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개론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56.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의미

공갱! 2024. 4. 24. 03:00
반응형

56.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의미

1) 집합행동의 의미


- 사람들이 무리를 지어서 하는 활동이 집단활동(group activity).
제도적 집단활동
* 규칙이나 규범, 질서에 따라 이루어지는 평범하고 정상적인 집단활동.
* 예: 단체 연수, 답사, 체육대회, 한 강의실에서 강의 듣기
공연장이나 운동장에 모여 경기관람.
■  비제도적 집단활동
* 일상적인 집단활동과는 성격이 다른 특이하고 비제도적인 집단활동.
* 예: 집단행동, 집합행동, 사회운동.
- 사회학에서는 잘 조직화되고 단결되어 있는 집단으로 행동하는 경우 사회운동, 느
슨한 형태로 무리 지어 행동하는 경우를 집합행동이라 부름.
- 집단활동과 집합행동
■  위에서와 같이 집단활동이 집합행동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도 있지만 집단활동은 주로
일상적이고 정상적이며 ‘제도적인 집단활동’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음.
■  ‘집합행동(collective behavior)'은 일상에서 이루어지는 정상적인 형태의 집단활동과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음.
① 기존의 규칙이나 규범, 질서를 벗어나거나 변화시킬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활동.
캠페인, 집회, 시위, 봉기, 개혁, 혁명 등과 같이 기존의 일상적 규칙, 규범, 질서에서
벗어나 변화나 새로운 목표를 추구하는 행동이 전형적인 ‘집합행동’
② 우연적이고 우발적인 상황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서 린치(집단테러), 반란, 폭동 등에서
처럼 대체로 ‘비합리적이고 감정적인’ 특성을 지님.
③ 집합 내부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뚜렷한 목표의식이 약하고 상호작용이 일시적이어서
단기간에 끝나는 경우가 많음.
④ 집합의 경계가 느슨하고 불분명한 경우가 많음.
■  집합행동의 전형적인 예로는 '폭동(riot)'이 있음. 이는 기존의 사회질서나 규칙에 대해 불만
을 품은 한 무리의 사람들이 돌발적으로 일으키는 행동
■  예시
* 1992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인종폭동이 났을 때, 인종차별에 불만을 품고 있던 흑인
들이 상가의 시설을 파괴하고 방화하거나 물건을 훔쳐가기도 함.
* 영국에서는 축구경기를 관람하던 도중 흥분한 관중들이 경기장으로 뛰어내려 폭도로 변
한 일도 있음.
* 1964년 페루·아르헨티나의 리마 경기 때 300여 명 사망,
* 1969년 온두라스와 엘살바도르의 축구전쟁,

* 1985년 벨기에 브뤼셀 하이젤경기장에서 영국 훌리건의 난동으로 인한 스탠드 붕괴로
이탈리아 원정 응원팀 39명 사망 등)
* 한국에서는 1971년 서울의 판자촌 철거민들을 경기도 광주 대단지(현재 성남시)에 집단
이주시키는 과정에서, 다수를 차지했던 건설 일용노동직, 하층 판매직, 단순임시노동자
등 수만 명이 주거권 박탈과 열악한 주거환경에 반발해 도심을 점령한 광주 대단지 사건 


