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공연예술

중국학과, 중문학과 및 중국이 보이는 중국공연예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6. 민속극

공갱! 2022. 4. 18. 08:24
반응형

6. 민 속 극

민속극의 개념 :
•공연예술 개념과 범위의 확장
•무대, 극장과 같은 전문 공연장에서 공연되는
무대극으로서의 전통극
•전문 예인의 공연
•양식화된 곡예나 희곡이 아니지만 중국인의 문화나 생활 속에 깊이 뿌리박힌 민속
•특히 민간제의 가운데 공연 예술적 성격을 띤 것이 있음
•이 가운데 벽사 와 기복 을 목적으로 하는 의식 또는 민속 행위를 민속극이라 칭하기로 함 •과거에는 나희儺戱라 칭함
•나儺: ‘귀신을 쫓는다’, 또는 ‘귀신을 쫓는 행위’
* “난難”(X) “탄灘”(X) “나儺 nuo”(O) : •광의의 나희
•협의의 나희 : 나의儺儀, 나무儺舞, 나희儺戱
•나희 / 무나 / 나문화
•제의성과 오락성을 일정 정도씩 지니고 있고, 아직 무대화하지 않고 민속을 통해 존재하는 민간의 의식, 무용, 놀이를 포괄하여 민속극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 다른 접근법 : 무가, 민속춤, 가면극(탈춤), 축제, 소수민족 문화 등
민속극의 분류 :
•궁정나宮廷儺- 원시시대부터 송대 또는 명대까지 궁정에서
•군나軍儺- 군대 내의 의식과 변방 현지의 민속이 결합, 귀주성 안순安順의 지희地戱, 운남성의 관색희 關索戱
•사원나寺院儺- 티베트의 참(羌姆) •민간나(또는 향나鄕儺)

민속극의 구성요소
1. 나의 儺儀 :
•무나 활동의 주요 형식은 의식
•모든 활동은 순서가 정해진 의식에 따라 진행
•종족 나의 순서: 신의 강림을 청하고(請神)
→ 신을 즐겁게 해드리며(娛神)
→ 신을 보내는(送神) 세 단계로 구성

•전문 무사巫師나 나사儺師가 진행하는 경우 조금 더 복잡한 과의科儀가 보태지기도 함
•목적에 따라 살풀이, 축원, 계도, 축수, 기자祈子등의 의식이 추가되는데 이런 경우 각각 다른 과의가 행하여짐

2. 나무 儺無 :
•노래와 춤을 통해 신을 섬기는 일은 무사의 고유의 행위
•무사에게 있어서 무용이란 인간과 신이 소통하는 언어
•원시 무당춤에서 발전한 것도 있고 후기 무용의 영향을 받은 것도 있다.

•신의 강림을 청하면서 무사는 법관法冠과 법의法衣및 법군法裙 차림으로 각종 법기法器를 들고 일정한 방향에 따라 춤을 추며 각종 신가神歌를 부른다.
•신의 강림을 기원하는 나무의 경우 가면을 쓰거나 분장을 하지 않는다.
•신령 또는 망자의 강림을 나타내는 나무의 경우 가면이나 도면塗面이 필요하다.
(호남성 동족 의 동동나 , 귀주 이족의 추어타이지, 사천성의 도조개 , 티벳의 참 등의 의식)


3. 나희 儺戱 :
•나의에서 발전하여 모방의 정도가 증가하여 놀이의 요소와 오락적 성격이 강해진 형태

•원시 신앙의 자연신이 인격화하고, 역사적 영웅이나 선조들의 업적이 신격화하면서 복잡하고 굴절이 많은 신화로 발전해나가며 무격에 의해 전파 세습되게 된다.

•그 전파의 수단은 의식을 통한 신화 인물의 모방과 설창을 통한 그들의 업적에 대한 칭송이다.

•공연목적이 신의 강림을 통해 참여자를 포함한 군중들에게 복을 가져다 주는 것이므로 이때의 관중은 순수한 의미의 구경꾼이라기보다는 의식에의 참여자이기도 하다.

