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02 30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8. 조선의 문화 5

78. 조선의 문화 5 ■ 조선 여성 의복 1. 의복의 종류별 특징 1) 포로 입혀진 장옷 • 초기에는 당옷, 후에는 장옷 또는 장의로 표기하였음 • 짧은 웃옷인 저고리를 단의라고 했고, 상대적으로 긴 웃옷, 즉 긴 겉옷을 말함 • 왕을 비롯하여 신분에 관계없이 남녀 모두 포로 착용함 • 장의는 17세기까지 지속되었고, 18세기 이후 풍속화에서 보면 쓰개류로 변화하였음(이 때를 기준으로 여자 의복으로 한정함) 2) 저고리 • 포에 비해 짧은 상의류를 가리킬 때 쓰는 가장 대표적인 어휘임 • 한삼류, 적삼류, 고의류, 저고리류, 액마기, 당의, 배거리 등으로 크게 구분함 • 크기에 따라 소, 장, 당 등의 접두사를 붙임 • 단저고리, 곁마기, 장저고리(당저고리, 당의 등) • 상원사 문수보살상의 장씨 회장..

미용문화사 2024.02.20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7. 조선의 문화 4

77. 조선의 문화 4 ■ 조선 복식 1. 일반적 특징 • 태종부터 연산군 시대까지 견직물과 면직물이 모두 성장·발전하는 시기였음 • 왕들은 양잠을 적극 권장했고, 관청 중심으로 사, 라, 능, 단 과 같은 고급견직물 생산에 노력을 기울임 • 연산군은 통직을 설치하고 옷감생산에 실명제를 도입하여 고급 견직물을 생산하였음 • 장인의 기술 혁신 위해 견습장인을 중국으로 연수를 보냈음 • 세종의 면업장려정책은 생산량과 품질이 크게 향상되었음 • 면포는 상류층에서 인기가 많았고, 명나라 황제의 칙서를 가지고 온 중국 사신과 수양대군에게 면포로 만든 단령, 답호, 철릭을 하사하였음 • 중종부터 임진왜란때 까지 옷감생산이 수공업에서 민간수공업으로 확산되는 시기였음 • 정부에서 를 반포하여 농민 계몽하고 잠업진흥정책..

미용문화사 2024.02.19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6. 조선의 문화 3

76. 조선의 문화 3 ■ 조선 예술가 1. 신윤복 • 화가(175 8 -18 14 ) • ‘조선 3 대 풍속화가’ • 단원 김홍도,오원 장승업과 함께 삼원으로 불림 • 신윤복 집안은 대대로 화공 세습하였고 종증조부,종조부,아버지 모두 도화서 화원이었음 • 양반가의 생활을 주로 그렸고,여성의 생활상과 남녀의 어울리는 모습을 주로 그림 • 풍경을 자주 그렸고,왕을 상징하는 빨간색을 사용하였음 • 혜원전신첩은 풍속화 모음집으로 양반문화와 복식연구에 큰 도움을 주는 자료임 2. 김홍도 • (1745-1806) 조선 후기 풍속화가 • 정조시대 문예부흥기의 대표적 화가로 산수화, 풍속화 비중이 크고 고사인물화 및 신선도, 불화 등 모든 분야에서 독창적 회화를 구축한 화가임 • 주로 어명, 고관의 명과 청탁을 받아..

미용문화사 2024.02.18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5. 조선의 문화 2

75. 조선의 문화 2 ■ 조선 건축 1. 경복궁 • 태조가 조선 건국 후 한양천도 단행 이후 가장 먼저 지은 궁궐 • ‘검이불루 화이불치’ 유교 이념을 반영하여 지어짐 • 1592,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275년간 방치되다가 19세기 흥선대원군이 중건함 • 구한말, 일제강점기 때 헐리고 매각되어 크게 훼손됨 2. 덕수궁 • 광해군 때 경운궁이 되었고 대한제국 때 아관파천 후 고종이 환궁하여 황궁으로 사용됨 • 성종 이후 월산대군의 저택이 되었음 • 일제 강점기와 6.25전쟁 거치면서 수난을 당함 3. 종묘 • 태조 이성계가 궁궐보다 서두른 공사였음 -종묘와 사직 건설 • 조선시대 역대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유교 사당으로 태묘라고도 함 • 임진왜란 시 선조는 북쪽으로 몽진하면서도 종묘의 모든 신주를 챙..

미용문화사 2024.02.17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4. 조선의 문화

74. 조선의 문화 ■ 조선 문화 1. 관학파 집권기 : 15세기 전반 • 고려 말 정도전 등의 신진사대부와 함게 위화도 회군을 거쳐 유교를 기반으로 한 조선을 건국함 • 왕자의 난 이후 즉위한 태종(3대)은 왕권강화, 승유억불 진행함 • 태종에 이어 세종(4대)은 주요 제도 정립하고 민족문화를 최고조로 발달시킴 - 훈민정음이 탄생, 현재의 한반도 영토 완성한 시기 v 승유억불 : 불교 세력 강제 축소하여 약하게 유지하기를 목적으로 하는 조선의 국가시책 2. 훈구파 집권기 : 15세기 후반 • 문종 이후 세조(7대), 성종(9대)를 거치면서 문물 정비, 제도 확립되어 중앙집권화 관료제 국가의 모습을 갖춤 • 계유정난과 같은 비정상적 집권과정을 통해 세조집권 이후 기득권 세력인 훈구 형성됨 • 훈구(관학파..

