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원론

공인중개사 시험 및 부동산 관련 정보 총집합! 부동산학 원론 4. 부동산 경제론

공갱! 2021. 10. 18. 09:07
반응형

4. 부동산 경제론


1. 부동산시장의 구조

 

(1) 부동산시장의 특성
- 부동산시장이란 양, 질, 위치 등의 측면에서 유사한 부동산에 대해 유사한 가격이
정해지는 지리적 구역으로 정의. 유사한 주택이 지역에 따라 가격이 다르다면, 이
주택들은 서로 다른 시장에 소속.

 

지역적 경쟁(localized competition) = 시장의 국지성
- 부동산시장은 고도로 국지화. 먼저 지역에 따라 여러 개의 하위시장으로 나누어
진다, 즉 지역시장의 특성. 지역간 대체성과 경쟁이 제한. 그리고 부동산은 표준
적인 재화가 아니기 때문에 같은 지역내에서도 다시 여러 개의 하위시장으로 세분.
대체성과 상호경쟁이 제한. 유사한 부동산에 대해 서로 다른 가격이 형성.

 

계층화된 수요(stratified demand) = 시장의 분화
- 부동산시장은 계층화(차별화)된 수요에 따라 분화되는 경향. 수요자들에 의한 시
장의 분화 = 시장(세)분화(market segmentation). 예: 단독주택시장과 공동주택시장,
주택임대시장과 매매시장, 고가주택시장과 저가주택시장.
- 부동산공급자들도 수요의 분화에 따라 점차 전문화되는 경향. 공급자시장의 전
문화 = 시장분리 또는 시장차별화(market disaggregation).

 

공급의 단기고정성 = 어려운 수급조절
- 주택도 단기적으로는 공급이 고정 -> 수급조절이 신속 부, 수급불균형이 장기간
지속 가능. 증가하는 수요에 공급이 신속히 따라가지 부 <- 주택을 건설하는데 수
년의 시간이 소요, 여러 가지 정부규제들도 공급의 제약요인. 실제 매년 신규주택
공급은 기존주택스톡의 2-3%에 불과.

- 반면에 수요는 단기적으로도 크게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높은 가격
변동성. 버블(bubble) 또는 가격왜곡의 가능성.

 

법적제한 = 정부규제

 

거래의 은밀성
- 거래가 공개시장에서가 아니라 사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래내용의 공개화
를 방해. 가격 등의 시장정보를 수집하기가 곤란하고 높은 취득비용.

 

자금의 가용성
- 부동산은 비교적 고가 내구재. 원활한 자금조달 가능성과 낮은 자금조달 비용(이
자율)은 부동산시장을 활성화. 부동산시장은 정부의 금융정책에 민감한 반응.

 

전세계적인 주택가격 급등의 원인?

 

불완전한 시장(incomplete market)
- 지역시장의 성격, 비표준적 상품, 공급의 단기고정성, 정보의 불완전성, 높은 거래
비용, 비교적 고가품 -> 모두 시장의 자유조절기능을 저하시켜 부동산시장을 불완
전하게 만드는 요인.

 

(2) 부동산시장의 기능: 자원배분
공간의 배분
공간의 조정: 대상부동산의 용도 변경
토지이용의 결정: 최유효이용에 할당
정보의 창출

(3) 부동산시장: 완전경쟁시장인가 독점경쟁시장인가?
- 부동산학에서는 두 가지 기본적인 시장구조를 가정. 완전경쟁시장: 무수히 많은
매도자와 매수자, 가격순응자, 동질적 상품, 완전정보, 자유로운 진입과 탈퇴.
- 독점경쟁시장: 이질적 상품, 불완전 정보 등. 이런 측면에서 부동산시장은 독점
경쟁시장의 성격.
- 두 가지 모형 중 어떤 것에 더 가까운가? 독점경쟁모형에서는 공급자가 시장가
격을 결정, 그런데 부동산시장에서 개인이 시장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매우
제한적. 또한 유용성의 기준에 의해 판단하더라도 독점경쟁시장보다는 완전경쟁시
장을 가정하는 것이 훨씬 유용, 즉 설명력과 예측력에서 훨씬 우수.

 

(4) 부동산의 가치와 가격

 

가치와 가격의 구별
- 부동산의 가치 = 장래에 기대되는 편익을 현재가치로 환원한 값 = 장래 편익의
자본환원가치(capitalized value).
- 통상적으로 내재가치(intrinsic value) 또는 본질가치(fundamental value)
- 가격은 시장에서의 실거래가
- 가치와 가격을 엄격히 구별하는 이유는? 부동산은 전형적인 내구재이기 때문.
장기간에 걸쳐 효용이나 수익을 제공하는 내구재의 경우,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이 장래 기대되는 효용이나 수익의 가치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여 가격과 가
치가 종종 불일치. 부동산시장은 불완전하기 때문에 더욱 그럴 가능성.
내재가치 = 가격 + 오차
bubble = 가격 > 내재가치

내재가치의 결정원리
- 부동산의 수명이 무한대라고 할 때, 부동산의 내재가치는 해당 부동산으로부터
발생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수익흐름의 현재가치로 계산. 불확실성(위), 거래
비용, 세금 등은
다고 가정하면, 수익은 임대와 동일.

