

-브로의 모험적이고 행동적인 태도는 19세기말 제국주의 시대 유럽가의 모험가를 닮아있다.)

2.버클리 : (1) 고전문화에 애착을 지니는 인물로  주체적이고 균형적이며 절제된 삶을 목적으로 하나

허무주의자로서 전형을 보여준다.

(2) 고전문화에서 자연의 의미 : 루소가 찬양했던 이성적 질서로 충만한 자연

(3) 브로와 버클리는 모두 19세기 말 제국주의 시대가 낳은 전형적인 인물

*버클리와 브로는 유럽을 지배했던 고전문화의 말기에 나타나는 두 가지 전형적인 인간상들이다
*브로와 대립된 모습
-유럽문명에 절망한 허무주의자
-유럽의 18~19세기 고전문화에 애착을 느끼는 인물
-버클리의 흑수열병은 자연의 힘이 인간을 얼마나 압도하는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예이다.
-버클리는 흑수열병으로 인한 절망으로 허무주의에 빠져 스스로 죽음을 택한다.
*소말리아 여인
-자연 속에 있는 인간을 치유하는 생명력을 나타낸다.
-영화속 소말리아 여인이 가지고 있는 치유력과 생명력은 유럽문명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보여준다.
*19세기말 유럽의 상황
-정치적으로는 고전적 자본주의 체제가 몰락하고 제국주의 시대가 대두되던 시기
-경제적으로는 자유경쟁적 경제체제가 무너지고 대규모 독점 자본주의 체제가 등장
-문화적으로는 자유로은 개인이라는 고전적인 인간상 대신 익명의 대중적인 인간상이 등장)

 

3. 카렌 : (1) 고전문화의 핵심인 자유로운 개인의 전형을 보여준다. 자신의 의지로 자연을 개척하는 근대 계몽주의자의 모습이다.

(2) 카렌에게 사랑이란 타인을 소유하는 것으로 희생을 해서라도 얻어야 하는 것이다.

(3) 카렌과 데니스는 사랑에 대한 태도의 차이로 대립하나 카렌의 낭만적 태도(환상을 그려내는 이야기를

꾸며내는 능력으로 진정한 사랑과 자유를 가정한다) 때문에 화해한다.

-고전적 문화. 계몽적인 문화의 인간상
-종말에 처한 고전문화를 지켜나가려 했던 의지적인 인물
-카렌의 자연에 대한 지배적인 태도는 원주민에 대한 태도와도 일치한다.
-카렌은 원주민에게 유럽적인 교육을 통해 유럽문화를 강요함
-자연을 개발하려는 카렌의 태도는 유럽고전문화의 정수라고 할 수 있다.
-카렌의 자연에 대한 지배적인 태도는 제국주의적 식민지 지배전략이며 자연을 파괴하는 인간의 무모한 열정이라고 할 수 있다.
-카렌에게 사랑이란 서로의 약속에 대한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카렌이 중요하게 여기는 소유, 결혼, 책임의 개념은 유럽 근대 문화의 세계관과 일치하며, 그 이면에는 인간의 타인에 대한 지배, 강제적 관계의 측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영화에서 카렌은 유럽 고전문화의 정수를 나타내는 근대적, 계몽주의적 인간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고전문화는 인간의 이성을 자연 속에서 실현시키려 함
-고전적인 인간상은 자연이 인간의 힘에 의해 지배될 수 있고, 인간은 세계의 주체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다.

 

4. 데니스

(1) 데니스에게 자연은 인간이 이해할 수 없는 질서를 지닌 대상으로 시인 릴케가 이야기한 '성스러운 침묵'(인간의

합리적 이성을 뛰어넘는 상태)을 상기시킨다.

(2) 데니스에게 사랑은 소유의 대상이 아니므로 서로를 구속하는 결혼을 거부한다.

-현대적, 포스트 모더니즘적 인간상의 모습을 그려낸다.
-데니스는 자연과 인간사이의 상호교감적 태도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데니스가 추구하는 사랑은 구속이 없는 자유로은 사랑으로 포스트모더니즘적인 태도와 일치한다.
*데니스의 자연관
-신의 눈으로 보여진 아름다운 자연
-영혼을 지닌 신성한 자연

 

5. 카렌과 데니스의 통일

(1) 카렌과 데니스는 처음에 원주민, 자연, 사랑에 대한 태도가 대립한다.

그러나 카렌은 자신의 낭만적, 예술적 능력으로 근대계몽주의자의 태도와 사랑의 소유관을 극복하고 데니스와 화해한다.

(*카렌과 데니스의 사랑에 대한 생각의 차이(대립)
-카렌:사랑이란 책임과 소유의 관계
-데니스: 인간은 타인에 의해 소유될 수 없는 존재로 순간적인 만남을 통해서만 사랑이 가능
*카렌의 변화(화해)
-농장의 파괴를 통해 인간이 침범할 수 없는 자연의 위력을 깨닫게 되고 데니스를 통해서 자유롭고 고독한 삶과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을 배우게 된다.
*데니스의 변화(화해)
-총독 앞에 무릎을 꿇는 카렌을 통해 인간과 자연에 대한 책임을 깨닫는다.

 

6. 토론과 쟁점

영화속에서 카렌은 근대의 모습이라면 데니스는 근대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의 모습이다. 데니스의

자연관은 근대인이 생각한 인과적, 기계적 자연관에서 벗어나 전체적으로 순환하는 자연관이다.

*근대의 자연관
-자연을 기계적이고 인간적으로 파악하여 인간이 지배할 수 있는 대상으로 파악
*포스트모더니즘 자연관
-자연과 인간이 함께 더불어 살고 자연을 전체적 유기체 속에서 파악함
-자연과 인간을 하나의 순환체로 파악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