2) 사회운동의 의미


① 사회운동의 의미
■  집단활동과 집합행동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집합행동은 사회운동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쓰일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집합행동은 다수의 사람들의 감정의 집합적 분출에 따라 우연
적이고 우발적이며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을 지칭함.
■  이러한 집합행동은 시작이 경과하면서 좀 더 조직적이고 계획적이며 지속적인 형태로 변화
하여 사회운동의 성격을 띠기도 하고 처음부터 더 의식적이고 의도적인 형태로 생겨나기도
함.
■  사회운동(social movement)은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의도적, 조직적, 지속적 형태로
이루어지는 집합행동을 가리킴.
② 사회운동의 종류
■  추구하는 쟁점과 목표, 가치, 행동방식 등에 따라 형태와 성격이 달라짐
■  민족독립운동이나 사회혁명운동은 구성원들의 소속감이 강하고 억압을 피해 비밀스러운 활
동을 하고, 조직된 집단을 중심으로 뚜렷한 목표의식과 계획에 입각해 지속적 활동. 이때의
사회운동은 구성원들의 소속감이 강하고 억압을 피해 비밀스러운 활동을 할 수 있는 조직을
필요로 하게 됨.
■  식민지배세력, 독재세력 등 국가권력이나 지배세력의 물리적 억압이 강력한 상황에서 지배세
력의 기득권에 도전하는 민족해방운동, 반독재민주화운동, 사회혁명운동 등은 비밀조직을 통
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음.
→ 그러나 인도의 정치가 간디(M. Gandhi)가 식민 지배국인 영국을 상대로 해 벌인 비폭력
저항운동처럼 공개적이고 비폭력적인 방식의 사회운동이 이루어지기도 함.
■  지배세력에 의해 법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권리를 요구하는 사회운동들은 흑인민권운동, 여성
운동, 노동조합 합법화 운동 등과 같이 비합법적이거나 폭력적이고 급진적인 성격을 띠기가
쉬움.
■  사상과 표현의 자유, 집회와 결사의 자유가 보장된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대부분 사회운동은
법과 규범을 준수하면서 제도화되는 경향을 보임.


3)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비교


- 가장 큰 공통점은 기본적으로 공적으로 제도화되지 않은 집단적 활동이라는 점으
로 기존의 규칙과 제도를 지키고 유지하려는 국가기관들이나 조직들, 사람들로부터 일탈행동이나 범죄라고 간주.
- 둘 다 집합행동의 과정에서 의사소통, 공감대의 형성, 지도자의 출현, 조직화, 분
업 등이 생김
- 집합행동이 감정적인 행동에 치우치고 잘 조직화되어 있지 못한 반면 사회운동은
조직화된 집단을 형성하여 의도적이고 계획적으로 행동함.
- 집합행동이 일시적이고 단기적인 행동을 보이는 반면 사회운동은 지속적이고 장기
적인 행동을 보임.
- 집합행동은 의사소통, 지도자, 공감대, 조직, 분업 등의 형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으며 비록 형성되더라도 단기적인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거나 대항세력
의 탄압이나 공격에 의해 구심력이 약해지면 쉽게 해체되는 경향이 있음.
- 사회운동은 목표의식이 뚜렷하고 체계화된 조직을 지니고 있어 대항세력의 탄압이
나 공격에도 쉽게 해체되지 않으며 목표의 지속 추구를 위해 조직을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유지해나가는 경향이 있음.


4) 사회문제와 사회운동


- 현대사회는 급속한 사회변화 속에서 이해관계와 가치의 분화, 생활양식의 변화 등
을 겪고 있고 이에 따라 규칙과 규범의 혼란도 발생. 이에 따라 사람들을 여러 사
회문제를 느끼면서 이에 대한 해결을 요청함.
- 민주화된 사회에서 국가는 사회문제에 개입하면서 그 해결을 위해 법과 제도를 만
들거나 개정해나가고 있지만 국가는 기본적인 편파성 때문에 특정한 사회문제에
대해서는 다른 견해를 보이거나 관심을 보이지 않음.
■  예: 기업의 해고자 복직, ‘반올림’ 삼성반도체 산재 처리 문제, 국가보안법 위반 사항, 동성결
혼의 합법화 등등.
- 때로 국가가 수행할 수 있는 행정의 범위나 능력의 한계로 제도적인 방식으로 사
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함.
■  예: 2000년 16대 총선을 시작으로 전개된 총선시민연대의 낙선낙천운동. 2004년, 2012년
에도 지속됨.
- 법적 제도적 방법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또는 기존의 법이나 제
도 자체가 새로운 사회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는 경우, 이에 대한 불만과 저항은 제
도화되지 않은 집단활동, 즉 집합행동이나 사회운동으로 표출될 수 있음.
■  예: 비정규직법, 파견근로법, 임금피크제 등
- 어떤 사회현상을 사회문제로 인식하면서 그 해결을 바라는 집단적 요구가 형성되
면 이런 요구는 집합행동이나 사회운동으로 이어지고 그 결과로 법과 제도, 규범,
문화 등에서 변화가 초래될 수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