 

- 만약 임대수입이 매기간 동일하고, 이것이 영구히 지속된다면,


- if R = 2000만원, i = 5%, V = ?

 

2. 부동산에 대한 수요

 

(1) 주택수요곡
- 주택수요는 가구들이 일정 기간 동소비하고자 하는 주택서비스의 양 = 주거면
적. 단순한 구매
구가 아니라 구매력을 수반한 유효수요. 개별수요와 시장수요.
- 주택수요는 유
(flow) 변수 <-> 저(stock) 변수
- 주택수요는 주택서비스의 가격(사용자비용)의 감소
수. 임차인의 입장에서 사용
자비용은 임대
. 자가보유자의 입장에서도 사용자비용은 속임대이기 때문에
주택수요는 임대
의 감소수: Hd = D(R, 다른 요인).
- 장기균형상
에서는 가치 = 가격, 가치 = 임대료/이자율때문에, 주택수요는
가격의 감소
수라 보아도 무방: Hd = D(P, 다른 요인).
- 주택수요곡
은 우하향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 주택 임대
-> 주택소비를 이고 다른 재화의 소비를 증가 -> 주택수요
감소: 대체효과(substitution effect). 또한 주택 임대
-> 실질소득의 감소와
동일한 효과 -> 주택수요 감소: 소득효과(income effect)

 

(2) 주택수요의 결정요인
의 이동과 곡상의 변화
- 중요한 구분: 수요곡
의 이동 = 수요의 변화(change in demand), 수요곡상의
변화 = 수요
의 변화(change in the quantity demanded).
- 가격
요인들에 의한 수요의 변화 = 수요곡의 이동(shift of the demand curve).
동일한 수요곡
상에서 가격의 변화에 의한 수요의 변화 = 수요곡상의 변화
(movement along t
he demand curve).

 

주택수요의 결정요인
- 주택수요
수: Hd = D(R or P, 가구소득, 부, 대체재의 가격, 보완재의 가격, 가구
연령과 가구수 등의 인구구조, 미래에 대한 예상 또는 기대리, 조세, 호도, 이
자율, 자금의 가용성, 기
).

 

주택수요곡의 이동

 

(3) 주택수요의 력성

 

주택수요의 가격력성
Ed = 수요변화율/가격변화율 = %Q / %R(or P)

 

- 력적, 완전력적, 비력적, 완전비력적, 단위력적


중간치를 이용한 력성 계산
-
력성 계산시 일반적으로 기준가격과 수요은 (변화 전의) 최값으로 하지만,
기준이 다
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종종 중간치를 사용하여 계산.

 

Ed = 수요변화율/가격변화율 = (Q/Q+Q)/(P/P+P)

 

가격력성과 임대수입

 

가격력성의 결정요인
- 기간(장기 > 단기), 소득, 부동산의 종
, 대체재의 가용성에 따라 가격력성의
차이. 가장 중요한 요인은 대체재의 가용성. 대체재가 많을수
수요력성이
진다. 주거용부동산은 대체재가 거의 기 때문에 비력적. 실제 주택의 가격
력성 정치 << 1.
- 부동산의 종
에 따라 차이. 대체로 주거용부동산은 다른 부동산보다는 다소 더
력적. 부동산의 종를 더 세분하면 수요는 더 력적. 주택을 다시 아파트, 단
독주택,
도 등으로 더 세분하면, 각각력성 >> 전체주택의 수요력성.

 

주택수요의 소득력성
EY = 수요변화율/소득변화율
- 정상재와
등재. 주택은 정상재. 전체주택에 대한 정치 < = 1.
- 정상재 중에서 사치재(lu
xury goods)? 최인기주거지의 고급주택은 점차로 사
치재의 성격 -> 소득증가에 따라 주택가격의 양
세.

 

강남명품과 미국의 superstar cities 이론”

 

주택수요의 교차력성
-
라에 대한 아파트수요의 교차력성 = 아파트수요변화율/빌라가격 변화율

3. 부동산의 공급
- 부동산의 공급자들이 일정한 기간 동에 기이 공급하려 하고 또한 할 수 있는
부동산서비스의 양. 부동산의 공급은 신규부동산
만 아니라 기존부동산도 포함.
주택의 공급자는 개발
자와 건축업자 등의 생산자만 아니라, 기존 주택의 소유
주도
포함. 주택의 공급 = 기존 주택스톡 + 신규주택건설.