•연극에 준하거나 연극의 이전 단계라는 의미로 준희극准戱劇, 전희극前戱劇의 범주에 넣기도 하고, 무대 위에서 관람을 위해 공연되는 감상용 연극과 구별되는 제의적 연극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민속극의 기원 :
기원 : 상고시대의 나儺, 나례儺禮,
≪주례周禮≫ 하관夏官편
“방상씨方相氏는 곰가죽을 뒤집어쓰고 황금의 네 눈을 지니고, 검은 웃옷에 붉은 치마를 입고, 창을 잡고 방패를 들고, 수많은 부하를 거느리고 구나驅儺를 행하는데, 집안을 돌아다니며 역귀를 쫓는다.”

민속극의 변천 :
•한나라의 대나
방상씨, 진자 120명, 12 신수 (환관이 담당)

•당나라의 대나
방상씨 4인, 동자童子500명(가면), 의례 후 행진

•송나라의 대나
궁중 의례에서 민간 의례로 교방敎坊의 배우가 담당 규모의 확대, 연극적 요소의 강화, 통속과 오락을 지향

민속극의 담당 주체 : •무사巫師(무격巫覡+법사法師)
•무사가 거느린 굿패의 제의와 놀이
•계보와 전통을 중시
•다양한 호칭
•과거 : 무巫, 격覡, 축祝, 영靈
•현재 : 무사巫師, 사공師公, 사낭師娘, 시공尸公, 단공端公, 동자僮子, 선생先生, 장단사掌壇師 등

민속극의 도구 -가면 :
•상나라 때부터 가면이 출현
•주나라 방상씨 가면부터 의례 때 사용
•송나라 이후 무대극에서는 가면 대신 도면塗面을 사용
•가면의 재료 : 나무, 가죽, 종이, 나무뿌리 등
•가면의 착용을 통해 배우는 신, 잡귀, 역사인물로 변신
•가면의 분류와 조형예술적 가치에 대한 전망

민속극의 공연 사례 :
1. 안휘성 귀지貴池나희 :
•지역적 배경: 장강 남쪽에 위치
•명대 익양강, 청양강 의 유행 지역
•나희의 전통이 풍부 : 호도신희, 잡희雜戱, 지희地戱 등
•“나희가 없으면 마을도 아니다”
•농경 위주의 집성촌, 종족 공동체가 지역 공동체를 겸함
•음력 1월 7일-15일 나신대회 거행
•공연 인원 : 회수會首, 관사管事외 배우, 옷상자 담당, 짐꾼,악대, 용상龍床, 의장대
•준비 : 목욕재계, 금욕
•공연준비물 : 우산神傘1자루, 화살과 활 1벌, 둥근 공燈球 1개, 고로전古老錢1~2매, 부채와 부절 각 2자루, 각종 등불 등
•참가자 준비물 : 가정별로 돼지고기 한 덩이, 닭 한 마리, 생선 한 마리, 두부 한 모, 술 한 병, 차 한 주전자, 쌀 한 공기
•나신대회의 제사의식
가. 탈에 신 모시기(迎神下架)
나. 양신 청하기(請陽神)
다. 탈에 강림한 신을 마을 사당으로 모셔오기
(啓聖또는 起聖)
라. 도교신 삼관三官청하기
마. 신년재新年齋
바. 사공에게 묻기(問社公) 또는 토지신에게 묻기(問土地)
사. 역귀 쫓기(逐疫)
아. 지역 신에게 제사지내기(朝廟)
자. 신 보내기(送神)
차. 탈 상자에 탈 모시기(送神上架)

•나신대회의 나무
<우산춤(舞傘)>, <등 굴리기춤(舞滾燈)>,
<붉은 새 잡기(打赤鳥)>, <고로전춤(舞古老錢)>, <회회춤(舞回回)>, <재신춤(舞財神)>, <오성회(五星會)>, <괴성의 점지 (魁星點斗)>, <토지신춤(舞土地)>, <종규와 잡귀(鐘)>, <사자춤>, <죽마타기>, <화관색과포삼낭의교전>,
<길상어미춤( )>, <오창무( )>

