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개론

사회학과, 경영학, 방통대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29. 가족의 형태와 변화

공갱! 2024. 3. 20. 11:20
반응형

29. 가족의 형태와 변화

 

1) 가족의 형태


(1) 가족 구성원 간의 권력 관계에 따라 민주주의적 가족과 권위주의적 가족
(2) 가족 관계의 가치 중심에 따라 부부중심, 부자중심, 모녀중심, 형제중심 가족
(3) 가족의 규모에 따라 대가족과 소가족
(4) 세대를 기준으로 1세대, 2세대, 3세대 가족
분류의 일반적인 형태는 핵가족과 확대가족으로 나누고, 확대가족의 하위개념으로 직계가족
을 덧붙임


2) 유럽 가족형태의 변화


(1) 개방형 혈통 가족 : 중세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형태
■  아주 소수의 가족이 거주하나 여타 친족과의 접촉을 포함 지역사회와 상호작용하는 형태
(2) 제한적 가부장 가족 : 16세기 초~18세기 초의 형태
■  핵가족이 여타 친족관계 및 지역사회의 결속력과 구분되는 독립적 실체로 자리 잡음
(3) 폐쇄적 가족 중심 핵가족 : 20세기까지 이어진 형태
■  긴밀한 정서적 결속력을 지녔으며 가족 내의 사생활이 보장되어 자녀양육에 전력하는 가족형


3) 친밀성의 발달과 가족 형태의 현대적 변화


(1) 가정과 직장의 분리와 ‘낭만적 사랑’- 18세기 후반 이후

■  공업화와 더불어 가정과 직장이 분리되고 경제활동에서 분리된 ‘가정’이라는 관념이 출현하
여 사적인 친밀성의 공간이 형성되고 여성이 출산과 양육을 책임지면서 ‘모성’이 강조되며
‘아동기’의 중요성이 증대되어 가정에서 여성의 통제력이 커짐


(2) 사랑과 정욕을 분리하고 ‘정숙한 여성’과 ‘부정한 여성’을 분리하면서 정숙한 여성
의 ‘낭만적 사랑’이라는 새로운 결혼 관념이 형성된 것은 남성 중심적 이중적 규
범을 전제로 한 것.


(3) 하지만 공업화 초기의 노동자계급은 생계를 위해 구성원 모두가 노동해야 했으므
로 성별 분업, 친밀성, 모성애와 같은 관념이 발달하기 어려웠음


4) 대안가족의 형태


(1) 연속단혼제 : 이혼이 과거보다 용이해지면서 여러 차례 재혼하는 연속적인 결혼경
력을 갖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생긴 가족의 형태를 연속단혼제라고 한다.


(2) 개방혼제: 배우자 각자가 혼외 성관계를 가질 수 있는 권리를 포함한 여러 가지
융통성에 동의하는 결혼방식


(3) 동거 : 주로 젊은 층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결혼생활을 시작하기 전의 시험 결혼
의 형태. 특히 미국이나 서구의 대학생 사이에서 성행


(4) 한부모가족 : 점증하는 이혼율과 미혼여성들이 자신들의 아이를 기꺼이 가지려 하
는 데 따라 나타남


(5) 동성부모가족 : 사회적 태도의 변화로 인해 동성 간의 결합도 미국이나 유럽사회
에서는 용인


(6) 독신
(7) 비혈연가족, 주말부부가족, 분거가족, 재혼가족, 공동체가족, 협상된 가족, 복수의
가족 등


5) 한국의 결혼과 가족


(1) 결혼의 형태 변화
■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여성들이 경제활동 참여와 자아성취를 추구하면서 결혼을 늦추거나
거부하는 경향이 존재
■  성과 사랑이 결혼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성별 차이가 사라지고 있
고, 남녀평등 의식이 높아져 남녀 모두에게 부계중심의 가족문화, 가부장적 권위, 성별 분업
등으로부터 해방된 평등하고 민주적인 결혼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음
■  시간이 갈수록 성 의식이나 결혼에 대한 관념도 점차 개방적으로 바뀌어 혼전 성관계나 동
거에 대한 거부감이 줄고,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는 사고도 약화하고 있음
■  전통사회에서처럼 가문이나 집안 배경을 중시하는 중매결혼이 아니라 배우자를 선택할 때
당사자의 애정과 선택을 중시하는 연애결혼으로 바뀜

 

(2) 이혼의 증가와 재혼
■  전통사회와는 달리 결혼에서 결혼의 구속력이 약화하고 성적인 만족, 사랑, 동등한 부부관계
등을 중요시하면서 부부간의 갈등이 심화할 경우 이혼을 선택
■  부부간의 관계가 여성의 경제적 능력과 권리의식의 상승으로 권위주의적, 수직적 관계에서
동반자적 평등관계로 변화되고 있음
■ 평등하게 변화한 관계를 바탕으로 지체된 노인층을 중심으로 황혼이혼이 늘어나고 있음


(3) 전통적 가족제도와 가족규범
■  고려 시대 : 개인을 중심으로 부계, 모계, 처계 등이 결합한 집단으로 양성 간의 관계가 동
위적인 ‘양측적 친속제도’를 따랐고 복합가족이 지배적이었으며 재산상속이나 제사의 상속도
자녀에게 균분 됨
■  조선 시대 : 서열적 질서와 남녀의 엄격한 구분, 강하고 확대된 친족 조직을 특징으로 함.
농경문화를 기반으로 부계혈통 계승에 의한 종족제와 적장자 중심의 직계 가족 형태가 제도
로 확립됨
■  현대의 가족제도와 가족의식
① 대표적 특징 : 부계제, 가부장제, 가족주의가 강하게 잔존
② 과거의 전통적 가족규범의 축소
- 부자관계의 민주적, 평등주의적 관계
-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③ 핵가족의 보편화와 친족 간 유대의 약화
- 외형적인 핵가족화/내면적 효관 념/장남의 경제부양/남아선호 관념
- 가족주의적 가치/ 부모나 형제지간과의 경제적 및 정서적 관계의 중요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