 

(1) 토지의 공급곡

 

토지의 리적 공급
-
리적 측면에서 토지는 부증성으로 인해 증가하는 것이 불가능. 토지의 리적
공급곡
은 완전비력적.

 

토지의 경제적 공급
-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특정 용도의 토지공급은 장기적으로 용도전환 등을 통해
가격변화에 반응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토지공급은 고정된 것이 부.

 

토지의 경제적 공급의 유형
토지이용의 개발화: 경제적 가치가 히 낮은 토지의 이용도를 증대시는 것.
토지이용의 집약화: 건의 고층화 등으로 토지를 집약적으로 이용하는 것.
공법상 규제상의 용도전환(용도적 점에서의 토지증가): 용도지역제의 변경
토지이용규제의 완화 등을 통해 토지의 용도를 전환하는 것. 예: 공지역 -> 주거
지역, 그
린벨트농업지역 -> 주거지역.
- 토지의 경제적 공급곡
은 우상향

 

(2) 주택의 공급곡
- 단·장기의 구분: 주택의 수조절이 가능한 분한 시간 = 장기. 들의
진입과 퇴출이 자유로운
분한 시간 = 장기.

주택의 단기공급곡
- 주택을 신규로 건설하거나 무는 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로, 단기적으로
주택스톡은 주택가격에
이 고정.
주택의 단기공급곡= 주택의 저공급곡(stock supply): SS = H = H0
- 장기적으로는 신규주택건설, 기존주택의 보수와 증, 비주택 건의 개조, 기존
주택의
실 등으로 주택스톡은 변화 -> SS의 이동.

 

주택의 장기공급곡
- 주택스톡의 변화 = 신규주택공급(주택) - 기존주택실. 의 크기에 따라
주택스톡이
기도 하고 기도 -> 단기공급곡왼쪽 또는 오른으로 이동.
주택= 주택의 유공급곡(flow supply):
FS = H = S(P or R, 토지가격, 건비용, 기)
- 주택의 유
공급곡은 우상향: 주택가격의 상-> 건비가 일정한 상에서
증가 -> 주택증가 -> 일정시점 주택스톡 증가.
개별기의 최적 결정: P = MC
장기공급곡의 도출
- 주택의 장기공급곡
주택유공급곡. 장기공급곡은 가격변화에 따른 단
기공급곡
의 이동을 결한 것, 또는 저공급곡과 유공급곡한 것.

장기공급곡은 수이 아가?
- 비용불변산
의 경우 완전경쟁시장에서의 장기공급곡은 수. 주택생산이 증
가할 때 택지가 지속 공급되고, 택지가격, 건
자재비, 인건비 등의 생산요소가격이
증가하지
는다면, 주택가격이 신규건비용보다 높은 한(즉 기들이 과이
누리고 있는 한, 신규기
들이 계속 주택건설시장에 진입하여), 신규주택은 무한히
공급 가능. 이 경우 장기공급곡
P = minLRAC에서 완전력적.
-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택지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고, 주택건설이 확대되면 요소가
격이 상
로 주택공급이 무한히 증가 불가 -> 장기공급곡이 우상향.

 

(3) 주택공급의 결정요인
주택공급의 결정요인
- 장기주택공급
수: HS = S(P or R, 토지가격, 건자재비, 인건비, 기, 이자율,
토지이용규제, 미래에 대한 예상, 공급자수, 기
).
공급의 변화와 공급의 변화
공급의 가격력성
가격력성의 결정요인
- 가격
력성의 결정요인들: 기간(장기 > 단기), 토지이용규제(특히 토지용도변경에
한 규제 -> 택지공급의 력성을 결정), 건규제, 대체력성, 주택생산비에서 택
지비와 기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
- 가격
력성 정치: 국가와 지역에 따라 매우 편차. 단기 력성 << 1, 장기
력성은 1 이하 무한대까지 매우 다양.

4. 부동산시장의 균형
(1) 균형의 결정
균형화 과정: 과공급과 과수요
매수자시장(buyer's market)과 매도자시장(seller's market)
- 주택수요
수: P = 900 - QD, 주택공급수: P = 100 + QS, 균형가격 = ?
- 토지공급
수: QS = 300, 토지수요수가 QD = 500 - 2P에서 QD = 450 - 2P
변화하면, 균형가격은
얼마감소하는가?

 

(2) 균형의 변화
주택수요의 변화
경제성장의 효과: 장·단기효과를 구분
저금리의 효과
화 등 인구구조 변화의 효과?

 

주택공급의 변화
비용의 증가
토지이용규제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