•나신대회의 나희
•가면 사용하지만 창, 연기, 각색 등에 있어서는 후대 전통극에 근접
•창의 가락은 청양강, 작품 내용은 남희南戱와 연관
•주요 극목 : 맹강녀孟姜女, 유문룡劉文龍, 포청천包靑天

•귀지 나희의 의의
•민속극의 제반 구성 요소를 갖춘 교과서적 모델
•전통 나희와 세시풍속의 결합 양태 •공연예술사의 활화석적 의의 - 설창사화를 대본으로 사용, 청양강 가락의 보존

2. 산서성 선고나희扇鼓儺戱 :
•지역적 배경
송나라, 금나라, 원나라 때 공연예술의 중심지
(원본院本과 잡극雜劇의 발상지이자 중심지) •민간 축제 새희賽戱, 사화社火, 묘회廟會의 성행
•명명 : 12신가神家가 부채 모양의 선고扇鼓를 들고 제의와 연희를 진행
•주신 : 후토낭낭后土娘娘, (대지 숭배의 잔영, 농촌 제의인 사제社祭와 관련)
•cf) 타 지역 나희의 주신은 나공儺公과 나모儺母
•선고나희(정월 14일부터 3일간)의 진행 순서

제1일 (정월 14일)
가. <제단 준비(擺壇)>
나. <길놀이(游村)>
다. <신을 청함(請神)>, <신을 참배함(參神)>, <신에게 절함(拜神)>
라. <재액을 거두어 들임(收災)>

제2일 (정월 15일)
마. <신이 제단에 내려옴下神>,
<신이 제물을 흠향함添神>
바. <기예를 바침>

제3일 (정월 16일)
바. <기예를 바침>
사. <불꽃놀이(放焰火)>
아. <신을 보냄送神>
이 가운데 제2일과 제3일에 행해지는<기예를바침(獻藝)>만이 놀이에 해당되고 나머지는 제의에 해당된다.

•12명의 신가가 전체 제의를 주도하고
•첫날 <재액을 거두어들임(收災) 에선 ‘마마자馬馬子’가 재액을 물리치는 의식을 거행

•선고나희의 의의
1) 고대 나례의 흔적
2) 대지 숭배의 잔영
3) 고대 나례와 지역 공동체 축제의 결합 양상

3. 추어타이지撮泰吉& 마오구스毛古斯 :
•원시 인류의 관념과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례
•귀주성 고산의 이족彛族마을 의식 추어타이지

*귀주4성 이족의 추어타이지
→ 산신이 조상신의 강림을 청하면 각각 1700, 1500세의 이족 할머니 할아버지가 아들과 함께 등장하여 후손들에게 농경과 불의 사용을 가르치고 생육과 번성 과정을 재현한다. 감상용이라기 보다는 재앙을 물리치고 자손의 번성을 기원하는 의식이다.



*호남성 토가족의 마오구스
→ 토지신과 조상신에 바치는 의식으로 매년 정월이나 3월에 거행한다. 마오구스는 온몸이 긴 털로 뒤덮인 털복숭이 옛사람을 뜻하며, 참여하는 배우들은 벌거숭이 몸에 짚단을 엮어 만든 덮개같이 새긴 옷을 뒤집어쓴다. 선조의 보우를 청하고 민족의 평안과 풍년, 자손의 번성을 기원하는 의식이다.

•추어타이지와 마오구스의 의미
1) 인류의 원초적 삶의 모습 구현
2) 원시 연극의 모습을 반영

민속극 학습의 의의 :
1. 다양하고 풍부한 민속 의식에 대한 이해
2. 중국 문명의 기원과 고대 중국인의 관념 및 생활상에 대한 간접적 체험
3. 중국 공연예술사 이해의 심화, 미해결 부분에 대한 추적의 단초
→민속극의 “살아있는 화석(活火石)”으로서의 가치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