미용문화사 2024.02.16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3. 고려의 문화 4

73. 고려의 문화 4 ■ 고려 복식 1. 남성 복식 • 머리에 조건(검은 두건)을 쓰고 바지, 저고리, 포를 착장함 • 홍색포를 입고 양옆이 무릎 높이 아래로 트여 있고, 그 사이로 청색 속옷이 보이며, 가는 홍색띠를 매고 있음 2. 여성 복식 • 치마 위에 저고리를 착장하거나 또는 통일신라시대 복식과 같이 저고리 먼저 입고 그 위에 치마를 입기도 함 • 치마저고리 위에 흰색 모시로 만든 백저포를 입으며 이것은 남자의 포와 비슷함 • 평상시 포 착용하지 않고, 주로 치마저고리 차림이었으며 향료 주머니를 찼음 3. 고려 복식 • 이제현(1287-1367)의 초상화를 통해 유추 가능함 • 이조년(1269-1343)의 초상화를 통해 유추 가능함 • 수월관음도, 조반(1341-1401) 부인 초상화, 둔마리 ..

미용문화사 2024.02.15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2. 고려의 문화 3

72. 고려의 문화 3 ■ 고려 예술가 1. 고려 회화 – 도화서를 설치하여 화가를 양성함 • 이영 와 이광필 • 공민왕 • 혜허 • 이성류 • 고연휘 • 일반 그림과 불교화로 구분하고 있음 • 섬세한 필력과 자연스러운 조형, 정교한 문양 등으로 우수성과 독창성이 있었음 2. 글과 쓰기 예술 : 배운 사람들의 기본적 교양으로 자리잡음 • 대감국사 탄연 - 단아하고 깊이 있는 글로 유명함 - 고려 후기까지 서예에서 탄연체의 영향이 지속되었음 • 이암 - 고려 말 최고의 명필로 해동명적 전집 만들었음 - 단군세기의 저자 - 원과의 교섭 통해 조맹부의 송설체 들어오면서 시대적 유행으로 이암과 같은 글 잘쓰는 사람이 만들어짐 3. 고려청자 • 고려인들의 예술적 재능과 창의력으로 제작되었음 • 형태가 지니는 선의..

미용문화사 2024.02.14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1. 고려의 문화 2

71. 고려의 문화 2 1. 일반적 특징 • 음식 - 불교의 영향으로 고기 대신 유밀과를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었음 -육식문화가 쇠퇴한 것으로 아주 먹지 않은 것은 아님 - 젓갈의 경우 신분의 귀천과 상관없이 좋아했음 - 술안주는 어포, 육포, 생선, 채소가 있었음 - 고려시대 양수척은 고리짝 제작/판매 외에 사냥, 도축업을 생업으로 삼음 - 국수를 식용한 기록이 있음 - “국수를 먹는다/팔았다”는 기록이 있음 - 은 고려에서 밀이 귀하다보니 국수도 귀한 음식으로 특별행사가 있을 때 주로 먹었고, 에서 사찰에서 면을 만들어 팔았다는 기록있음 - 만두를 파는 쌍화점이라는 것이 생겼음 • 문학 - 시조가 처음으로 등장한 시기 - 청산별곡, 가시리 등의 고려가요 등장함 -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위..

미용문화사 2024.02.13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70. 고려의 문화

70. 고려의 문화 ■ 고려 문화 1. 일반적 특징 • 918년~1392년까지 약 474년간 한반도에 위치했던 전제군주정 불교 국가임 • 918년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였고, 한반도의 대부분 지역을 지배하였음 • 통일신라를 이어 불교 문화가 크게 발달하였고, 현재 대한민국 불교신자 수에 영향을 미침 • 국호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의미임 • 화려한 귀족문화 - 앞서간 기술력 +아름다움 예술품 = 귀족의 집권기 때 가장 번영했음 - 한반도 국가를 “고려”라 칭할 만큼 강한 인상을 줬음 - 일본의 경우 고려는 명품 프리미엄을 의미하는 고유명사로 사용하기도 하였음 - 조선의 배타적 문화에 대비되는 개방적 문화를 지니고 있음 • 귀족 - 문무양반을 중심으로 국가에서 과전, 공음전 등의 토지를 받고 국학..

미용문화사 2024.02.12

쉽게 쓴 미용학과, 미용사 실기 및 교양 미용문화사 정리 69.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9

69. 발해·통일신라의 문화 9 ■ 발해·통일신라 장식문화 1. 발해 장식문화 2) 허리띠 • 남성들이 허리에 차던 대가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가죽 등으로 만들어 찼으나, 왕 등의 특수 계층에서는 금제 허리띠를 했으며 여기에 금을 아주 작은 원형으로 만들어 붙이고 터키석과 수정을 금판에 물려 장식하여 매우 호화롭게 만들어 사용했음 3) 장신구 • 태환식 귀걸이가 있고, 장식 부분이 굵은 원형으로 만들어져 있음 • 머리에 장식하던 핀이 있었고, 핀은 U자 모양이었음 • 핀 머리에는 꽃봉오리 모양이 장식되고 벌어진 부분으로 머리에 꽂아 장식함 • 귀이개 장식이 있는데, 한끝은 귀이개, 다른 한끝은 족집게로 되어 두 가지 기능으로 사용함 • 중간에 둥근 구멍이 있어 이 구멍으로 끈을 엮어 패용했을 가능성 추측..

카테고리 없음 2024.02.12
반응형